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alysis on Trail Deterioration in Wolseong, Gyeongju-si - Focused on Assessing Impact Rating Class -

경주 월성의 산책로 훼손실태 분석 - 환경피해도 평가를 중심으로 -

  • Kang, Tai-Ho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 You, Ju-H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 Zhao, Hong-Xia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 Li, Hong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Graduate School, Dongguk University)
  • 강태호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 조홍하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 이홍 (동국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 Received : 2011.05.18
  • Accepted : 2011.07.05
  • Published : 2011.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the raw data for establishing the conservation and restoration trail about Wolseong by objective and systematical trail deterioration in Wolseong as UNESCO, world heritage site, Gyeongju-si, Korea. To accomplish the purpose, not only trail condition such as altitude, entire width, bare width, maximum depth and slope of trail, but also deterioration types of trail were surveyed at the total 97 points for 2.145km in length on the 11 access trails to Wolseong. Major deterioration types of trail were root exposure(48%), rock exposure(40%), trail deeping(9%) in order of frequency. To grasp the deterioration condition of the trail, assessment on impact rating class of trail that the 11 access trail were investigated. Putting these results together informs us that the deterioration condition of the trail in Wolseong is reached the level of grave concern yet, prompt countermeasure to maintain the existing condition has to be considered with regard for the conditions of location and the containing amounts of use.

본 연구의 목적은 월성에 분포하는 산책로를 체계적으로 조사 및 분석함으로써 산책로에 대한 보전과 복원방안 수립을 위한 기초 자료제공에 있다. 월성을 중심으로 내부 동선 5개, 외부동선 6개 총 2,415m, 97개 측점에서 산책로 상태를 조사한 결과, 평균 산책로 내부폭 2.2m, 나지 발생폭 2.56m, 최대 침식깊이 9cm로 나타났고, 외부 산책로폭 0.68m, 나지발생폭 0.85m, 최대 침식깊이 34cm로 나타났다. 훼손유형 발생빈도는 뿌리 노출 현상(48%)이 가장 많은 발생빈도를 보였고, 다음으로 암석 노출(40%), 노면 세굴현상(9%) 등의 순이었다. 산책로 주변으로 확산되는 훼손의 진행단계와 범위를 파악하기 위한 환경 피해도 조사 결과, 내부동선 환경피해도는 좌측 2.3, 중앙 4.1, 우측 2.5로 나타났으며, 외부동선 환경피해도는 좌측 3.1, 중앙 4.3, 우측 3.5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볼 때 월성 산책로의 훼손상태는 우려할만한 수준은 아니었으나, 입지조건이나 이용압력의 증가 추세를 감안할 때 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관리방안이 조속히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2004). 월성지표조사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2.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2006). 월성해자 발굴조사보고서 II-고찰-. 국립 경주문화재연구소.
  3. 권태호(1987). 도로구조 및 입지요인이 임도의 노면침식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 권태호, 오구균, 권영선(1988). 치악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훼손과 주변 토양 및 식생환경의 변화. 응용생태연구. 2(1): 50-65.
  5. 권태호, 오구균, 정남훈(1989). 가야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훼손과 주변 환경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3(1): 81-94.
  6.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0). 속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과 주연부 식생에 미치는 영향. 응용생태연구. 4(1): 63-68.
  7. 권태호, 오구균, 권순덕(1991). 지리산국립공원의 등산로 및 야영장 주 변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5(1): 91-103.
  8.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3). 소백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6(2): 168-179.
  9.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4). 덕유산국립공원 등산로 및 야영장의 환 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7(2): 241-251.
  10.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5). 주왕산국립공원 등산로의 이용패턴 및 주변환경훼손에 대한 이용영향. 응용생태연구. 8(2): 167-176.
  11. 권태호, 오구균, 이준우(1996). 오대산국립공원 이용에 따른 등산로 및 주변환경훼손. 한국환경생태학회지. 9(2): 211-220.
  12. 권태호, 최송현, 오구균(2001). 등산로의 환경피해도를 활용한 산악형 국립공원의 수용능력 추정(I): 북한산 국립공원을 사례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5(3): 257-266.
  13. 권태호, 이준우(2003). 백두대간 마루금 등산로 및 주변 환경의 훼손실태: 만복대-복성이재 구간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4): 465-474.
  14. 권태호, 김동욱, 이준우(2005). 월악산국립공원 등산로의 훼손실태 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2): 130-138.
  15. 김세천, 박종민(1998). 모악산도립공원 등산로의 환경훼손 실태 및 이용영향에 관한 조사연구. 한국조경학회지. 25(4): 39-50.
  16. 김세천, 박봉주, 유창한(2007). 마이산도립공원 암마이봉의 등산로 훼 손실태 및 이용영향.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1(4): 17-22.
  17. 김태우, 박원규, 정영동(2005). 경주 월성 해자 및 일정교지 출토 고목재의 수종과 연륜연대 분석. 한국문화재보존과학회 2005년도 제22회 학술대회 발표 논문집. pp. 290-295.
  18. 남천우(1989). 인왕동 왕궁(재성 혹은 반월성)의 건조시기에 대하여: 파사왕대 건조술(월성설)의 오진. 역사학보. 123: 1-44.
  19. 박인환, 이혜영, 조광진, 장갑수(2010). 학술 도시자연공원의 주요 등산로 훼손실태 분석: 대구광역시 앞산공원을 대상으로. 한국조경학회지. 38(3): 33-40.
  20. 양동윤, 김진관, 김주용, 김민석(2005). 토양침식에 미치는 토양 표면상태의 영향. 한국지형학회지. 12(1): 63-72.
  21. 양정석(2010). 신라 월성의 공간구조 인식에 대한 재검토. 사총. 71:281-314.
  22. 오구균, 권태호, 전용준(1987). 북한산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 및 주변 식생변화. 응용생태연구. 1(1): 35-45.
  23. 오구균, 허순호(1992). 한라산국립공원의 등산로와 주변의 환경훼손. 응용생태연구. 6(1): 55-71
  24. 오구균, 권태호, 이준우, 유기준, 최송현(2005). 숲길 정비 매뉴얼. 서울: 수문출판사.
  25. 오현덕, 신종우(2004). 경주 월성 지하유구에 대한 GPR 탐사자료의 고고학적 해석. 물리탐사. 7(4): 256-261.
  26. 오현덕, 신종우(2010). GPR탐사를 통해 본 경주 월성의 유적 분포 현 황 연구. 문화재. 43(3): 306-333.
  27. 유기준(2011). 관악산 등산로 이용에 따른 영향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1): 111-117.
  28. 유주한, 문성주, 김동필, 강태호(2011). 경주유적지구 월성과 계림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상.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5(1): 11-22.
  29. 이준우, 오구균, 권태호(1997). 설악산국립공원의 등산로 훼손 및 주연부 식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0(2): 191-204.
  30. 임원현, 유주한, 손호기, 김정우(2009). 경주 월성의 생태적 특성 및 진단에 따른 관리방안.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39-48.
  31. 정용조, 박주성, 심우경(2010). 경주 월성의 해자(垓字)에 대한 고찰.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37-44.
  32. 정원옥, 권헌교(2008). 국립공원 탐방로의 훼손 특성 및 안정성 평가. 한국산림휴양학회지. 12(1): 51-57.
  33. 최오길(2002). 등산객에 의한 답압이 설악산 아고산대에 자생하는 식물의 분포에 미치는 영향. 강릉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최충호, 박종민, 김선영(2005). 전라북도 자연휴양림내 숲길 현황 분석.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4): 1-14.
  35. 小野有五, 依田明實, 後藤忠志(1990). 登山道の侵食について. 山林航測. 161: 15-19.
  36. 渡梯二, 深澤京子(1998). 大雪山國立公園, 黑岳七合目から山頂區間にお けゐ過去7年間の登山道の荒廢とその輕減のための對策. 地理學評論. 71:753-764.
  37. Coleman, R.(1981). Footpath erosion in the English lake district. Applied Geography. 1: 121-131. https://doi.org/10.1016/0143-6228(81)90029-1
  38. Frissell, S. S.(1987). Judging recreation impacts on wilderness campsite. Journal of Forestry. 76: 481-483.
  39. Knang, Shaozhong, Lu Zhang, Ziaoyu Song, Shuhan Zhang, Xianzhao Liu, Yinli Liang and Shiguing Zheng(2001). Runoff and sediment loss responses to rainfall and land use in two agricultural catchments on the Loess Plateau of China. Hydrol. Process. 15: 977-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