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ortance of Store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Benefits according to Clothing Consumption Values of Consumers of Fashion Products

패션제품 소비자의 의복소비가치에 따른 점포 서비스품질 및 관계혜택 중요도

  • Park, Hyesun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Park, Jaeok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 Lee, Jiyeon (Dept. of Clothing & Textiles, Hanyang University)
  • Received : 2014.01.23
  • Accepted : 2014.03.26
  • Published : 2014.04.30

Abstract

This study examines the differences in store service quality and relationship benefits according to clothing consumption values. This study has collected data from adult consumers in their 20s to 60s via offline and online surveys. A total of 459 survey response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clothing consumption values were composed of 4 factors: emotional, conspicuous, individuality, and practical value. In light of the tendency of consumers' clothing consumption values, consumers have been grouped into 3 consumption groups: hedonic, practical, and practical symbolic. Second, consumers considered price policy product quality, salesperson, product assortment promotion, and convenience of store service quality in the order of importance. Regarding the relationship benefit, consumers considered psychological benefit, economic benefit, informative benefit and social benefit in the order of importance. Third, regarding the importance in service quality for clothing consumption value group, practical symbolic consumption group and practical consumption group considered price policy quality service more important than hedonic consumption group, and practical symbolic consumption group considered product assortment quality, promotion service, salesperson service, convenience of store service more important than other groups. Fourth, regarding the importance of relationship benefits for the clothing consumption value groups, practical symbolic consumption group considered informative benefit and social benefit more important than other groups. The practical symbolic consumption group and practical consumption group considered psychological benefit more important than the hedonic consumption group.

Keywords

References

  1. 윤관호, 권미영 (2008), 백화점 의류점포 서비스 품질요인이 고객만족과 기업 이미지에 미치는 인과관계 연구, 경영교육저널, 14, pp. 107-128.
  2. 강은미, 박은주 (2005), 서비스품질과 쇼핑가치가 소비자 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50, 60대 여성 소비자를 중심으로, 대한가정학회지, 43(10), pp. 115-124.
  3. 김수진, 정명선 (2006), 의류제품 구매 시 지각된 서비스품질과 상징적 점포이미지가 점포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쾌락적 쇼핑성향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1), pp. 48-58.
  4. 김지연, 이은영 (2005), 패션상품 소비자의 관계혜택지각이 만족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48(8), pp. 83-98.
  5. 황선진 (2011), 관계편익이 관계품질과 패션 소매업체의 CRM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5(2), pp. 230-241. https://doi.org/10.5850/JKSCT.2011.35.2.230
  6. 정영주, 장은영, 이선재 (2007), 의류점포의 서비스품질 및 관계효익이 고객 자발성에 미치는 영향 연구, 패션비즈니스, 11(2), pp. 1-13.
  7. 박소영, 배상욱 (2010), 핵심 서비스품질과 관계혜택이고객의 이탈의도와 추천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마케팅관리연구, 5(1), pp. 75-106.
  8. 김윤희, 김미영 (2001), 의류점포의 서비스 개념 체계와 쇼핑유형과의 관련성, 한국의류학회지, 25(1), pp. 183-194.
  9. 김혜진, 정명선 (2003), 지각된 서비스품질이 쇼핑가치와 쇼핑만족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학회지, 6(1), pp. 67-80.
  10. 문희강, 추호정 (2008), 의복소비가치가 양면적 의복 소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복식, 58(2), pp. 1-14.
  11. Parasuraman, A., Zeithaml, V. A., & Berry, L. L. (1985), A conceptual model of service quality and its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Journal of Marketing, 49(4), pp. 41-50.
  12. 김성희, 김가영 (1999), 의류 점포의 서비스 품질 척도, 복식, 48, pp. 169-181.
  13. 김지연, 이은영 (2004), 의류점포의 서비스품질, 제품 품질과 가격이 점포애고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28(1), pp. 12-21.
  14. 박광희 (2005), 백화점과 의류유형에 따른 서비스품질, 고객만족 및 상점애호도의 차이분석: 대구지역 백화점 의류매장을 중심으로, 과학논집, 31, pp. 73-83.
  15. 서용한 (2008), 의류소비자의 체면중시와 관계혜택이 전환행동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산업학회지, 10(6), pp. 990-906.
  16. Gwinner, K. P., Gremler, D. D., & Bitner, M. J. (1998), Relational benefits in service industries: The customer's perspective, Journal of the Academy of Marketing Science, 26(2), pp. 101-114. https://doi.org/10.1177/0092070398262002
  17. 김지연, 이은영 (2006), 관계혜택지각과 장기적 관계 지향성에 관한 연구: 패션상품 소비자를 중심으로, 한국의류학회지, 30(1), pp. 176-186.
  18. 주성래 (2003), 의류 점포와 고객간의 장기적 관계발달 과정 모델, 전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9. 이영선 (2000), 의복중요성 지각과 의복관여: 가치, 유행의사선도력 및 쇼핑행동과 관련지어, 한국의류학회지, 24(4), pp. 549-559.
  20. 이미아, 이은영 (2010), 미혼여성의 독립적 성향에 따른 소비가치와 의복추구혜택에 관한 연구, 복식, 60(5), pp. 139-156.
  21. 권미화 (2000), 청소년소비자의 소비가치와 소비행동의 합리성,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2. 백선영, 이선재 (2000), 청소년 소비가치가 의류 제품 평가에 미치는 영향, 복식, 50(6), pp. 59-72.
  23. Sheth, J. N., Newman, B. I., & Gross, B. L. (1991), Why we buy what we buy: A theory of consumption values, Journal of Business Research, 22(2), pp. 159-170. https://doi.org/10.1016/0148-2963(91)90050-8
  24. 류은정 (2002), 의복소비가치가 인터넷 의류쇼핑몰의 서비스품질 평가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복식, 52(3), pp. 161-169.
  25. 김선희 (1999), 의복소비가치의 구조와 의복관여 및 유행 선도력과의 관계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6. 임경복 (2005), 여성소비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관여도에 관한 연구: 대도시와 중소도시 거주자의 비교 분석, 한국의류학회지, 29(1), pp. 68-78.
  27. 오현정 (2010), 의류상품 유형별 쇼핑스타일과 소비가치 관계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8(1), pp. 27-40. https://doi.org/10.6115/khea.2010.48.1.027
  28. 박태희, 이명희 (2003), 백화점과 시장 구매자의 의복 소비가치와 소비자 만족에 관한 연구, 복식, 53(7), pp. 83-94.
  29. 김주현, 이은영 (2007), 의류상품 구매행동에 나타나는 양면적 소비, 복식, 57(2), pp. 172-189.
  30. 한희정, 김미숙 (2002), 소비가치와 의복구매 전 의사 결정과의 관계, 한국의류학회지, 26(6), pp. 853-864.
  31. 강은미, 박은주 (2007), 의류제품과 미용서비스 구매시 점포서비스품질이 실버소비자만족 및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1(4), pp. 584-593. https://doi.org/10.5850/JKSCT.2007.31.4.584
  32. 김성희, 김가영, 이선재 (1999), 의류점포의 서비스 품질, 한국의류학회지, 23(3), pp. 435-446.
  33. 황경순 (1997), 패션 점포의 서비스 품질에 관한 연구: 서울 소재 패션 점포를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4. 홍금희 (2000), 의류점포 유형에 따른 서비스품질과 점포만족도, 한국의류학회지, 24(5), pp. 760-771.
  35. 오현정, 김은희 (2006), 판매원 서비스와 관계효익이 구매만족과 재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의류학회지, 30(2), pp. 245-254.
  36. 이명희, 홍정희 (2008), 의류점포 선택과 소비자의 가치관에 관한 연구, 성신여자대학교 생활문화연구, 22, pp. 29-50.
  37. 신수연 (2001), 20-30대 성인남성의 의복추구혜택에 따른 쇼핑성향, 점포속성중요도, 자기이미지에 관한 연구, 복식문화연구, 9(6), pp. 818-829.

Cited by

  1. The Study of Impulse Buying Behavior according to Consumption Value in Mobile Fashion Shopping Mall vol.17, pp.3, 2015, https://doi.org/10.5805/SFTI.2015.17.3.372
  2. The influence of consumption values on fast fashion brand purchases vol.23, pp.3, 2015, https://doi.org/10.7741/rjcc.2015.23.3.468
  3. A Study on the Scale Development of Clothing Consumption Value for Male Consumers -Focused on the Purchase Behavior in Fashion Multi-brand Store and Tailor Shop- vol.39, pp.6, 2015, https://doi.org/10.5850/JKSCT.2015.39.6.885
  4. The Effects of Store Attributes on Customer Equity of Dongdaemun Shopping Malls - Focusing on Dongdaemun Shopping Mall Types - vol.18, pp.4, 2016, https://doi.org/10.5805/SFTI.2016.18.4.438
  5. Fashion Consumer Segmentation based on Interpersonal Trust Online vol.22, pp.3, 2014, https://doi.org/10.12940/jfb.2018.22.3.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