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oretical Proposal and Consideration on Longitudinal Study of Entrepreneurial Gifted Youth

기업영재 종단연구의 이론적 제안 및 고찰

  • Received : 2013.09.13
  • Accepted : 2013.10.27
  • Published : 2013.10.31

Abstract

Research on entrepreneurial gifted youth who have immense potential within the national economy in the near future is critical.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stablish the proper goal and direction of longitudinal study on entrepreneurial gifted youth and to identify substantial research problems. In order to do a theoretical inspection around preceeding research related with the field, longitudinal study of entrepreneurial youth (including gifted education and entrepreneurship) was executed. As a result, the goal, 'the verification of whether entrepreneurs can be cultivated by educational interventions' was derived as an appropriate research direction. Also, 4 major research problems are presented: (1) Description of the features of entrepreneurial gifted youth and their developmental pattern, (2) Explanation of the effects of educational intervention on intensifying entrepreneurial giftedness, (3) Prediction which identifies the factors that influence the youths' success as eminent entrepreneurs, and (4) Control over promoting talented individuals and refining relevant policy and institutions. Implications and further research directions are also discussed.

국가 경제의 성장 및 발전에 있어 파괴적 잠재력을 가진 기업영재에 대한 연구는 무엇보다 중요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업영재 종단연구의 목적과 방향성을 확립하고 적절한 연구 문제를 도출하기 위한 기본적인 이론적 고찰을 수행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기업영재 종단연구와 관련된 기초 분야 및 선행 연구들에 대한 이론적 탐색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기업영재 종단연구의 적합한 연구 방향으로서, '기업영재의 발달적 특성 규명을 통한 기업가의 육성 가능성 검증'이라는 궁극적 목적이 도출되었다. 또한 기업영재의 특성 및 본질에 대한 기술, 기업영재에 대한 교육 프로그램 및 정서적 지원에 대한 효과성 검증, 기업영재의 향후 성취를 예언하는 변인의 확인, 그리고 제도 및 정책적 개선을 위한 시사점 도출이라는 네 가지 연구문제가 제안되었다. 논의에서는 기업영재 및 창의 인재 개발에 대한 함의와 제한점 및 향후 연구 방향을 제시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김대업, 성창수 (2013). 잠재적 창업가의 예비 창업행동과 사회적 책임의식간의 관계: 마이스터고 학생들을 중심으로. 중소기업연구, 35(1), 25-46.
  2. 김종관 (1994). 기업가정신의 개념과 연구접근방법. 대한경영학회지, 9(1), 27-52.
  3. 미래창조과학부 (2007). 과학영재 발굴 ․ 육성 종합 계획. http://www.msip.go.kr (검색일: 2013. 09. 12).
  4. 박경빈 (2012). 한국영재교육의 연구동향 분석. 영재교육연구, 22(4), 823-840.
  5. 박기문, 이규녀, 이병욱, 나영민, 이경표, 손다미, 이상현 (2012). 발명영재 교원 및 전문직 인식에 기반한 발명영재교육의 방향 탐색. 영재교육연구, 22(1), 1-21.
  6. 박주용, 오현숙 (2003). 기질 및 성격의 측정법을 통해 본 과학/수학 영재의 특성. 교육심리연구, 17(4), 49-67.
  7. 박주용, 오현숙 (2005). 기질 및 성격검사에서 밝혀진 영재기관 영재의 특성이 영재 선발에 주는 시사점.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11(1), 143-156.
  8. 배종태 (1998). 기업가정신 및 벤처경영에 관한 교육과정개발. 벤처경영연구, 1(2), 155-180.
  9. 배종태, 차민석 (2009). 기업가정신의 확장과 활성화. 중소기업연구, 31(1), 109-128.
  10. 서울경제신문 (2013). 기업가정신이 창조경제 만든다: <10> 창업DNA 되찾아야.
  11. 양태용, 김인수 (2006). 대학의 Entrepreneurship(기업가정신) 교육 현황과 특징에 관한 연구: 한국과 미국 대학을 중심으로. 2006년 대한산업공학회 춘계학술대회 논문집. 1493-1507.
  12. 오헌석 (2007). 역량중심 인적자원개발의 비판과 쟁점 분석. 경영교육논총, 47, 191-213.
  13. 이성진 (2005). 한국인의 성장 발달: 30년 종단적 연구. 서울: 교육과학사.
  14. 이재호, 박경빈, 진석언, 류지영, 이상철, 안성훈, 진병욱 (2012). 발명영재상 수립을 위한 발명영재의 특성 이해. 영재교육연구, 22(3), 551-573.
  15. 이찬 (2009). 차세대 영재기업인 선발모형 개발 및 육성체계 구축. 서울: 특허청, 한국발명 진흥회.
  16. 이현숙, 백민정 (2012). 청소년의 개인특성이 창업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주관적 규범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기업가정신과 벤처연구, 15(5), 65-84.
  17. 정대용, 한관섭 (2013). 창업활동이 성장의도를 매개로 창업결과만족에 미치는 영향. 중소기업연구, 34(1), 97-119.
  18. 조석희 (2004). 영재성의 발달 및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종단연구(2004-2018): 1차년도 연구(검사도구 개발을 중심으로).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19. 조석희 (2005). 영재성의 발달 및 프로그램 효과에 관한 종단연구(2004-2018): 2차년도(조사대상자 선정 및 횡단 분석). 서울: 한국교육개발원.
  20. 추기능 (2005). 지식기반 경제의 이해. 서울: 한국발명진흥회.
  21. 최민경, 이행은 (2013). 청소년 기업영재의 기질 및 성격 특성. 영재교육연구, 23(1), 89-107. https://doi.org/10.9722/JGTE.2013.23.1.89
  22. Athayde, R. (2009). Measuring enterprise potential in young people.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33(2), 481-500. https://doi.org/10.1111/j.1540-6520.2009.00300.x
  23. Bae, Z., Bae, J., Kim, J., Lee, S., Suh S., & Park, S. (2007). The tale of two valleys: Daeduk and Teheran, in Rowen, H., Hancock, M. & Miller, W. (eds.), Making IT: The rise of Asia in high-tech (pp. 175-194).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24. Bygrave, W., & Zacharakis, A. (2013). 기업가정신 [이민화, 이현숙 역]. 서울: 동서미디어. (원본출간년도: 2011).
  25. Chell, E. Athayde, R. (2009). The identification and measurement of innovative characteristics of young people. NESTA Research Report.
  26. Gardner, H. (1983). Frames of mind. The theory of multiple intelligences. New York: Basic Books.
  27. Krueger, N. F. (1993). The impact of prior entrepreneurial exposure on perception of new venture feasibility and desirabiltiy.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 5-21. https://doi.org/10.1177/104225879301800101
  28. Krueger, N. F, & Brazeal, D. V. (1994). Enrepreneurial potential and potential entrepreneurs. Entrepreneurship Theory and Practice, 18(3), 91-104.
  29. LG주간경제 (2004). 선진국 경험에서 배우는 청년실업 대책.
  30. Lubinski, D., Benbow, C. P. (2006). Study of mathematically precocious youth after 35 years. Perspectives on Psychological Science, 1(4), 316-345. https://doi.org/10.1111/j.1745-6916.2006.00019.x
  31. Lubinski, D., Benbow, C. P., Webb, R., & Bleske-Recheck, A. (2006). Tracking exceptional human capital over two decades. Psychological science, 17(3). 194-199.
  32. OECD (1996). The knowledge-based economy. Pris: OECD.
  33. Perleth, C., & Heller, K. A. (1994). The Munich longitudinal study of giftedness. In R. F. Subotnik & K. D. Arnold (Eds.), Beyond terman: Contemporary longitudinal studies of giftedness and talent (pp. 77-114).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34. Renzulli, J.S. (1978). What Makes Giftedness? Reexamining a Definition. Phi Delta Kappan, 60(3), 180-184, 261.
  35. Robinson, A., & Clinkenbeard, P. R. (1998). Giftedness: An exceptionality examined. Annual Review of Psychology, 49, 117-139. https://doi.org/10.1146/annurev.psych.49.1.117
  36. Shavinina, L. V. (2006). Micro social factors in the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the case of Richard Branson. High Ability Studies, 17(2), 225-235. https://doi.org/10.1080/13598130601121482
  37. Shavinina, L. V. (2007). Early development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Proceedings of Annual conference of Administrative Sciences Association of Canada. Ottawa, Ontario, 178-186.
  38. Shavinina, L. V. (2008). Early signs of entrepreneurial giftedness. Gifted and Talented International, 23(1), 9-15. https://doi.org/10.1080/15332276.2008.11673508
  39. Shumpeter, J. A. (1961). The theory of economic development. New York: Oxpord University Press.
  40. Silverman, L. (2008). The measurement of giftedness. In L. V. Shavinina (Ed.), The International Handbook on Giftedness. Dordrecht, the Netherlands: Springer Science & Business Media.
  41. Subotnik, R. F., & Arnold, K. D. (1994). Beyond terman: Contemporary longitudinal studies of giftedness and talent. Norwood, NJ: Ablex Publishing Corporation.
  42. Stevenson, H. (1983). A perspective on entrepreneurship. Harvard Business School Working Paper No.9-384-131, Harvard Business School, Boston.
  43. Tennenbaum, A. J. (1983). Gifted children: Psychological and educational perspectives. New York: Macmillan.
  44. Terman, L. M. (1925). Mental and physical traits of a thousand gifted children. Genetic studies of genius (Vol. I). Stanford, CA: Stanford University Press.
  45. Terman, L. M., & Oden, M. H. (1959). Genetic studies of genius V. California: Stanford University Press.
  46. Timmons, J. (1994). New venture creation: Entrepreneurship for the 21st century, Fourth edition, Boston: McGraw-Hill.
  47. Veciana, J. M,, Aponte, M., & Urbano, D. (2005). University students' attitudes towards entrepreneurship: A two countries comparison. International Entrepreneurship and Management Journal, 1, 165-182. https://doi.org/10.1007/s11365-005-1127-5
  48. Winner, E. (2000). The origins and ends of giftedness. American Psychologist, 55(1), 159-169. https://doi.org/10.1037/0003-066X.55.1.1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