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Inquiry Mentoring' Program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서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

  • Received : 2013.09.10
  • Accepted : 2013.11.25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difficulties in the 'inquiry mentoring' program, which was developed to improve pre-service science teachers' inquiry teaching ability. For this study, I developed the 'inquiry mentoring' program in whic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aught high school students. This program was adapted for 2.5 months, and 45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articipated and taught 44 high school students. During this program, pre-service science teachers kept 'mentor diaries' and wrote 'mentoring reports' at the end of the program. Interviews were conducted with all pre-service science teacher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ought that the difficulties in inquiry mentoring resulted from their inadequacy (mentor factor) than students' inadequacy (mentee factor). Secon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perceived their lack of cognitive ability, inquiry ability and teaching ability as a mentor factor. Third, pre-service science teachers thought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students' differences and lack of activity as a mentee factor. Fourth, they described difficulties caused by emotional distance as well as physical distance as an interaction factor. They also mentioned the difficulties related to teaching range and online interaction. Fifth, pre-service science teachers expressed a sense of frustration with the inquiry environment. Additionally, some implications were discussed for pre-service science teacher education through the 'inquiry mentoring' program.

본 연구는 예비교사들의 탐구지도능력 향상을 위해 개발된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에 참가한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연구를 위해서 예비 과학교사들이 고등학생들의 탐구를 지도하는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은 2.5개월 동안 적용되었는데, 45명의 예비 과학교사가 참여하여 고등학생 44명의 탐구를 지도하였다. '탐구 멘토링' 과정 동안 예비 과학교사들은 멘토 일지를 작성하였고, '탐구 멘토링'이 끝난 이후에 멘토링 보고서를 작성하였다. 또한 멘토링 과정 중과 멘토링이 모두 끝난 이후에 개별 면담을 실시하였다. 이를 통해 예비 과학교사들이 겪은 어려움을 분석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학생들에 의한 어려움인 '멘티' 요인보다 자신들의 부족함에 의한 어려움인 '멘토' 요인이 더 컸다고 응답하였다. 둘째, 예비 과학교사들은 '멘토' 요인인 인지적 능력의 부족, 탐구 능력의 부족, 지도 능력의 부족 등에서 고르게 자신의 부족함을 인지하고 있었다. 셋째, '멘티' 요인에 의한 어려움에서는 학생들의 차이, 적극성 및 열의의 부족 등에 의하여 어려웠다고 응답하였다. 넷째, '상호작용' 요인에 의한 어려움에서는 물리적인 거리에 의한 어려움이 많았고, 감정적인 거리에 의한 어려움도 많이 제시되었다. 또한 지도의 범위를 선정하기 어려웠다는 의견과 온라인 상호작용에 의한 어려움도 제시되었다. 다섯째, '환경'요인으로 학생들의 탐구를 효율적으로 지원할 수 있는 지원체제에 대한 아쉬움이 많이 표현되었다. 아울러 '탐구 멘토링' 프로그램을 통한 예비교사 교육에 대한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인적자원부 (2007).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인적자원부 고시 제 2007-79호.
  2. 김영민, 박종원, 박종석, 이효녕, 김영신, 오희진 (2009). 한국, 미국, 영국의 과학교사 양성 교육과정 비교 분석. 교사교육연구, 48(3), 33-58.
  3. 김종희, 이기영 (2006). 사범대학 교사 양성 교육 과정 현황 분석 및 개선 방안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27(4), 390-400.
  4. 김희경, 윤희숙, 이기영, 조희형 (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과정의'자유탐구'에 대한 중등과학교사의 인식. 중등교육연구, 58(3), 213 -235.
  5. 박재용, 이기영 (2011). 중학교 과학 자유 탐구 수행 실태 및 교사와 학생의 인식. 교과교육학연구, 15(3), 603-632.
  6. 변선미, 김현주 (2011). 자유 탐구 활동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및 자유 탐구 활동이 중학생들의 과학 탐구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2), 210-224.
  7. 심재호, 신명경, 이선경 (2010). 2007년 개정 과학과 교육 과정의 주요 내용의 실행에 관한 과학 교사의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140-156.
  8. 이경학, 지경준, 박종원 (2010). 초등학교 현장 교사들의 자유탐구에 대한 인식 조사. 교사교육연구 49(1), 71-87.
  9. 이용섭 (2009). 초등 예비 교사의 자유탐구 방법에 대한 선호도 및 실행 결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8(4), 440-449.
  10. 임성만, 양일호, 김순미, 홍은주, 임재근 (2010). 초등 예비교사들이 자유 탐구 활동 중에 겪은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91-303.
  11. 임정훈 (1999). 웹 기반 문제해결학습 환경에서 소집단 협동학습전략이 온라인 토론의 참여도와 문제해결에 미치는 효과.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12. 정우경, 이준기, 오상욱 (2011). 중학교 학생들의 자유탐구 활동 중 주제선정단계에서 나타난 어려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8), 1199-1213.
  13. 정인성, 임철일, 최성희, 임정훈 (2000). 평생 교육을 위한 웹 기반 학습에서 상호작용 유형에 따른 효과 분석. 교육공학연구, 16(1), 223-256.
  14. 조현준, 한인경, 김효남, 양일호 (2008). 초등학교 과학 탐구 수업 실행의 저해 요인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8), 901-921.
  15. 조희형, 박승재 (1993). 과학교직관과 과학교사상에 대한 문헌 연구 및 실태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3(3), 377-388.
  16. 진순희, 장신호 (2007). 과학 탐구에 대한 초등 교사들의 지도 경험. 초등과학교육, 26(2), 181-191.
  17. 황현정, 전영석 (2009). 초등 예비 교사들의 자유 탐구 수행 능력 분석. 초등과학교육, 28(4). 404-414.
  18. Abd-El-Khalick, F., Bell, R. L., & Lederman, N. G. (1998). The nature of science and instructional practice: Making the unnatural. Science Education, 82, 417-436. https://doi.org/10.1002/(SICI)1098-237X(199807)82:4<417::AID-SCE1>3.0.CO;2-E
  19. American Association for the Advancement of Science(AAAS) (1994). Benchmarks for Scientific Literacy: Project 2061. New York, USA: Oxford University Press.
  20. Bell, R. L., Blair, L. M., Crawford, B. A., & Lederman, N. G. (2003). Just do it? Impact of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87-509. https://doi.org/10.1002/tea.10086
  21. Crawford, B. A. (1999). Is it realistic to expect preservice teacher to create an inquiry-based classroom?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10, 175-194. https://doi.org/10.1023/A:1009422728845
  22. Fishman, B., Marx, R. W., Best, S., & Tal, R. T. (2003). A design approach to professional development: Linking teacher and student learning in systemic reform.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9, 643-658. https://doi.org/10.1016/S0742-051X(03)00059-3
  23. Hara, N., Bonk, C. J., & Angeli, C. (2000). Content analysis of online discussion in an applied educational psychology course. Instructional Science, 28, 225-152.
  24. Hodson, D. (1982). Is there a scientific method? Education in Chemistry, 19(4), 112-126.
  25. Inoue, N. (2009). Rehearsing to teach: content-specific deconstruction of instructional explanations in preservice teacher training. Journal of Education for Teaching, 35(1), 47-60. https://doi.org/10.1080/02607470802587137
  26.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1996).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USA: National Academy Press.
  27. National Research Council(NRC) (2000). Inquiry and the 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Washington, D.C, USA: National Academy Press.
  28.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NSTA) (2003). Standards for Science Teacher Preparation.
  29. National Science Teachers Association(NSTA) (2012). 2012 NSTA Preservice Science Standards.
  30. Relan, A., & Gillani, B. B. (1997). Web-based information and the traditional classroom: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B. H. Khan, (Ed.), Web-Based Instruction (pp. 41-58).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
  31. Romisz-owski, A. J. (1997). Web-Based Distance Learning and Teaching. In B. H. Khan, (Ed.), Web-Based Instruction (pp. 41-58). Englewood Cliffs, N.J.: Educational Technology Publication.
  32. Shulman, L.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al Review, 57(1), 1-22.
  33. Tal, R., & Argaman, S. (2005). Characteristics and difficulties of teachers who mentor environmental inquiry projects. Research in Science Education, 35, 363-394. https://doi.org/10.1007/s11165-004-8163-y
  34. Tamir, P. (1983). Inquiry and the science teacher. Science Education, 67, 657-672. https://doi.org/10.1002/sce.3730670513
  35. Wellington, J. J. (1998). Practical work in science: time for a reappraisal. In J. J. Wellington(Ed.), Practical work in school science (pp. 3-15). NY: Routledge.
  36. Windschitl, M. (2000). An analysis of preservice science teachers'open inquiry experiences.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Conference, New Orleans, LA.

Cited by

  1. An Investigation on Pre-service Chemistry Teachers’ Difficulties in Practice of Inquiry-based Experiment vol.59, pp.5, 2015, https://doi.org/10.5012/jkcs.2015.59.5.434
  2. Preservice Biology Teachers’ Practices and Reflection on Science Inquiry-based Teaching vol.44, pp.2, 2016, https://doi.org/10.15717/bioedu.2016.44.2.289
  3.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 탐구 교수 학습의 효과성 탐색 -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을 중심으로 - vol.45, pp.1, 2013, https://doi.org/10.15717/bioedu.2017.45.1.16
  4. 중학교 과학 교사들의 과학 탐구 교수 효능감에 대한 인식 vol.38, pp.3, 2013, https://doi.org/10.14697/jkase.2018.38.3.37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