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Supervisor's Support and Burnout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

  • Received : 2014.08.14
  • Accepted : 2014.10.05
  • Published : 2014.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burnout, and supervisors' suppor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171 child care teachers working in Gyeonggi province. Role performance questionnaire, the perceived supervisor's support scale, and the perceived burnout scale were used for this study. For the research analysis, frequency, Cronbach's ${\alpha}$ coefficient, and Pearson's correlation were calculated and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ly, it was revealed that both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and the perceived supervisors' support had statistically negative significant correlations with child care teachers' burnout. Secondly, role performance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influences on child care teachers' overall burnout. Training and teaching activities as a sub-variable of child care teachers' role performance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influences on emotional exhaustion, a lack of feeling of personal accomplishment, and overall job burnout. Thirdly, supervisors' support also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influences on burnout. Material support as the sub-variable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negative influences on emotional exhaustion, dehumanization, a lack of feeling of personal accomplishment, and overall job burnout. Evaluative support had statistically meaningful and negative influences on dehumanization and a lack of feeling of personal accomplishment.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must be indicated that it needs to promote the support of the supervisor in the various aspects and to provide a way which child care teachers efficiently perform the role in order to reduce their burnout.

본 연구는 보육교사의 역할수행, 원장의 지지, 소진의 관계를 규명하기 위해 실시되었다. 경기지역 어린이집에 재직 중인 171명의 보육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지를 통한 조사를 실시하였고, 역할수행 질문지(박복매, 2011)와 사회적 지지 설문지(이재영, 2012), 직무소진 질문지(김혜경, 2011)를 사용하였다. 결과 처리를 위해 빈도분석, 신뢰도 검증, Pearson의 적률상관분석,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보육교사의 역할수행과 원장의 지지, 소진 간의 관계는 모두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였다. 역할수행 전체 및 하위변인들은 소진 전체 및 하위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고, 원장의 지지 전체 및 하위변인들은 소진 전체 및 하위변인들과 부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역할수행이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역할수행의 하위요인인 교육 및 교수활동은 정서적 고갈,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소진 전체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고, 상담 및 정서적 지원은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다. 셋째, 원장의 지지가 보육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력은 부적으로 유의하였다. 물질적 지지는 정서적 고갈,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와 소진 전체에 유의한 부적 영향력을 주었고, 평가적 지지는 비인간화, 개인적 성취감 감소에 유의한 부적영향력을 주었다. 본 연구결과를 통해 보육교사의 소진을 감소시키기 위해 역할수행을 효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함과 원장의 지지를 다각적으로 높여내야 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학구 (1996). 특수학교 교사와 일반학교 교사의 직무 스트레스 특징과 요인 간 관계성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 김유정, 박수경, 임정진, 안선희 (2011). 보육교사-원장 간의 관계의 질과 근무기관 내에서 경험하는 사회적 지지가 교사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한국영유아보육학, 68, 189-213.
  3. 김정희, 이용주, 김동춘 (2013).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회복탄력성, 사회적 지지의 관계. 한국보육지원학회지, 10(3), 103-120.
  4. 김정희, 최미경 (2013). 보육교사의 개인변인, 정서노동, 직무소진의 관계. 생태유아교육연구, 12(2), 51-68.
  5. 김정희, 최미경, 최윤진 (2013). 초임보육교사의 교사효능감, 원장 및 동료교사의 지지가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유아교육학논집, 17(5), 209-227.
  6. 김지은, 안선희 (2007). 영아교사의 개인적 배경 및 근무여건과 사회적 지지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아동학회지, 28(3), 149-162.
  7. 김혜경 (2011). 직무환경, 완벽주의, 사회적 지지가 교사의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사효능감의 매개효과. 안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8. 민하영 (2010).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우울 및 동료교사/원장의 정서적 지지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 : 정서적 지지의 주효과와 완충효과를 중심으로. 아동학회지, 31(4), 1-14.
  9. 박복매 (2011). 보육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에 관한 연구-내외통제성, 직무환경, 정서지능을 중심으로. 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0. 박지원 (1985). 사회적 지지 척도개발을 위한 일 연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1. 박현경 (2001). 특수교육 교사의 직무 만족도와 소진과의 관계.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2. 서지영, 김희정 (2011). 전문상담교사의 역할 수행 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교원교육, 27(3), 227-250.
  13. 심순애 (2007). 보육교사의 자아탄력성 및 사회적 지지와 심리적 소진의 관계. 숙명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4. 유미나, 신나리 (2013). 보육교사의 소진과 관련된 직무만족도와 직장 내 사회적 지지. 생애학회지, 3(2), 73-85.
  15. 윤나연 (2012). 특수학급교사의 직무수행이 사회적 지지와 소진에 미치는 영향. 용인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16. 이연희, 정재은 (2012). 유아의 일상적 스트레스와 사회적 지지가 유아의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육문제연구, 30(4), 245-268.
  17. 이윤경 (1999). 유치원 교사의 갈등관리유형과 직무만족도와의 관계. 교육학연구, 37(3), 365-383.
  18. 이재영 (2012). 유아교육기관 교사의 회복탄력성, 지각된 사회적 지지와 조직몰입 간의 관계. 대구가톨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19. 이정희, 조성연 (2011). 보육교사의 소진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시설장, 동료교사와 가족의 사회적 지지. 아동학회지, 32(1), 157-172. https://doi.org/10.5723/KJCS.2011.32.1.157
  20. 이희경, 김성수 (2000). 유아교사의 역할 Q-set개발 연구. 유아교육학논집, 4(1), 27-54.
  21. 장주혜 (2008). 공립유치원 교사의 직무수행 어려움과 소진에 관한 연구.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2. 조부경, 남옥자 (2006). 공립유치원 교사의 역할수행에 영향을 주는 교사 내.외적 요인. 아동학회지, 27(6), 81-96.
  23. 조성연, 이정희 (2010). 보육교사의 직무스트레스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원장 동료의 사회적 지지,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8(4), 29-42.
  24. 조혜진 (2007). 영아반 초임교사들의 어려움과 적응에 관한 이해. 유아교육학논집, 11(2), 237-262.
  25. 홍미정 (2009). 유치원 교사의 유머감각과 사회적지지 및 정서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6. 황혜신 (2008). 보육교사의 소진에 영향을 주는 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생활과학회지, 17(4), 589-600. https://doi.org/10.5934/KJHE.2008.17.4.589
  27. Baruch-Feldman, C., Brondolo, E., Ben-Dayan, D., & Schwartz, J. (2002). Source of social support and burnout, job satisfaction, and productivity. Journal of Occupational Health Psychology, 7, 84-93. https://doi.org/10.1037/1076-8998.7.1.84
  28. Cho, B. K., & Saracho, O. N. (1997). The development of the early childhood teacher's role rating scale in Korea. International Journal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2, 19-36.
  29. Cohen, S., & Wills, T. A. (1985). Stress, Social support and the buffering hypothesis. Psychological Bulletin, 98, 340-357.
  30. Freuderger, H. J. (1974). Staff burnout. Journal of Social Issues, 30, 159-165.
  31. Hargreaves, A. (1998). The emotional practice of teaching.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22, 1-15.
  32. Manlove, E, E. (1993). Multiple correlates of burnout in child care workers.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8, 499-518. https://doi.org/10.1016/S0885-2006(05)80082-1
  33. Maslach, C., & Jackson, S. E. (1986). Maslach burnout inventory manual. Palo Alto, CA: Consulting Psychologists Press.
  34. Schonfeld, I. S. (2001). Stress in 1st-year woman teachers: the context of social support and coping. Genetic Social and General Psychology Monographs, 127, 133-168.
  35. Schwarzer, R., & Nina, K. (2007). Functional roles of social support within the stress and coping process: A theoretical and empirical overview. International Journal of Psychology, 42(4), 243-252. https://doi.org/10.1080/00207590701396641
  36. Spodek, B. (1985). Teaching in the early years(3rd ed.). New Jersey: Prentice-Hall, Inc.
  37. Stremmel, A. J. (1991). Predictor of intention to leave child care worker. Early Childhood Research Quarterly, 6, 285-298. https://doi.org/10.1016/0885-2006(91)90013-B

Cited by

  1. The effects of working environment on turnover intention of child-care teachers: Mediating effect of burnout and moderating effect of emotional intelligence vol.35, pp.6, 2014,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6.014
  2.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of social support, ego-resilience and burnout of childcare teachers : mediating effects of ego-resilience and group differences by marital status vol.35, pp.6, 2014, https://doi.org/10.18023/kjece.2015.35.6.018
  3. 보육교직원의 지지가 초임유아교사의 역할수행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 vol.11, pp.6, 2014, https://doi.org/10.14698/jkcce.2015.11.199
  4. 보건교사의 소진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 셀프리더십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30, pp.1, 2017, https://doi.org/10.15434/kssh.2017.30.1.1
  5. 어린이집 주임교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관련 변인: 직업 선택 동기, 직무 환경 및 원장의 변혁적 리더십을 중심으로 vol.55, pp.3, 2014, https://doi.org/10.6115/fer.2017.017
  6. Mediating Effect of the Childcare Teacher’s Resilience between Job Stress and Burnout vol.31, pp.1, 2014, https://doi.org/10.7856/kjcls.2020.31.1.81
  7. 어린이집 원장의 리더십역량과 직무만족도 간의 관계: 직무스트레스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vol.7, pp.1, 2014, https://doi.org/10.17703/jcct.2021.7.1.202
  8. 원장의 코칭 리더십이 교사의 놀이실행역량에 미치는 영향: 교사의 반성적 사고와 창의적 역할수행의 매개효과 vol.17, pp.2, 2021, https://doi.org/10.14698/jkcce.2021.17.02.0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