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actors Associated with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 Dental Hygiene Students

치위생(학)과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관련 요인

  • 조영식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배현숙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 황혜림 (남서울대학교 치위생학과)
  • Received : 2011.09.23
  • Accepted : 2011.12.13
  • Published : 2011.12.31

Abstract

Critical thinking is recognized as core competency for dental hygiene practic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grade, types of educational programs and satisfac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major, clinical practice. Total 909 students in associate and baccalaureate dental hygiene educational program completed self-reported questionnaire o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ory developed by Yoon(2004). The mean score for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was 3.38~3.39 on a 5 point scale. There was no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ores between students of associate and baccalaureate programs. There was no difference i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scores between grade of students. The results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relationship between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and satisfac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and major.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revealed that all subscales for three groups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interpersonal relationship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illai's trace=0.075, F(14,1782)=4.979, p<0.001) and all subscales for three groups according to satisfaction with major were significantly different(Pillai's trace=0.035, F(14,1728)=2.257, p=0.005).

치위생(학)과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관련 요인을 파악하기 위해 3년제 치위생과 및 4년제 치위생학과 학생 941명을 대상으로 2011년 5월 3일부터 6월 5일까지 자기기입식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최종적으로 909부를 분석하였다.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는 윤의 간호 대학생을 대상으로 조사하고 개발한 도구를 이용하였으며, 지적열정, 신중성, 체계성, 자신감, 객관성, 지적공정성, 건전한 회의 등 7개 요인의 27개 문항으로 구성되었다.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 중회귀 분석, 다변량 분산분석 등을 통해 분석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본 연구에 사용된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는 치위생(학) 학생 대상의 평가에 적합한 것으로 나타났다. 요인분석 결과 원 연구와 동일한 7개 요인이 추출되었으며, 각 요인에 적재된 문항도 원 연구와 일치하였고, 전체 분산의 51.34%를 설명하였다. 내적일관성 신뢰도(Cronbach's alpha)수는 0.82로서 원 연구결과와 유사하였고, 7개 하위요인의 신뢰도 역시 원연구결과와 유사하였다. 2. 학제에 따른 비판적 사고 성향 총합척도 및 7개 하위척도 점수의 차이를 비교하기 위해 독립표본 t 검정을 실시하였다. 비판적 사고 성향 총합척도의 평균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하위척도는 지적 공정성을 제외한 6개 평균이 차이가 없었다. 3. 다중회귀 분석 결과 대인관계 만족도(p<0.001)와 전공 만족도(p<0.001)가 비판적 사고 성향에 영향을 미치고 있다($R^2=0.115$, F=11.896, p=0.000). 4. 다변량 분산분석 결과 대인관계 만족도 수준별 집단에 따라 다변량 통계량이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illai의 트레이스=0.075, F(14, 1782)=4.979, p<0.001). 또한 전공 만족도 수준별 집단에 따라 다변량 통계량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illai의 트레이스=0.035, F(14,1728)=2.257, p=0.005). 개체-간 효과 검정 결과, 대인관계 만족도 수준별 집단은 비판적 사고 성향의 하위요인 중 신중성을 제외한 6개 요인에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전공만족도 수준별 집단은 비판적 사고 성향 하위요인 중 지적 열정(p=0.002), 체계성(p=0.013), 지적 공정성(p=0.003)은 유의한 차이가 있지만, 나머지 요인은 차이가 나타나지 않을 수 있다. 결론적으로, 치위생(학)과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은 대인관계 및 전공만족도에 따라 차이가 있으나, 학제와 학년에 따른 차이가 나타나지 않아, 학생의 사고력 증진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ADHA: Dental hygiene diagnosis: an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position paper. Chicago: American Dental Hygienist's Association, 2010.
  2. ADEA: ADEA competencies for the new general dentist(as approved by the 2008 ADEA house of delegate) J Dent Edu 73(7): 866-869, 2009.
  3. CODA: Proposed revisions to dental hygiene standards: accreditation standards for dental hygiene education programs. Chicago: commission on dental accreditation ADA, 2011.
  4. 조영식: 치위생 과정 기반의 임상 치위생 교육 및 실무. 치위생과학회지 11(3): 135-154, 2011.
  5. Facione A: Critical thinking: a statement of expert consensus for purpose of educational assessment and instruction. American philosophical association delphi report. ERIC Doc. 1-108, 1990.
  6. 이명숙: 비판적 사고의 차원과 측정. 교육학논총 29(2): 39-56, 2008.
  7. DePaola, DP, Slavkin HC: Reforming dental health professions education: a white paper. J Dent Edu 68(11): 1139-50, 2004.
  8. ADEA: Development of problem-solving, critical thinking, and self-directed learning. J Dent Edu 70(9): 925-936, 2006.
  9. Johnsen DC et al.: A model for critical thinking measurement of dental student performance. J Dent Edu 73(2): 177-183, 2009.
  10. Beha-Horenstein LS, Schneider-Mitchell G, Graff R: Promoting the teaching of critical thinking skills through faculty development. J Dent Edu 73(6): 665-675, 2009.
  11. Facione NC, Facione PA, Sanchez: Critical thinking dispostion as measure of competent clinical judgement: the development of the California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 inventiry. J Nurs Edu 33(8): 345-350, 1994.
  12. Cobban SJ, Profetto-McGrath J: A pilot study of research utilization practices and critical thinking dispositions of Alberta dental hygiene. Int J Dent Hygiene 6(3): 229-237, 2008. https://doi.org/10.1111/j.1601-5037.2008.00299.x
  13. Williams KB et al.: Predictive validity for critical thinking skills and disposition for the national board dental hygiene examination: a preliminary investigation. J Dent Edu 70(5): 536-544, 2006.
  14. 허경철 등: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 V.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91.
  15. 박선환: 대학생의 비판적 사고력 증진을 위한 프로그램의 효과[박사학위논문]. 숙명여자대학교대학원, 서울, 1998.
  16. 윤진: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간호학을 중심으로[박사학위논문].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서울, 2004.
  17. 권인수 등: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 측정도구 개발. J Korean Acad Nurs 36(6): 950-8, 2006.
  18. 김명숙 등: 사고력검사개발연구-비판적 사고력 검사제작편.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2.
  19. 신경림: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능력에 관한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26(1): 43-52, 1996.
  20. Watson GB, Glaser EM: Watson-Glaser critical thinking appraisal manual. New York, Brace & World, 1994.
  21. 문미숙: 글쓰기를 통한 비판적 사고 경험. 정신간호학회지 17(4): 440-450, 2008.
  22. 장성옥, 신나미, 김순용: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 기본간호학회지 16(4): 459-471, 2009.
  23. 황지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간호수행능력에 관한 연구[석사학위논문].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서울, 1998
  24. 신경림, 하주영, 김건희: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과 비판적 사고 기술에 관한 종적 연구. 대한간호학회지 35(2): 382-289, 2005.
  25. 양승애, 정덕유: 간호대학 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관한 조사 연구. 성인간호학회지 16(1): 156-165, 2004.
  26. 송영이: 문제중심학습과 주제중심학습 간의 학습만족도,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태도 및 동기에 대한 비교 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4(1): 55-62, 2008.
  27. 성미혜, 엄옥봉: 임상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 간호수행능력 및 직무만족도. 간호행정학회지 15(1): 26-36, 2009.
  28. 박완주: 간호대학생의 자아탄력성이 비판적 사고성향, 학습양식 및 학업적응에 미치는 영향. 정신간호학회지 18(3): 240-250, 2009.
  29. 이정인: 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자기효능감이 비판적 사고 성향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2): 166-174, 2009.
  30. 배영숙, 이숙희, 김미희 등: 문제중심학습이 자기주도성과 비판적 사고성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184-190, 2005.
  31. 윤진: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 성향에 관한 연구: 통합 간호교육과정을 실시하는 일 대학을 중심으로. 간호행정학회지 14(2): 159-166, 2008.
  32. 김경혜, 김경덕: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효능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3(2): 229-236, 2007.
  33. 박승미, 권인각: 간호사의 임상 의사결정능력 영향 요인: 비판적 사고 성향을 중심으로. 대한간호학회지 37(6): 863-871, 2007.
  34. 조학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자기주도학습 및 학업성취도에 관한 연구. 한국보건정보통계학회지 32(2): 57-72, 2007.
  35. 양선희 등: 교수학습방법에 따른 3개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5(2): 149-158, 2009.
  36. 김윤민: 간호대학 신입생들의 문제해결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 간호행정학회지 16(2): 190-197, 2010.
  37. 이점덕, 이정숙: 프리셉터쉽 적용이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 임상수행능력 및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효과. 간호행정학회지 12(3): 434-443, 2006.
  38. 안경주: 간호대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의사소통능력과의 관계. 청주대학교 산업과학연구 28(2): 1-5, 2011.
  39. 박진아, 김복자: 종합병원 간호사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수행능력. 대한간호학회지 39(60): 840-850,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