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Fatty Acid, Amino Acid and Nucleotide-related Compounds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교배 조합 토종닭의 지방산, 아미노산 및 핵산 관련 물질 함량

  • 박미나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홍의철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강보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김학규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허강녕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한재용 (서울대학교 농생명공학부) ;
  • 조철훈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생명과학과) ;
  • 이준헌 (충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동물자원생명과학과) ;
  • 추효준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서옥석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 황보종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 Received : 2011.05.20
  • Accepted : 2011.06.03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The current work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crossbred Korean native chickens (KNC) on fatty acid, amino acid and nucleotide-related compounds contents of chicken meat. A total of 360 male chicks (1d of age) was used in this work and were divided 4 groups as A) (KNC egg-meat type C strains ${\times}$ KNC meat type S strains) ${\times}$ Ross broiler, B) (KNC egg-meat type C strains ${\times}$ KNC meat type H strains) ${\times}$ KNC meat type S strains, C) (KNC native R strains ${\times}$ KNC meat type S strains) ${\times}$ KNC meat type H strains and D(White Semibroiler Chickens) strains for 5 weeks at the flat house. Palmitic acid and vaccenic acid were highest in C strain meat, and myristic acid and linolenic acid were lowest in A strain meat (p<0.05). Saturated fatty acid was lowest in C strain meats (p<0.05). Valine, leucine, phenylalanine and lysine of essential acid were low in A strain meat. Cystine,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and proline were also low in A strain meat. Hypoxanthin (Hx) was high compared other strains at 5 weeks and low at 10 weeks. IMP was high compared other strains at 5 and 10 weeks. AMP has not significant difference among strains at 5 weeks but B strain was high other strains at 10 weeks. These results showed that C stain was excellent on the fact of nutrients compared to other strains. Consequently, the result of this work gave the basic data that needed to develope the new strains.

본 시험은 토종닭의 교배 조합이 계육의 지방산과 아미노산 및 핵산 관련 물질 함량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수행되었다. 공시계는 4개 교배 조합으로 발생된 3원 교잡종을 이용하였다. 시험 설계는 A(CS${\times}$B), B(CH${\times}$S), C(RS${\times}$H), D(백세미)로 하였으며, 4처리구에 따라 암수 각각 9반복, 반복당 10수씩($4{\times}2{\times}9{\times}10$) 총 720수를 완전 임의 배치하였다. 시험 사료는 제시한 옥수수-대두박 위주의 준육용계 사료를 자체 제작하여 이용하였다. 5주령 계육의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C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A처리구가 가장 높았다(p<0.05). 10주령 계육의 포화지방산의 함량은 5주령 계육과 마찬가지로 C처리구에서 가장 낮았으며, A처리구가 가장 높았다(p<0.05). 계육의 아미노산 함량은 모든 계육의 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lysine, leucine, arginine, phenylalanine 등의 순이었고, 비필수 아미노산 함량은 glutamic acid, aspartic acid, alanine 등의 순이었다. 5주령에서는 필수 아미노산 중 valine, leucine, phenylalanine 및 lysine은 A계통에서 가장 낮게 나타났으며, phenylalanine과 lysine 함량은 B계통에서 가장 높았다(p<0.05). 비필수 아미노산 중 cystine, aspartic acid, glycine, alanine 및 proline은 A계통에서 가장 낮았고(p<0.05), 다른 계통들 사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10주령 계육의 아미노산 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다. 계육의 핵산 관련 물질 중 hypoxanthine(Hx)은 5주령에서 C처리구가 14.5%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나, 10주령에서는 B처리구가 9.29%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처리구간 계육의 Inosine monophosphate(IMP)는 각각 131.4 mg/100 g, 187.7 mg/100 g, 250.2 mg/100 g 및 214.0 mg/100 g으로 A, B, C처리구 사이에 유의차가 있었다(p<0.05). 10주령의 IMP는 C처리구가 258.6 mg/100 g으로 가장 높았고(p<0.05), A, B, D처리구 사이에서는 차이가 없었다. 5주령의 adenosine mono phosphate(AMP)는 처리구간 차이가 없었으나, 10주령에서는 5.46 mg/100 g, 5.96 mg/100 g, 5.45 mg/100 g 및 5.47 mg/100 g으로 B처리구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다(p<0.05).

Keywords

References

  1. Ahn DH, Park SY 2002 Studies on components related to taste such as free amino acids and nucleotides in Korean native chicken meat. J Korean Soc Food Sci Nutr 31:547-552. https://doi.org/10.3746/jkfn.2002.31.4.547
  2. Duncan DB 1955 Multiple range and multiple F tests. Bio-metrics 11:1-42.
  3. Folch J, Lees M, Sloane-Stanley GH 1957 A simple method for the isolation and purification of total lipid from animal tissue. J Biol Chem 26:497-507.
  4. Grundy SM 1986 Comparison of monounsaturated fatty acid and carbohydrates for lowering plasma cholesterol. N Engl J Med 314:745-751. https://doi.org/10.1056/NEJM198603203141204
  5. Kawamura Y, Halpern BP 1987 Recent developments in umami research. In: Umami: A Basic Taste. Kawamura Y, Kare MR, eds. Marcell Deckker, New York, pp 637-642.
  6. Lunt DK, Smith SB 1991 Wagyu beef holds profit potential for U.S. feel lot. Feedstuffs 19:18-24.
  7. Mason VC 1984 Metabolism of nitrogen compound in the large gut {Emphasis on recent findings in the sheep and pig}. Proc Nutr Soc 43:45-53. https://doi.org/10.1079/PNS19840026
  8. Nakatami Y, Fujita T, Sawa S, Otani T, Hori Y, Takagahara I 1986 Changes in ATP-related compounds of beef and rabbit muscles and a new index of freshness of muscle. Agric Biol Chem 50:1751-1756. https://doi.org/10.1271/bbb1961.50.1751
  9. Sakaguchi M, Murata M, Toyohara H 1991 Studies on the change in inosine 5'-monophosphate level during storage of different parts of domestic animal meat. In Final Reports for re- Search Grants from Meat and Meat Products (Jpn.), Vol. 9. The Ito Foundation, Tokyo, pp 229-233.
  10. Sakaguchi M, Murata M, Toyohara H 1992 Accumulation of inosine 5'-monophosphate and the role of flavor development of domestic animal meat during storage. in final reports for research grants from meat and meat Products(Jpn), Vol 10 The Ito Foundation Tokyo pp 245-249.
  11. SAS 2000 SAS/STAT Software for PC. SAS Institute, Cary, NC, USA.
  12. Yano K, Kataho N, Watanabe M, Nakamura T, Asano Y 1995 Evaluation of beef aging by determination of hypoxanthine and xanthine contents: Application of a xanthine sensor. Food Chem 52:439-445. https://doi.org/10.1016/0308-8146(95)93297-5
  13. 강보석 이상진 김상호 서옥석 나재천 장병귀 박범영 이종문 오봉국 1998 한국 재래닭과 육용실용계의 발육 및 육질 특성 구명 연구. 한국가금학회지 25(3):137-145.
  14. 국립축산과학원 2008 토종닭 사육 및 인증기준 설정 연구. 가금수급안정위원회.
  15. 김병기 황인업 김영직 황영현 배만종 김수민 안종호 2002 인삼, 산약, 한약부산물의급여가재래종계육의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축산식품학회지 22(2):122-129.
  16. 김영호 민중석 황성규 이상옥 김일석 박형일 이무하 1999 실용재래닭의 지방산 조성 및 관능적 특성. 한국식품과학 회지 31(4):964-970.
  17. 나재천 박성복 방한태 강환구 김민지 최희철 서옥석 류경선 장형관 최종태 2009 단백질 및 대사 수준이 유색 육용계 의 생산성 및 도체율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36(1):23-28.
  18. 류경선 송근섭 1999 당귀 부산물의 급여가 재래닭의 생산성 과 육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금학회지 26(4):261-265.
  19. 박미나 홍의철 강보석 김학규 김재홍 나승환 채현석 서옥석 한재용 정재홍 황보 종 2010 교배 조합 토종닭의 이화학 적 성상 및 육질 특성. 한국가금학회지 37(4):415-421.
  20. 식품성분표 2006 농촌진흥청 농업과학기술원.
  21. 이현수 강보석 나재천 류경선 2008 사료 단백질 및 에너지 수준이 재래닭의 성장과 혈액의 성상에 미치는 영향. 한 국가금학회지 35(4):399-405. https://doi.org/10.5536/KJPS.2009.35.4.399
  22. 한국가금사양표준 2007 농림부 농촌진흥청 축산과학원.

Cited by

  1. The Line Differences and Genetic Parameters of Linoleic and Arachidonic Acid Contents in Korean Native Chicken Muscles vol.41, pp.3, 2014, https://doi.org/10.5536/KJPS.2014.41.3.151
  2. Comparison of Meat Quality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Different Native Chickens in Korean Market vol.41, pp.1, 2014, https://doi.org/10.5536/KJPS.2014.41.1.5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