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Effects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on CPR Knowledge and Attitude of Undergraduates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이 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 Yoon, Me-Ok (Department of Nursing, Woosuk University)
  • Received : 2011.05.23
  • Accepted : 2011.06.22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Purpose: This study is a non-equivalent control group pre-post design, which attempted to observe the effects of Basic Life Support Education on undergraduate students' CPR Knowledge and Attitude. Methods: The subjects were 96 undergraduates in Jeonbuk. They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an experimental group of 46 students and a control group of 50 students. The BLS education was given by three BLS instructors certified by the American Heart Association using a DVD. Data were collected from October 20 to November 15, 2010 and analyzed, using the ${\chi}^2$ test, t-test, and ANCOVA. Result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in the levels of CPR Knowledge and Attitude. The 1st hypothesis, that the CPR knowledge scor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157.58, p=.000). The 2nd hypothesis, that the CPR attitude scores for the experimental group would be higher than those of the control group, was supported (F=23.78, p=.000).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at BLS education had a positive influence on undergraduate students' knowledge and attitudes toward CPR. We expect that BLS education will contribute to spreading knowledge of CPR and reducing mortality among heart attack victims, and we can see from this study how CPR training in combination with theory and clinical practice develops knowledge and practical ability.

Keywords

References

  1. 권용선(2005). 초등학생과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심폐소생술 교육 효과 비교.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울산.
  2. 김경미(2007). 고등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수준 및 교육 실태. 연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3. 김동옥(2008). 심정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심폐소생술 경험자와 비경험자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차이. 충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대전.
  4. 김순심, 감신(2006). 고등학생에게 적용한 기본심폐소생술 실기교육 프로그램 효과.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지, 23(4), 155-171.
  5. 김은미, 이은경(2009).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이 초등학생의 심폐소생술 태도에 미치는 효과. 지역사회간호학회지, 20(2), 189-196.
  6. 김은수(2010). 노인요양시설에 근무하는 요양보호사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교육 실태 및 지식과 태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서울.
  7. 김혜숙, 김미선, 박미화(2009). 간호대학생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수행능력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16(4), 430-437.
  8. 김희정(2008). 초등학교 고학년생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효과 및 지속성. 한국응급구조학회지, 12(3), 87-98.
  9. 박대성, 윤영현, 김정술(2008). 치위과 학생을 대상으로 한 기본 심폐소생술 교육효과. 한국치위생과학회, 8(4), 381-386.
  10. 박세훈, 최혁중, 강보승, 임태호, 염석란(2006). 일부 최초반응자 직업군의 심폐소생술 지식과 태도에 대한 연구. 대한응급의학회지, 17(6), 545-558.
  11. 박연숙(2010). 기본심폐소생술교육이 중학생의 심폐소생술 관련 지식, 태도, 기술에 미치는 지속 효과.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12. 박영례, 김혜숙, 차혜경(2010). 초등학생의 기본 심폐소생술에 대한 인식, 태도 및 수행자신감. 한국학교보건학회지, 23(2), 133-142.
  13. 박정숙, 전현례(2010). 표준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용 비디오를 이용한 실습교육이 간호사의 심폐소 생술에 대한 지식, 태도 및 수행능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6(2), 301-311.
  14. 박종우, 성창민, 조영순, 최영환, 박인철, 김승호(2006). 의대생 대상의 심폐소생술 재교육 효과와 지속성. 대한응급의학회지, 17(1), 8-13.
  15. 송근정, 오동진(2007). 심폐소생술의 국내 현황. 대한내과학회지, 73(1), 4-10.
  16. 오수일, 한상숙(2008). 심폐소생술 재교육이 간호사의 지식과 기술에 미치는 지속효과. 대한간호학회지, 38(3), 383-392.
  17. 오윤희, 김복자(2005). 비의료인에게 실시한 심폐소생술 실기 교육 효과. 한국간호교육학회지, 11(2), 278-286.
  18. 윤영윤(2004). 병원 전 심정지로 내원한 영아의 임상적 특성과 심폐소생술 결과의 분석: 광주권역 3개 수련병원을 대상으로.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광주.
  19. 이문희, 최순희, 박민정(2005). 심폐소생술 교육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4(2), 198-203.
  20. 이문희, 최순희, 박민정(2005). 심폐소생술 교육이 일반인의 심폐소생술에 대한 지식과 태도에 미치는 효과. 기본간호학회지, 14(2), 198-203.
  21. 이미진, 박규남, 김현, 신중호, 양혁중, 노태호(2006). 일반인의 심폐소생술 시행 태도와 저해 요인 분석. 대한응급의학회지, 19(1), 31-36.
  22. 이원웅, 조규종, 최석환, 유지영, 유기철(2009). 일반인 심폐소생술교육 후 목격자 심폐소생술에 대한 자신감 및 태도변화. 대한응급의학회지, 20(5), 505-509.
  23. 홍경용, 만현철, 최상복, 위관복, 김기열(2001). 중 고등학생 응급처치 지식수준에 관한 실태조사.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18(3), 77-88.
  24. 홍정석, 안력, 김선, 김우연, 김수옥, 홍은석(2009). 미국심폐소생협회의 기본심폐소생술 교육을 받은 간호대학생의 술기수행능력 유지 정도. 대한응급의학회지, 20(6), 609-614.
  25.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American heart Association 2005 guidelines for CPR and ECC. Texas: American Heart Association.
  26. Axelsson, A. (2001).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Would they do it again? J Cardiovasc Nurs, 16 (1), 15-20. https://doi.org/10.1097/00005082-200110000-00003
  27. Holmberg, M., Holmberg, S., & Herlitz, J. (2000). Effect of bystande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in out of hospital cardiac arrest patients in Sweden. Resuscitation, 47 (1), 59-70. https://doi.org/10.1016/S0300-9572(00)00199-4
  28. Lauder, G. R,, McQulillan, P. J., & Sear, J. W. (1992). Basic life support. Anaesthesia, 47, 1000-1001. https://doi.org/10.1111/j.1365-2044.1992.tb03211.x
  29. Lund, I., & Skulberg, A. (1976).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by lay people. Lancet, 2, 702-704.
  30. National Emergency Medical Center (2008). A public emergency service recognition and satisfaction survey. Retrieved January 12, 2009.
  31. Parnell, M. M., Pearson, J., Galletly, D. C., & Larsen, P. D. (2006). Knowledge of and attitudes towards resuscitation in New Zealand high-school students. Emerg Med J, 23, 899-902. https://doi.org/10.1136/emj.2006.041160
  32. Stiell, I. G., Wells, G. A., Field, B., Spaite, D. W., Nesbitt, L. P., Maio, V., et al. (2004). Advanced cardiac life support in out-of hospital cardiac arrest. New Engl J Med, 351 (7), 647-656. https://doi.org/10.1056/NEJMoa0403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