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Succeeding Together-Busan North & New Port

부산 북항-신항 연계발전 방안

  • 송계의 (동서대학교 국제학부 국제물류학전공)
  • Received : 2010.04.25
  • Accepted : 2011.06.24
  • Published : 2011.06.30

Abstract

Due to have been more keen in East-North Asia Hub Port competition, to be accelerated Busan New Port development, and to result to supply excess position, Busan port has been confronted by many problems. Also, as facilities of North Port is old, it is impossible to secure 16m depth of water at North Port, and North Port redevelopment is being, container traffic of North Port is accelerated to shift at New Port. Therefore, it. is time to seek for connection growth plan of succeeding together-Busan North & New Port as soon as possible. Connection growth plan of succeeding together-Busan North & New Port is focused, as follows. First, it is required to set up model for connection growth plan of succeeding together-Busan North & New Port. It is valid to specialize for ULCC, to promote to global port at New Port, and it is effective to focus on feeder service and general cargo handling, and to include most space to North Port redevelopment. Second, through port function reorganization, it is required to create a synergy by port function clustering. Third, through effective connection traffic network expansion for moving T/S cargo effectively, it is required to develop Busan Port for T/S cargo-focused port. Fourth, it is required to develop port hinterland logistics zone for creating container traffic through connection development of New Port-BJFEZ. Finally, it is required to build SCM system for creating container traffic among shipper, carrier, freight forwarder and related institution.

동북아 항만의 Hub Port 경쟁이 더욱 치열해 지고 있고, 신항 개발이 가속화되면서 공급과잉상태를 초래하게 되어, 부산 북항과 신항이 상생하기에 충분한 물동량 확보가 어려운 시점에서 부산항만은 많은 어려움에 직면하고 있다. 또한 북항은 시설이 노후화되어 있고 초대형선박이 접안하기에 필요한 수심 16m을 확보할 수 없으며, 또한 북항 재개발의 진행과 정책부재로 물동량은 자연스럽게 신항으로의 이전이 가속화되고 있다. 따라서 부산 신항의 추가적인 선석 개장운영과 더불어 부산 북항과의 역할정립 및 연계 발전 방안 모색을 서둘러야 할 시점이다. 북항과 신항의 연계발전 전략은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첫째, 북항-신항 연계발전을 위한 모델 정립이 필요하다. 따라서 신항은 16m의 수심과 최첨단시설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극대형선(ULCC) 위주로 특화기능을 부여하고, 지속적인 개발과 첨단시설 유치로 세계적인 글로벌 항만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반면에 북항은 항만리모델링을 통해 피더선 중심의 동북아 중심 항만으로 새로운 기능을 수행하도록 해야하고, 대부분의 공간은 북항 재개발 개념에 포함시켜 시민 친수공간으로 기능을 재부여 하여야 한다. 둘째, 북항의 컨테이너 전용부두를 기능 전환하여 부산항만의 항만별 부두기능을 재배치함으로써 항만기능 집적화를 통한 시너지 창출을 기하여야 한다. 셋째, 북항의 기능이 살아있는 한 북항과 신항의 효율적 연계교통망 확충을 통해 환적화물 처리를 효율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여 부산항만을 동북아 환적중심항만으로 발전시켜 나가야 한다. 넷째, 신항과 부산진해경제자유구역을 연계발전시켜 자체 수요 물동량 창출형 항만배후물류단지를 개발하여야 한다. 다섯째, 물동량 창출을 위해 화주고객, 운송사, 복합운송주선업자 및 관련 기관간 SCM을 구축하여 상호 협력적인 Win-Win 관계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길수, "북항-신항 협력에 의한 화물 창출 전략", 글로벌 항만경쟁시대의 부산항 경쟁력강화 방안에 관한 정책 심포지엄, (사)국제해양수산물류연구소․BPDA, 2008.
  2. 김율성, "신항과 북항의 역할 정립과 연계발전 방안 모색이 중요", 부산발전포럼, 2011. 01+02.
  3. 김학소, "신항만 배후부지 활성화전략과 물동량 창출 전략", 글로벌 항만경쟁시대의 부산항 경쟁력강화방안에 관한 정책 심포지엄, (사)국제해양수산물류연구소․BPDA, 2008.
  4. 부산항만공사, 효율적 항만거버넌스를 구축을 통한 부산항만공사의 발전 방안에 관한 연구, 2008. 7.
  5. 부산항만공사, 영도 동삼.청학안벽 활용방안 수립연구, 2008.12.
  6. 서수완, "신항 국제물류 경쟁력 강화를 위한 BJFEZ 역할 및 과제", 신항 물동량 창출을 위한 세미나, 경남발전연구원․창원시, 2010. 09.
  7. 송계의, "부산 북항항 O-2 정박지의 운영개선 방안",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1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3.
  8. 송계의, "신항과 경제자유구역의 연계발전 방안", 창원시 글로벌 물류비즈니스 발전전략 세미나, 2010. 10.
  9. 송용석 외 3, "일반부두와 자성대부두의 재개발에 따른 통행량감소 효과분석 - 사회적 비용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항해항만학회지, 제30권 제10호, 한국항해항만학회, 2006. 12.
  10. 신건훈, "부산항 신항의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해양비즈니스, 한국해양비즈니스학회, 제12호, 2008. 12.
  11. 양원, "부산항 신항 개발에 따른 효율적인 항만운영 방안", 해운물류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제55호, 2007. 12.
  12. 조삼현, " '부산신항' 명칭문제로 본 '스타마케팅' 부재의 물류정책 ", 부산발전포럼, 통권 제94호, 2005, 7/8.
  13. 전찬영, "Logit모형을 이용한 부산 북항 및 신항의 물동량 유치 경쟁력 분석", 해운물류연구, 한국해운물류학회, 제57호, 2008. 06.
  14. 추연길.안기명, "부산항 컨테이너터미널 통합에 관한 연구 - 항만집중도분석과 통합효과-", 한국항만경제학회지, 제25집 제3호, 한국항만경제학회, 2009. 9.
  15. 허윤수, "부산신항 배후 국제산업물류도시 개발과 물류비즈니스 연계방안", 제2회 부산물류포럼, 부산광역시, 2008. 12.
  16. 부산항만공사 통계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