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Character of Distribution of Solar Radiation in Mongolia based on Meteorological Satellite Data

위성자료를 이용한 몽골의 일사량 분포 특성

  • Jee, Joon-Bum (Department of Applied Meteorolog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
  • Jeon, Sang-Hee (Department of Applied Meteorolog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
  • Choi, Young-Jean (Department of Applied Meteorolog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
  • Lee, Seung-Woo (Department of Applied Meteorolog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
  • Park, Young-San (Department of Applied Meteorology, National Institute of Meteorological Research) ;
  • Lee, Kyu-Tae (Department of Atmospheric and Environmental Sciences, Gangnung-Wonju National University)
  • 지준범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과) ;
  • 전상희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과) ;
  • 최영진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과) ;
  • 이승우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과) ;
  • 박영산 (국립기상연구소 응용기상과) ;
  • 이규태 (강릉원주대학교 대기환경과학과)
  • Received : 2012.01.20
  • Accepted : 2012.04.19
  • Published : 2012.04.30

Abstract

Mongolia's solar-meteorological resources map has been developed using satellite data and reanalysis data. Solar radiation was calculated using solar radiation model, in which the input data were satellite data from SRTM, TERA, AQUA, AURA and MTSAT-1R satellites and the reanalysis data from NCEP/NCAR. The calculated results are validated by the DSWRF (Downward Short-Wave Radiation Flux) from NCEP/NCAR reanalysis. Mongolia is composed of mountainous region in the western area and desert or semi-arid region in middle and southern parts of the country. South-central area comprises inside the continent with a clear day and less rainfall, and irradiation is higher than other regions on the same latitude. The western mountain region is reached a lot of solar energy due to high elevation but the area is covered with snow (high albedo) throughout the year. The snow cover is a cause of false detection from the cloud detection algorithm of satellite data. Eventually clearness index and solar radiation are underestimated. And southern region has high total precipitable water and aerosol optical depth, but high solar radiation reaches the surface as it is located on the relatively lower latitude. When calculated solar radiation is validated by DSWRF from NCEP/NCAR reanalysis, monthly mean solar radiation is 547.59 MJ which is approximately 2.89 MJ higher than DSWRF.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calculation and reanalysis data is 0.99 and the RMSE (Root Mean Square Error) is 6.17 MJ. It turned out to be highest correlation (r=0.94) in October, and lowest correlation (r=0.62) in March considering the error of cloud detection with melting and yellow sand.

몽골의 태양-기상자원지도는 위성자료 및 재분석 자료를 이용하여 개발되었다. 태양복사량은 단층 태양복사모델을 이용하였으며 입력자료는 SRTM, MODIS, OMI, MTSAT-1R 등의 위성관측자료와 전구모델의 재분석자료를 이용하였다. 계산된 결과는 NCEP/NCAR 재분석 DSWRF 자료를 이용하여 계산된 일사량을 검증하였다. 몽골은 서부의 산악지역과 중남부의 사막 및 반사막지대로 이루어져 있으며 대륙 내부에 위치하여 강수량이 적고 맑은 날이 많아 동일 위도상의 다른 지역과 비교하여 높은 일사량이 나타난다. 서부 산악지역은 고도가 높아 태양에너지가 많이 도달되는 곳임에도 불구하고 일사량이 낮게 나타난다. 그 이유는 산악지역에 존재하는 연중 적설이 위성자료의 구름탐지 알고리즘에서 구름으로 오탐지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천지수뿐만 아니라 일사량 또한 낮게 계산된다. 남부지역은 상대적으로 높은 가강수량과 에어로솔 광학두께가 나타났으나 다른 지역에 비해 위도가 낮고 청천지수가 높아 일사량이 높게 나타나는 것으로 분석된다. 계산된 월 누적 일사량은 547.59 MJ로써 전 지점에서 약 2.89 MJ로 높게 계산되었으며 상관성은 0.99였고 평방근오차(Root Mean Square Error; RMSE)는 6.17 MJ 이었다. 월별 통계 값을 계산하였을 때 상관성이 가장 높은 월은 10월로 0.94였고 3월은 0.62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심의섭, 2009, 한국과 몽골간의 자원개발 협력. 한국몽골학회지, 26, 279-312.
  2. 유정문, 정명재, 이규태, 김준, 이주은, 허영민, 김보미, 이윤곤, 이재화, 윤종민, 이원학, 2008, 에어러솔 대기에서 단파 영역에서의 복사전달모델들의 상호비교. 한국지구과학회지, 29, 128-139. https://doi.org/10.5467/JKESS.2008.29.2.128
  3. 유정문, 정명재, 이규태, 김준, 허창회, 안명환, 허영민, 이주은, 유혜림, 정주용, 신인철, 최용상, 김영미, 2007, 레일리 대기에서 단파 영역에서의 복사전달모델 결과들의 상호 비교. 한국지구과학회지, 28, 298-310. https://doi.org/10.5467/JKESS.2007.28.3.298
  4. 이병일, 김윤재, 정주용, 이상희, 오성남, 2007, MTSAT-1R 정지 기상위성 자료를 이용한 전운량 산출 알고리즘 개발. 한국기상학회지, 17, 125-133.
  5. 조덕기, 강용혁, 2005, 국내 태양에너지 측정데이터의 신뢰성 평가 및 보정에 관한 연구. 한국태양에너지학회 논문집, 25, 11-18.
  6. 조일성, 지준범, 이원학, 이규태, 최영진, 2010, 복사모델에 의한 남한의 지표면 태양광 분포. 한국기후변화학회지, 1, 147-161.
  7. 지준범, 김영도, 이원학, 이규태, 2010, 일사 관측 자료에 의한 남한의 태양복사 시공간 분포. 한국지구과학회지, 31, 720-737. https://doi.org/10.5467/JKESS.2010.31.7.720
  8. 지준범, 이원학, 조일성, 이규태, 2011a, 다층상세태양복사 모델에 의한 단층 태양복사모델의 보정. 대기지, 21, 151-162.
  9. 지준범, 조일성, 이규태, 최영진, 2011b, 지형효과를 고려한 지표면 태양광 분포. 한국지구과학회지, 32, 190-199.
  10. Iqbal, M., 1983, An introduction to solar radiation. Academic Press, NY, USA, 391 p.
  11. NCEP/NCAR homepage: http://www.esrl.noaa.gov (검색일: 2012. 4. 19.)
  12. Perez, R., Ineichen. P., Moore, K., Kmiecik, M., Chain, C., George, R., and Vignola, F., 2002, A new operational model for satellite-derived irradiances: Description and validation. Solar Energy, 73, 307-317. https://doi.org/10.1016/S0038-092X(02)00122-6

Cited by

  1. A Study on the Retrievals of Downward Solar Radiation at the Surface based on the Observations from Multiple Geostationary Satellites vol.29, pp.1, 2013, https://doi.org/10.7780/kjrs.2013.29.1.12
  2. Estimation of Global Horizontal Insolation over the Korean Peninsula Based on COMS MI Satellite Images vol.29, pp.1, 2013, https://doi.org/10.7780/kjrs.2013.29.1.14
  3. Radiometer Measurement Intercomparison using Absolute Cavity Radiometer in Regional Radiometer Center at Tsukuba, Japan vol.12, pp.4, 2016, https://doi.org/10.7849/ksnre.2016.12.12.4.005
  4. The Estimation of Monthly Average Solar Radiation using Sunshine Duration and Precipitation Observation Data in Gangneung Region vol.37, pp.1, 2016, https://doi.org/10.5467/JKESS.2016.37.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