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urvey on the Forest Cultural Asset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for the Designation and Maintenance of Law-protected Trees

보호수 지정 및 관리를 위한 남해안 지역 산림문화자산 실태조사

  • Kang, Kee-Rae (Institute of Agricultural Science and Technology,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 강기래 (경북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Forests are one of the basic assets nearest our daily lives that provide the foundation of life necessities, culture and even survival. These assets pervade local residents' lives as culture and the necessities of life, and they will be handed down to posterity. Therefore, this study was conducted to carry out a field survey on old trees, plant communities and forests in the southern coastal areas in Korea, where not many surveys were not conducted on the forest cultural assets, further examining a possibility that some of the trees should be designated as law-protected. As for the survey of plants, this study investigated 80 different spots of old trees, plant communities and forests, located in 11 cities and counties in Gyengnam Province and Jeonnam Province adjacent to the southern coast of Korea. To measure the health and actual maintenance conditions of old trees and plant communities objectively, the standard of judgment was established through the brain storming of experts. As a result of the field survey, out of all the old trees and plant communities that are not law-protected, this study selected old trees and plant communities that are in good health and likely to pass the standard of designating law-protected trees according to the Established Rule 574 of the Korea Forest Service Regulation. As for the plant community and old trees likely to be law-protected, this study judged that the torreya forest in Naneum Li, Namhae and old trees in 13 spots, in cluding so-called 'Couple Pine Tree' in Pyeongsa Li, Hadong, have a high possibility of being designated as a law-protected plant community and old trees. As for the species of old trees, there were 3 zelkova serrata trees, 3 celtis sinensis persoon trees, 2 pinus densiflora trees, 1 castanopsis cuspidata tree, 1 salix chaenomeloides tree and 1 machilus thunbergii tree found in the survey areas. Overall, this study judged that those old trees and plant communities require a national systematic maintenance by being designated as law-protected ones, and their values should be handed down to posterity as our forest cultural assets.

산림은 우리 생활 가까이에서 의복과 문화, 생존의 기반을 제공해 주고 있는 기본적인 자산이다. 이러한 자산은 문화와 생활로서 지역 주민들의 삶 속에 녹아들어 있으며, 후세로 이어져 나갈 것이다. 본 연구는 산림문화자산에 대한 조사가 부족한 지역인 남해안지역의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에 대한 현지조사를 실시하여, 보호수로서의 지정가능성을 검토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현장 조사는 남해안에 접해 있는 경남지방 전남지방의 11개 시, 군에 위치한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 등 80개소를 조사하였다.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의 건강성과 관리상태를 비교적 객관적으로 측정하기 위한 판단기준을 전문가 표적토론(brainstorming)을 통하여 설정하였다. 현장 조사 결과, 현재 보호수로 미지정된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 중에서 산림청 예규 제 574호의 기준에 의한 법정보호수 지정 기준을 통과하고, 관리상태도 좋은 노거수 및 군락지와 숲을 선정하였다. 군락지는 남해 난음리 비자나무 숲이 선정가능성이 높으며, 노거수는 하동 평사리 부부소나무를 포함한 13개소의 나무들이 지정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노거수의 수종은 느티나무 3주, 팽나무 3주, 소나무 2주, 모밀잣밤나무, 왕버들, 후박나무 각 1그루씩이었다. 이러한 노거수와 군락지는 보호수로 지정하여서 국가의 체계적인 관리를 필요로 하며, 우리의 산림문화자산으로서 그 가치를 이어가야할 것으로 판단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구자봉, 윤선희, 박동진, 이원호, 김효정, 공달용, 김태식, 정종수(2007). 천연기념물 노거수 3D정밀 실측 조사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4): 101-110.
  2. 김재준, 김기원, 하시연, 윤은용, 이천용, 유리화(2009). 산림문화자산 유형분류 및 조사체계개발. 서울: 웃고문화사.
  3. 김태식, 이창훈, 박인환, 이혜영(2009). 전라도지역의 천연기념물 노거수 생육 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4): 136-147.
  4. 김현정, 윤용한, 박봉주, 김원태(2007). 서울시 보호수의 생육환경 및 관리실태 조사 연구 -느티나무(Zelkovaserrata)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2): 127-140.
  5. 김혜란, 김동엽, 박준석, 이기의, 박원제(2010). 강원도 보호수의 현황과 관리 실태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1): 12-26.
  6. 박봉주, 윤용한, 김원태, 이원호(2007). 충주시 느티나무 보호수의 생육환경 분석.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5(1): 60-71.
  7. 박상진(2007). 나무에 새겨진 팔만대장경의 비밀. 서울: 김영사.
  8. 박상진(2009). 우리문화재 나무답사기. 서울: 왕의서재.
  9. 산림청(2010). 전국 보호수 관련 자료.
  10. 산림청(1984). 보호수지. 서울: (주)계문사.
  11. 손진관, 신지훈, 안필균, 강방훈(2011). 생육환경에 따른 보호수 이미지 평가 연구 -예산군 느티나무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7(2): 33-41.
  12. 서정영, 이영이, 나명하. 이재근(2009). 보호수 생육환경 분석을 통한 환경개선에 관한 연구 -화성시 보호수를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3): 93-102.
  13. 심우경, 신세균(1992). 보호수의 관리실태 및 보호대책 -충청북도 영동군, 보은군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10(2): 61-90.
  14. 심우경(1991). 한국 보호수의 (保護樹)상징적 가치와 보호 대책. 한국전통조경학회지. 9(1): 91-104.
  15. 유주한, 박경훈, 이영환(2011). 창원시 보호수의 분포현황과 실태진단.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9(1): 59-70.
  16. 윤용한, 주진희(2010): 제천시 보호수의 생육환경 및 관리현황 평가.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8(2): 67-74.
  17. 이선, 배상원(2005). 창덕궁 노거수(老巨樹)의 수령 측정 및 생육 환경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3(2): 19-35.
  18. 임동옥, 제갈은기(2011). 광주광역시 노거수의 분포 및 생육현황.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5): 736-746.
  19. 장동수, 이종범(2008). 사진을 통해 본 보호수 변천과정 및 보전방안 연구 -평택시 보호수를 대상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4): 49-58.
  20. 장은재, 김종원(2007). 노거수의 생태와 문화. 서울: 월드사이언스.
  21. 전영우(2005). 숲과 문화. 북스힐: 서울.
  22. 정근, 서정영, 이재근(2009). 노거수(老巨樹)환경여건 개선을 위한 은행나무와 소나무의 생육환경 분석 -천연기념물 및 시, 도 기념물을 중심으로-.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7(1): 57-65.
  23. 정종수, 주상현, 이재근(2008). 노거수 외과수술실태 및 보존 관리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6(1): 97-105.
  24. www.kiss.kstud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