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Hydrometeorological Time Series Analysis of Geum River Watershed with GIS Data Considering Climate Change

기후변화를 고려한 GIS 자료 기반의 금강유역 수문기상시계열 특성 분석

  • 박진혁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 이근상 (전주비전대학교 지적부동산과) ;
  • 양정석 (국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부) ;
  • 김세원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수자원연구소)
  • Received : 2012.04.13
  • Accepted : 2012.06.25
  • Published : 2012.06.30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he quantitative analysis of climate change effects by performing several statistical analyses with hydrometeorological data sets for past 30 years in Geum river watershed. Temperature, precipitation, relative humidity data sets were collected from eight observation stations for 37 years(1973~2009) in Geum river watershed. River level data was collected from Gongju and Gyuam gauge stations for 36 years(1973~2008) considering rating curve credibility problems and future long-term runoff modeling. Annual and seasonal year-to-year variation of hydrometeorological components were analyzed by calculating the average, standard deviation, skewness, and coefficient of variation. The results show precipitation has the strongest variability. Run test, Turning point test, and Anderson Exact test were performed to check if there is randomness in the data sets. Temperature and precipitation data have randomness and relative humidity and river level data have regularity. Groundwater level data has both aspects(randomness and regularity). Linear regression and Mann-Kendal test were performed for trend test. Temperature is increasing yearly and seasonally and precipitation is increasing in summer. Relative humidity is obviously decreasing.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used for the evaluation of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on water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future water resources management technique development plan.

본 연구는 금강유역을 대상으로 과거 약 30년간의 기상 수문시계열자료들을 수집해 다양한 통계분석을 수행하여 기후변화의 영향을 정량적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기상자료로 금강유역 기상관측소 8개소의 37개년(1973~2009)의 기온, 강수량, 상대습도 자료를 수집하였고, 하천수위자료는 수위자료와 수위-유량관계곡선의 신뢰성 문제, 이후 수행될 장기유출분석을 고려하여 공주, 규암 수위관측소의 36개년(1973~2008)의 자료를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평균, 표준편차, 왜곡도, 변동계수를 산출하여 연 계절별로 수문기상인자의 경년변화를 파악한 결과 기상인자 중 강수량의 변동성이 가장 크게 나타나 경년별 변화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문학적 지속성 분석을 위해 Run 검정, Turning Point 검정, Anderson Exact검정을 이용하여 시계열자료에 주기성이 있는지 분석한 결과 기온과 강수는 무작위성, 상대습도, 하천수위는 지속성을 가지는 인자로 분석되었고 지하수위는 관측소별, 기간별로 무작위성과 지 속성이 혼재되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경향성 분석을 위해 단순 선형 회귀분석과 Mann-Kendall 검정법을 이용한 결과 기온은 연 계절 모두 증가경향이 나타났고, 강수량은 여름에만 증가경향이 나타났으며, 상대습도는 뚜렷한 감소경향을 보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기후변화로 인해 발생될 수 있는 수자원의 영향을 평가하고 미래 물 관리 적응기술 개발 및 계획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Anderson, R.L., 1942, "Distribution of the Serial Correlation Coefficient," Ann. Mathematical Statistics, Vol.13, No.1.
  2. Clarke, R.T., 1973, "Mathematical Models in Hydrology", Irrigation and Drainage Paper, Vol. 19,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U.N., Rome.
  3. Gibbons, J.D., 1990, Handbook of statistical methods for engineers and scientists, McGrawHill, ed. Harroson M.W.
  4. Gregory, J.M, Mitchell, J.F.G. and Brady, A.J., 1997, "Summer drought in Northern midlatitudes in a time-dependent CO2 climate experiment," Journal of Climate, No.10, pp. 662-686.
  5. Keeping, E.S., 1966, "Distribution Free Methods in Statistics," Proceeding of Hydrology Symposium, No.5, McGill University, Canada.
  6. Kendall, M.G., 1975, Rank Correlation Methods. Griffin, London.
  7. Mann, H.B., 1945, "Nonparametric tests against trend," Econometrica, Vol.13, pp. 245-259. https://doi.org/10.2307/1907187
  8. Wetherald, R.T. and Manabe, S., 1995, "The mechanisms of summer dryness induced by greenhouse warming," Journal of Climate, No.8, pp. 3096-3108.
  9. 국가수자원관리 종합정보시스템, 2010, http://www.wamis.go.kr
  10. 국가지하수정보센터, 2010, http://www.gims.go.kr
  11. 국토해양부, 2007, 이상홍수 평가기술 개발 연구보고서, 인하대학교.
  12. 과학기술부, 2007, 수자원의 지속적 확보기술개발사업: 기후변화에 의한 수자원 영향평가 체계 구축, 21세기 프론티어 사업. 과학기술부.
  13. 기상청, 2010, http://www. kma.go.kr
  14. 김웅태, 유철상, 이동률, 이준열, 2000,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유출 영향 분석,"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483-486.
  15. 김병식, 김형수, 서병하, 김남원, 2004, "기후변화가 용담댐 유역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7권, 제2호, pp. 185-193.
  16. 김웅태, 이동률, 유철상, 2004,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유출 영향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제37권, 제4호, pp. 305-314.
  17. 배덕효, 정일원, 2004, "기후변화와 수자원 대응," 한국기후변화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5-14.
  18. 배덕효, 정일원, 권원태, 2007, "수자원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를 위한 고해상도 시나리오 생산,"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40권, 제3호, pp. 191-204.
  19. 서용원, 이승현, 김영오, 이동률, 2000, "대청댐 운영에 대한 기후변화 영향평가,"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427-430.
  20. 안소라, 박진혁, 채효석, 황의호, 2010, "기후변화를 고려한 금강유역 수문기상인자의 특성분석,"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논문집, pp. 1250-1253.
  21. 안재현, 유철상, 윤용남, 2001, "GCM결과를 이용한 지구온난화에 따른 대청댐 유역의 수문환경변화 분석,"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34권, 제4호, pp. 335-345.
  22. 예령, 정세웅, 오동근, 윤성완, 2009, "기후변화에 따른 대청호 유역의 물순환 및 토양유실량 영향," 한국물환경학회 논문집, 제25권, 제6호, pp.821-831.
  23. 윤용남, 이재수, 유철상, 안재현, 1999, "지구온난화에 따른 한반도 수문환경의 변화 연구,"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대회 논문집, pp. 165-168.
  24. 이근상, 최연웅, 2010, "GIS 기반 FLUMEN 모형을 이용한 남대천 홍수범람 모의",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제2호, pp. 25-34.
  25. 이근상, 최연웅, 2010, "LiDAR와 MBES를 이용한 댐 저수지 3차원 공간영상정보 구축", 한국공간정보학회지, 제18권, 제3호, pp. 1-11.
  26. 이재경, 김영오, 이경택, 2009,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조합기법에 관한 연구,"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논문집, pp. 621-626.
  27. 이재경, 김영오, 2010, "기후변화 표준 시나리오선정에 관한 연구," 한국기후변화학회 논문집, 제1권, 제1호, pp. 59-73.
  28.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 2010, 미래 물관리를 위한 기후변화 대응방안 도출연구(1차년도)보고서.
  29. 황준식, 정대일, 이재경, 김영오, 2007, "기후변화영향평가를 위한 월 물수지모형의 적용성 검토,"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40권, 제2호, pp.147-158.

Cited by

  1. Estimation of Water Quality using Landsat 8 Images for Geum-river, Korea vol.48, pp.2, 2015, https://doi.org/10.3741/JKWRA.2015.48.2.79
  2. GIS기반의 기후·환경 분야 자료 공유를 위한 Client/Server 방식의 통합DB 관리시스템 개발 vol.17, pp.2, 2012, https://doi.org/10.11108/kagis.2014.17.2.032
  3. IPCC AR5 RCP 8.5 시나리오 기반 태풍발생 공간분석 vol.22, pp.4, 2012, https://doi.org/10.12672/ksis.2014.22.4.049
  4. 데이터 스크린 기법을 이용한 연강수량의 통계적 특성 분석 vol.13, pp.3, 2020, https://doi.org/10.21729/ksds.2020.13.3.15
  5. Effect of Climate Change on Annual Precipitation in Korea Using Data Screening Techniques and Climate Change Scenarios vol.11, pp.10, 2012, https://doi.org/10.3390/atmos111010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