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ro Analysis of Factors Impacting on the Elderly's Suicide Rates in the Republic of Korea

노인자살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거시적 분석

  • Received : 2011.10.11
  • Accepted : 2011.11.17
  • Published : 2011.12.30

Abstract

The main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describe regional differentials of the rate and to explore factors impacting on the regional differentials among the elderly's suicide rate in the Republic of Korea. Suicide data among 16 provinces from 2000 to 2008 were used for the statistical analyses. Six independent variables, such as crude divorce rate, GRDP per capita, welfare budget proportion, number of leisure facilities, number of medical and housing welfare facilities, and number of sports facilities are introduced for the multiple regression analyses. Elderly suicide rate, female elderly's suicide rate, and male elderly's suicide rate are used for the dependent variable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Elderly's suicide rate has been increased constantly since 2000 and regional differentials of the elderly's suicide have been existed over time. According to the multiple regressions analyses, number of sports facilities(${\beta}$=-521), welfare budget proportion, and number of leisure facilities(${\beta}$=-219) hav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negative relationships with the elderly's suicide rate. On the other hand, number of medical facilities(${\beta}$=0.550), crude divorce rate(${\beta}$=0336) have shown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relationships with the elderly's suicide rate in the Republic of Korea. Finally,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alleviating the elderly's suicide rate are introduced and discussed.

이 연구의 목적은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차이를 기술하고 지역적인 노인자살률의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을 규명하는데 있다. 통계분석을 위하여 2000년부터 2008년까지 16개 광역자치단체의 자살에 대한 자료가 이용되었다. 조이혼율, 1인당 지역생산액, 복지예산비율, 여가시설수, 의료 및 주거복지시설수, 체육시설수 등 여섯 개 독립변수들이 다중회귀분석에 도입되었으며 노인자살률, 여성노인자살률, 남성노인자살률 등이 종속변수로 사용되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노인자살률은 2000년 이후 지속적으로 상승하였으며 노인자살률의 지역적 차이 역시 존재하였다. 다중회귀분석결과에 따르면 체육시설(${\beta}$=-521), 복지예산비율(${\beta}$=-375) 그리고 여가시설(${\beta}$=-219) 등은 노인자살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반면, 의료시설수(${\beta}$=0.550)와 조이혼율(${\beta}$=0336)은 노인자살률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결과를 기초로 하여 노인자살률을 완화시키기 위한 정책적 함의들이 소개되고 논의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김공외 (2006) "생활체육 참여 노인들의 생활만족과 여가만족의 상관성에 관한 연구" 한국체육정책학회지 4(2): 13-23.
  2. 김승용 (2004) "한국노인 자살률변동과 사회구조적 요인에 관한 연구" 사회복지정책 19: 181-205.
  3. 김헌경.이광자.허정.송은주 (2008) "노인우울 및 자살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간호과학 20(2): 62-69.
  4. 김형수 (2000) "노인자살의 이해와 일차적 예방" 한국인구학 23(2): 167-187.
  5. 김효창.손영미 (2006) "노인자살의 특성과 자살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12(2): 1-19.
  6. 노용환 (2006) "자살의 경제학적 분석 - 우리나라 시, 도별 패널자료를 이용한 접근 -" 경제학연구 54(3): 177-200.
  7. 박경애 (1999) "한.일 사망원인별 사망력 비교" 한국인구학 22(1): 37-63
  8. 배지연 (2004) "노인자살에 관한 사례분석: 신문기사 내용을 중심으로" 노인복지연구 23: 65-82.
  9. 배재남.이준영 (2008) 노인의 자살.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학지사.
  10. 보건복지부 (2008a) 노인복지시설 현황.
  11. 보건복지부(2008b) 2008년도 전국노인생활실태 및 복지욕구 조사 보고서.
  12. 오진경·조영태·김창엽 (2005) "2000년 우리나라 성인 자살자의 인구사회적 특성" 보건과 사회과학 13: 191-210.
  13. 유수현 (2005) "노인여가시설의 여가프로그램 실태분석" 여가학연구 13(2): 19-37.
  14. 유승호.류성곤 (2008) "자살의 이해와 예방 자살의 정신사회적 위험 요인" 자살의 이해와 예방 한국자살예방협회편 학지사.
  15. 유정균 (2008a) "가족불안정성이 노인자살에 미치는 영향, 1995-2005" 한양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성용 (2008b) "노인자살률의 지역별 편차" 한국인구학 31(2): 21-44.
  17. 은기수 (2005) "경제적 양극화와 자살의 상관성: 1997년 외환위기를 전후하여" 한국인구학 28(2): 97-129.
  18. 이민아.김석호.박재현.심은정 (2010) "사회적 관계 내 자살경험과 가족이 자살생 각 및 자살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인구학 33(2): 61-84.
  19. 이호선.백재간.손홍숙.서경석.박정희 (2006) 노인상담론 공동체.
  20. 장순환 (2002) "노인자살에 관한 연구: 군산지역을 중심으로" 원광대학교 행정대 학원 석사학위청구논문.
  21. 최인.김영숙.서경현 (2009) "노인의 자살충동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사회적 요인" 보건과 사회과학 25: 33-56.
  22. 최형임 (2008) "노인의 우울과 자살생각에 관한 구조모형" 사회복지개발연구 14(4): 355-375.
  23. 통계청 (2008) "사망원인(236항목)/성/연령(5세)별 사망자수(1983-2008)" 국내통 계포털 국내통계.
  24. 이성용 (2009) 2008년 사망원인 통계 결과.
  25. Conwell, Y (1998) "Management of Suicidal behavior in the Elderly" Psychiatric Clinic of north America 20: 667-683.
  26. Gelald, C. D. and John, M. and N. Ann. and M. Kring (2004) 이상심리학 이봉건 역 시그마프레스.
  27. McCall, P. L (1991) "Adolescent and Elderly White Male Suicide Trends" Journal of Gerontology 46: 643-651.
  28. OECD (2009) Economic, Environmental and Social Statistics Factbook.
  29. Simpson, M. and George H. Conklin (1989) "Socioeconomic Development, Suicide and Religion : A Test of Durkheim's Theory of Religion and Suicide" Social Force 67(4): 945-964.
  30. Stack, S (1981) "Divorce and Suicide" Journal of family Issues 2: 77-90.
  31. 이성용 (2000) "Suicide: A 15-year Review of the Sociological Literature Part II: Modernization and social Integration Perspectives" Suicide & Life - Threatening behavior 30(2): 163-176.
  32. World Health Organisation (2010) Health topic "suicide" http://www.who.int/topics/suicide/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