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Effects of Aerobic Exercise and Combined Exercise on Serum Lipid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n Obese High school Girls

유산소운동과 복합운동이 비만 여고생의 혈중지질과 적혈구 침강속도에 미치는 영향

  • Park, K. Y. ;
  • Kim, J. S. ;
  • Lee, M. Y. ;
  • Oh, K. H. ;
  • Kim, I. H. ;
  • In, C. S. ;
  • Kim, J. W.
  • 박근양 (공주대학교) ;
  • 김정수 (공주대학교) ;
  • 이미영 (공주대학교) ;
  • 오광훈 (공주대학교) ;
  • 김일형 (공주대학교) ;
  • 인치석 (공주대학교) ;
  • 김종원 (공주대학교)
  • Published : 2011110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effect of the application of exercise program types on serum lipid and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in obese high school girls for 12 weeks. 16 obese female students with BMI over 25 $kg/m^2$ took part in either the aerobic exercise or combined exercise group. Each group has reached statistical significant increase in height (p<.001) and BMI (p<.05). Both groups have reduced weight and the fat percentage but do not show significant decrease statistically. The aerobic exercise group has increased HDL-C (p<.05), but simultaneously decreased LDL-C (p<.01), which are read as a statistical significant change. The combined exercise group has only present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ecrease of LDL-C (p<.01). Both TC and TG has presented little statistical significant difference. Both the aerobic and combined exercise groups demonstrated the decrease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but the combined exercise group showed steeper decline. both groups have presented positive outcome on the body composition and blood level of HDL-C, LDL-C. When we consider that the positive decrease of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through combined exercise group came out to be higher than the aerobic one, combined exercise group had a more positive impact on the condition of blood inflamm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비만 여고생을 대상으로 12주간의 운동프로그램 유형별적용에 따른 혈중지질과 적혈구침강속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 대상자는 BMI가 25 $kg/m^2$이상인 비만 여고생 16명을 대상으로 유산소운동군과 복합운동군에 12주간 참가하게 하였다. 신장(p<.001)과 체질량지수(p<.05)에서 유산소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증가를 나타냈다. 체중과 체지방률에서는 유산소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감소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유산소운동군에서 HDL-C(p<.05)은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LDL-C(p<.01)은 유의하게 감소하였다. 복합운동군은 LDL-C(p<.01)에서만 유의하게 감소하였고, TC, TG에서는 두 운동군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적혈구침강속도에서 유산소운동군(p<.001)과 복합운동군(p<.01)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감소하였으나 복합운동군에서 유산소운동군 보다 더 높은 감소율을 나타냈다. 이상의 결과를 살펴볼 때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서 유산소운동군과 복합운동군 모두 유사한 결과를 나타냈으나, 적 혈구침강속도에서는 복합운동군이 유산소운동군보다 높은 감소율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서는 유산소 운동과 복합운동 모두 유의한 운동효과를 나타냈지만, 적혈구침강속도에서는 복합운동이 유산소운동 보다 감소율이 높게 나타난 것으로 볼 때 복합운동이 혈관 내 염증상태 변화에 더욱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국두홍(2008). 복합운동이 중년 비만 여성의 혈중지질, 염증표지인자와 비만관련호르몬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전남대학교.
  2. 교육과학기술부(2008). 청소년 건강행태 온라인 조사 통계: 24-25.
  3. 김일형, 김정수, 오광훈, 이미영, 김종원, 인치석, 박근양 (2010). Nectar思考와 복합운동이 비만 중학생의 혈중지질 및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8(4): 263-270.
  4. 김종원, 김정수, 오광훈, 이미영, 김일형, 인치석, 박근양 (2010). 복합운동프로그램 수행이 비만 남자 중학생의 신체조성과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8(4): 279-284.
  5. 김종원, 최재현(2006). 복합 트레이닝이 남자 고등학생의 심폐기능, 신체조성 및 혈중지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4(2): 13-26.
  6. 김태운, 박태곤, 박찬호, 김종원, 김현준, 양영옥(2006). 12주 체중감량프로그램이 비만여중생의 호모시스테인과 C-반응성단백질에 미치는 효과. 운동과학, 15(4): 309-317.
  7. 김학렬, 김용영, 이선장(2001). 성장기 남, 녀 과체중 아동들의 규칙적인 유산소성 트레이닝이 신체조성과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9(2): 31-45.
  8. 김현준, 이광무, 신기옥(2007). 12주 복합운동에 따른 과체중 및 비만아동의 신체구성과 골밀도 변화의 상관관계. 운동과학, 16(3): 253-262.
  9. 권인창(2002). 유산소운동과 유산소 및 서킷 웨이트 복합훈련이 비만 초등학생의 신체조성, 혈중지질, 렙틴 및 심박회복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1(3): 383-391.
  10. 나재철, 서해근(2001). 런닝과 근저항 복합운동이 20대 비만여성의 체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체육학회지, 40(10): 440-447.
  11. 남상남, 안상현(2008). 복합운동이 중년 비만남성의 신체조성, 혈중 콜레스테롤 및 심혈관계질환 위험인자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7(1): 49-58.
  12. 박상갑, 김은희(2003). 유산소운동이 비만여중생의 복부지방 및 렙틴에 미치는 영향. 대한비만학회지, 12(3): 173-182.
  13. 박수현, 한태경, 이신호, 강유철, 강현식(2007). 12주 걷기운동 프로그램의 운동강도가 비만여성의 신체조성, 복부지방, 심폐체력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6(1): 1-10.
  14. 소위영, 최대혁(2007). 걷기운동과 저항성 운동이 비만중년여성의 신체조성, 심폐순환기능, 체력 및 혈중에 미치는 영향. 운동과학, 16(2): 85-94.
  15. 이상헌(2003). 복싱경기가 적혈구 침강속도와 형태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16. 임달식(2009). 최대운동시 농구선수의 무산소성 역치, 혈액성분 및 적혈구 조직학적 변화에 미치는 영향. 박사학위논문. 조선대학교 대학원.
  17. 윤진환(1986). 안정시 혈중 헤모글로빈 농도가 운동 시 심박수 변화에 미치는 영향. 석사학위논문,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18. 장재훈(2007). 걷기운동이 비만 여고생의 비만지표와 렙틴, 아디포넥틴 및 그렐린 농도에 미치는 영향과 상관성. 한국체육학회지, 46(3): 419-428.
  19. 정소봉, 정찬복(2005). 복합운동이 비만 남, 여 초등학생 신체조상과 혈청지질 변화에 미치는 영향. 한국발육발달학회지, 13(3): 71-81.
  20. ACSM. (2001). Guidelines for exercise testing and prescription. Baltimore; Williams & Wilkins.
  21. Andrea, N., Antonio, L., & Ele, F. (2003). Erythrocyte sedimentation rate, coronary atherosclerosis, and cardiacmortality. Euro. Heart Journal., 24(7): 639-648. https://doi.org/10.1016/S0195-668X(02)00741-8
  22. Corbin, C. B., Lindsey, R., Welk, G. I., & Corbin, W. R. (2002). Concepts of fitness and wellness: A comprehensive life style approach(4th ed.). McGraw-Hill., 273-34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