A Study on the Structure of Forest Community of Picea jezoensis Stands at Cheonwangbong Area, Jirisan(Mt.)

지리산국립공원 천왕봉지역 가문비나무림의 산림군집구조

  • An, Hyun-Cheul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 Jinju National University) ;
  • Kim, Gab-Tae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Life Science & Resources Sangji University) ;
  • Choo, Gab-Cheul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 Jinju National University) ;
  • Um, Tae-Won (Department of Forest Sciences, College of Life Science & Resources Sangji University) ;
  • Park, Sam-Bong (Department of Forest Resource, Jinju National University) ;
  • Park, Eun-Hee (Jirisan National Park)
  • 안현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김갑태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 추갑철 (진주산업대학교 산림자원학과) ;
  • 엄태원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 박삼봉 (상지대학교 산림과학과) ;
  • 박은희 (국립공원관리공단)
  • Received : 2010.05.19
  • Accepted : 2010.06.30
  • Published : 2010.08.30

Abstract

To investigate and to compare the structure of Picea jezoensis forests at Chunwangbong area in the Jirisan National Park, 33 plots(400) were set up by a random sampling method. Dead individuals of Picea jezoensis trees were 15.6%, these were observed mainly in the upper-layer trees. A few seedlings of Picea jezoensis were found in this investigation area. This result indicates that Picea jezoensis might be gradually decreased in the future. Picea jezoensis stands were classified into two major groups by cluster analysis. There were strong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Syringa reticulata and Acer pseudosieboldianum, Tripterygium regelii, Quercus serrata; Betula ermani and Lonicera maackii; Euonymus macropterus and Acer ukurunduense; Acer pseudosieboldianum and Tripterygium regelii, and relatively weak negative correlations were showed between Picea jezoensis and Abies koreana; Betula ermani and Acer ukurunduense; Acer pseudosieboldianum and Tripterygium regelii. Species diversity index(H') of investigated groups ranged from 1.0000 to 1.3010.

지리산국립공원 천왕봉지역을 중심으로 분포하고 있는 가문비나무의 생육현황과 가문비나무림의 구조를 정확하게 파악하고자, 가문비나무가 주로 생육하고 있는 지역에 33개의 방형구($20{\times}20$ m)를 설치하여 식생을 조사하였다. 고사한 가문비나무는 주로 상층수관의 나무에서 발견되었으며, 개체수의 비율로는 15.6%이었고, 유묘의 개체수도 매우 적게 나타났다. Cluster 분석한 결과 두개의 집단으로 분류되었다. 개회나무와 당단풍, 미역줄나무, 졸참나무; 좀고채목과 괴불나무; 나래회나무와 시닥나무; 당단풍과 미역줄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높은 정의상관이 인정되었고, 가문비나무와 구상나무; 좀고채목과 시닥나무; 미역줄나무와 시닥나무 등의 수종들 간에는 약한 부의상관이 인정되었다. 조사지의 군락별 종다양성지수는 1.0000~1.3010범위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공원관리공단. 1998. 국립공원30년사. 국립공원관리공단 홍보실. 310pp.
  2. 김갑태, 김준선, 추갑철. 1991. 반야봉지역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구상나무림-. 환경생태학회지 5(1): 25-31.
  3.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 1996a. 오대산 국립공원 상원사, 비로봉, 호령봉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1): 151-159.
  4.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 1996b. 오대산 국립공원 동대산, 두노봉, 상왕봉 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147-155.
  5. 김갑태, 추갑철, 엄태원. 1997. 지리산 천왕봉-덕평봉지역의 삼림군집구조에 관한연구-구상나무림-. 한국임학회지 86(2): 146-157.
  6. 김갑태, 백길전. 1998. 설악산국립공원 대청봉-한계령 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1(4): 397-406.
  7. 김갑태, 추갑철, 백길전. 2000. 지리산 국립공원 명선봉, 덕평봉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구상나무군집-. 환경생태학회지 13(4): 299-308.
  8. 김갑태, 추갑철, 김정오. 2006. 월출산국립공원 월각산- 도갑재 지역의 산림 능선부 식생구조. 환경생태학회지 20(2): 122-129.
  9. 김태욱. 1988. 지리산 자연생태계 조사보고서. 환경청용역연구보고서 298pp.
  10. 박인협, 이경재, 조재창. 1987. 북한산 지역의 삼림군집 구조에 관한연구. 응용생태연구 1(1): 1-23.
  11. 박인협, 조재창, 오충현. 1989. 가야산 지역 계곡부와 능선부 해발고와 사면부위에 따른 삼림구조. 응용생태연구 3(1): 42-50.
  12. 이경재, 구관효, 최재식, 조현서. 1991a. Classification 및 Ordination 방법에 의한 지리산 대원계곡의 삼림군집구조 분석. 응용생태연구 5(1): 54-67.
  13. 이경재, 류창희, 최송현. 1991b. 지리산 아고산대 신갈나무-분비나무림 식물군집 구조분석. 응용생태연구 5(1): 32-41.
  14. 이경재, 임경빈, 조재창, 류창희. 1990. 속리산 산림군집 구조 에 관한 연구-소나무림 보존 계획-. 응용생태연구 4(1): 23-31.
  15. 장윤석, 임양재. 1985. 지리산 피아골의 식생형과 그 구조. 식물학회지 28(2): 165-175.
  16. 추갑철, 김갑태. 2003. 지리산국립공원 종석대 아고산지대의 식물분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7(3): 181-186.
  17. 추갑철, 김갑태, 김정오. 2001. 계룡산국립공원 자연보전지역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4(4): 287-295.
  18. 추갑철, 김갑태, 김정오. 2002. 깃대봉-청옥산지역 능선부의 산림군집구조에 관한 연구. 환경생태학회지 15(4): 354-360.
  19. 추갑철, 안현철, 조현, 김임규, 박은희, 박삼봉. 2009. 지리산국립공원 칠선계곡지역의 식생구조.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1): 22-29.
  20. Curtis, J. T. and R. R. McIntosh. 1951. An upland forest continuum in the praitie-forest border region of Wisconsin, Journal of Ecology 32: 476-496. https://doi.org/10.2307/1931725
  21. Ludwig, J.A. and Reynolds, J.F. 1988. Statistical Ecology. John Wiley and Sons, N.Y. pp. 377.
  22.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John Wiley & Sons. New York. pp. 1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