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Differences in Motivation, Self-regulation Strategy use, Learning Style Preference among High, Medium, Low Achievers in an Online Gifted Program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 성취 수준에 따른 학생의 동기, 자기조절전략, 학습양식 차이 분석

  • Received : 2015.10.13
  • Accepted : 2015.12.31
  • Published : 2015.12.31

Abstract

This study examined differences among high, medium, and low achievers' motivation, self-regulation strategy, and learning style in an online gifted program. The sample included 788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3-months online gifted program. Participants volunteerly completed 60 questions on their motivation, self-regulation strategy use, and learning style. Multivariate analysis of variance(MANOVA) was conducted for data analysis using SPSS 19.0.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1) as levels of students' achievement increased,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increased as well; (2)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also existed on the levels of elaboration strategy, effort management, and time management strategy use among three levels of achievement and (3)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students' learning style preference were found between competitive or cooperative learning style. To sum up, high achieving students' levels of intrinsic motivation, elaboration strategy, effort management strategy, and time management strategy use were the highest compared to medium and low achieving students.

본 연구에서는 온라인 영재교육 프로그램을 이수한 학생의 동기, 자기조절전략, 학습양식을 비교하여 성취도 상위, 중위, 하위 집단 간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에 참여한 학생은 2015년 3월~6월까지 온라인 영재교육 과정을 이수한 중학교 1학년~고등학교 2학년 788명이며, 이들은 학습관리시스템을 통해 온라인 설문에 자발적으로 참여하였다. 설문 문항은 동기(동기적 선호, 학습목표 지향성) 관련 20개 문항, 자기조절전략(인지조절 전략, 행동조절 전략) 관련 27문항, 학습양식 관련 6문항, 학습자 배경변인 7문항으로 총 60개였으며, 설문 데이터는 SPSS 19.0를 이용해 기술통계 및 다변량분산분석(MANOVA)의 방법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의 수학, 과학 과목에 대한 동기적 선호를 비교했을 때, 성취수준 상위, 중위, 하위집단 순서로 수학적, 과학적 내재적 동기가 높았다. 둘째, 상위, 중위, 하위 집단 간 인지조절 전략 하위 요인별 활용의 차이를 분석한 결과 정교화 전략에서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고, 노력 및 시간조절 전략에서도 상위 집단과 하위 집단, 중위 집단과 하위 집단 간에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즉, 상위 집단의 정교화 전략, 노력 및 시간조절 활용 수준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학습 양식 선호의 차이, 즉 협동학습과 경쟁학습 선호에 대한 집단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명희, 김세은 (2002). 온라인 프로젝트 수행을 지원하는 자기규제학습 촉진전략의 효과. 교육공학연구, 18(1), 3-22.
  2. 강숙희, 조석희, 금미라 (2000). 사이버 영재교육의 가능성 탐구를 위한 사례 연구. 교육정보방송연구, 6(1), 49-70.
  3. 강민석, 김진일, 박인우 (2009). 사이버 e-러닝환경에서 학업성취도에 영향을 미치는 학습참여 변인 규명. 한국 인터넷 정보학회, 10(5), 135-143.
  4. 곽수란, 이기종 (2009). 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 교사의 수업활동 그리고 학업성취와의 관계 분석. 교육논총, 29(1), 35-60.
  5. 구영수, 양연숙 (2013). 영재아와 일반아의 학습양식, 자기조절학습전략 및 학습몰일 비교연구. 영재교육연구, 23(2), 177-191. https://doi.org/10.9722/JGTE.2013.23.2.177
  6. 김경숙 (1998). 인터넷 학습자료의 제시유형과 자기규제 학습수준이 프로그래밍 언어 학습에 미치는 효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7. 김민경, 박성희 (1999). 웹게시판 활용 학습에서 자기규제 학습유형, 학습스타일과 학습결과의 제 측면에 관한 연구. 교육공학연구, 15(3), 177-198.
  8. 김소영 (2012). 중학생의 학업성취도 정도에 따른 자기조절학습의 차이 탐색. 중등교육연구, 60(1), 243-264.
  9. 김아영, 오순애 (2001). 자기결정성 정도에 따른 동기유형의 분류, 교육심리연구, 15, 97-119.
  10. 김용, 서정희, 김자미, 김종혜, 차승은, 유승욱, 염용철, 장혜선, 이원규(2007). 학습양식에 따른 초등정보영재와 일반아의 판별기능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0(2), 9-16.
  11. 김종렬 (2014). 내재적 동기, 학습전략, 수업참여 및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고등학생의 성별에 따른 차이를 중심으로. 아시아교육연구, 15(1), 93-113.
  12. 문병상 (2000). 영재와 평재간의 학업적 자기조절의 차이. 초등교육연구, 14(1). 181-197.
  13. 박승호, 박지희 (2003). 중학생의 자기조절학습에 관여하는 초인지, 초동기 및 의지통제와 학업성취와의 관계. 교육심리연구, 17, 1-17.
  14. 박일수 (2005). 협동학습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태도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5. 백운갑 (2004). 초등학생의 학습양식에 따른 학업성취도, 교수학습방법의 선호도 차이 분석.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법제처 홈페이지. http://www.law.go.kr. (2015년 9월 1일 검색)
  17. 박미지, 서혜애, 김동화, 김지나, 남정희, 이상원, 김수진 (2013). 과학.수학 영재의 다중지능, 자기조절학습능력 및 개인성향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23(5). 697-713. https://doi.org/10.9722/JGTE.2013.23.5.697
  18. 송인섭, 박성윤 (2000). 목표지향성,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교육심리연구, 14(2), 29-64.
  19. 신민, 안도희 (2014). 영재와 평재의 자기조절 전략에 미치는 요인: 자율성 지지와 지적 능력에 대한 신념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4(5), 877-892. https://doi.org/10.9722/JGTE.2014.24.5.877
  20. 신영희 (2005). 중학교 과학수학 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학업적 자기 조절 동기 유형과 실패내성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21. 신희경 (2006). 성적 우수자의 시험불안수준과 자기주도적 학습태도에 관한 연구: 중학교1학년 학생을 대상으로. 제1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105-135.
  22. 양명희 (2000). 자기조절학습의 모형탐색과 타당화 연구. 서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3. 양명희 (2002). 자기조절학습 구성변인과 학업성취와의 관계 연구. 아시아교육연구, 3(2), 47-70.
  24. 유경훈 (2006).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 동기가 창의적 사고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아동교육, 16(1), 229-240.
  25. 이명자 (1997). 자기조절 학습 전략 훈련이 아동의 문제해결력과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26. 이미순, 류가애 (2011). 초등 영재 및 일반 학생의 상대적 자율성에 대한 학습동기 연속체관점. 초등교육연구, 24(1), 155-173.
  27. 이민정 (2003). 협동학습이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8. 이성혜 (2014). 대학생이 지각하는 Merrill의 제1교수원리가 수업에 적용된 정도가 학습자의 인지적 참여에 미치는 영향. 교육공학연구, 30(1), 77-103).
  29. 이신동, 유미선, 최병연 (2008). 초등 영재와 일반학생간의 학업성패에 대한 귀인성향과 자기조절학습전략 사용의 차이. 영재교육연구, 18(3), 425-442.
  30. 이인숙 (2002). e-Learnig 학습전략 수준 및 학업성취도 규명. 교육공학연구, 18(2), 51-67.
  31. 이종욱 (2007). 성취목표지향성 개념의 재분화. 전북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32. 이주화, 김아영 (2005). 학업성취목표지향성 척도 개발. 교육심리연구, 19(1), 311-325.
  33. 이재경 (1999). 자기주도학습과 웹기반 교육. 나일주(편저), 웹기반 교육, 교육과학사.
  34. 이재호 (2002). 과학영재를 위한 전자교재 개발현황 및 활용방안. 한국영재학회 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71-97.
  35. 이재호 (2006). 과학영재를 위한 e-Learning 콘텐츠의 설계 방법론. 경인교육대학교 과학교육논총, 19, 125-133.
  36. 임지현, 류지헌 (2007). 초등학생의 학년과 성별에 따른 자기결정성 수준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교육방법연구, 19(2), 163-181.
  37. 임철일 (2001). 웹 기반 자기 조절 학습 환경을 위한 설계 전략의 특성과 효과. 교육공학연구, 17(3), 53-83.
  38. 임채수 (2001). 협동학습수업전략의 학습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경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39. 임효진 (2009). 대학생의 학업성취와 자기조절 학습전략: 아시안 학생을 중심으로 한 다인종 비교연구. 아시아교육연구, 10(4), 57-84.
  40. 전헌선, 차영희 (2009). 자기조절 학습전략이 초등학생의 창의성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학교교육연구, 5(1), 141-163.
  41. 정현철, 박영신, 황동주 (2008). 한국영재교육에서 소집단 탐구활동에 대한 인식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9(2), 151-162. https://doi.org/10.5467/JKESS.2008.29.2.151
  42. 조선미 (2011). 영재의 학업성취에 영향을 주는 심리적 요인들: 자기결정성, 학습목표지향성, 자기효능감,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을 중심으로. 영재교육연구, 21(3), 611-630. https://doi.org/10.9722/JGTE.2011.21.3.611
  43. 조현철 (2011). 내외적 학습동기, 자기결정성, 목표지향, 자기지각, 지능관 및 자기조절학습전략 요인들의 학습태도, 학습행동 및 학업성취에 대한 효과. 교육심리연구, 25(1), 33-60.
  44. 최병연, 유경훈 (2010). 초등학생의 자기결정성동기, 자기조절학습, 학업성취 간의 구조분석. 교육문화연구, 16(3), 183-203.
  45. 최지영, 김재철(2009). 학습양식 선호유형의 개념화와 학업적 특성. 제3회 한국교육종단연구 학술대회 논문집, 493-540.
  46. 하대현 (2005). 대학생과 성인영재간의 동기 요인 구조 및 동기와 창의성간의 관계 유형비교. 사회교육과학연구, 8(1), 31-62.
  47. 한기순, 신정아 (2007). 성취영재와 미성취영재는 어떻게 다른가: 학습전략, 동기, 능력신념, 그리고 문제해결성향의 차이분석. 영재교육연구, 17(1), 27-50.
  48. 홍창희, 이재호 (2008). 초등정보과학 사이버영재교육을 위한 교육방법연구. 한국영재학회추계학술대회 발표논문집. 131-145.
  49. 홍창희, 이재호 (2009). 사이버영재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모형의 개발 및 검증. 영재교육연구, 19(1), 116-137.
  50. Ames, C. (1992). Classroom: Goals, structure, and student motivation.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4(3), 261-271. https://doi.org/10.1037/0022-0663.84.3.261
  51. Ames, C., & Archer, J. (1987). Achievement goals in classroom: Students' learning strategies and motivation process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260-267.
  52. Davis, G. A., & Rimm, S. B., & Siegle, Del. (2011). Education of the gifted and talented (6th ed.). Prentice-Hall, Inc.
  53. Deci, E. L., & Ryan, R. M. (2000). The "what" and "why" of goal pursuits: Human needs and the self-determination of behavior. Psychological Inquiry, 11(4), 319-338. https://doi.org/10.1207/S15327965PLI1104_03
  54. Deci, E. L., Vallerand, R. J., Pelletier, L. G., & Ryan, R. M. (2001). Motivation and education:The self-determination perspective. The Educational Psychologist, 74, 852-859.
  55. Eley, M. (1992). Differential adoption of study approaches within individual students. Higher Education, 23, 231-254. https://doi.org/10.1007/BF00145015
  56. Elliot, A. J., Church, M. A. (1997). A Hierarchical Model of Approach and Avoidance Achievement Motivation.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Vol.72, No.1.
  57. Elliot, A., McGregor, H. (2001). A 2x2 achievement goal framework. Journal of Personality and Social Psychology, 80, 501-519. https://doi.org/10.1037/0022-3514.80.3.501
  58. Elliot, A., McGregor, H., & Gable, S. (1999). Achievement goals, study strategies, and exam performance: A mediational analysi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1, 549-563. https://doi.org/10.1037/0022-0663.91.3.549
  59. Grasha, A. F. (1990). Traditional and naturalistic approaches in assessing student learning styles. Journal on Excellence in College Teaching 1, 20-7.
  60. Grasha, A. F. (1996). Teaching with style: A practical guide to enhancing learning byunderstanding teaching and learning styles. Pittsburgh: Alliance Publishers.
  61. Grasha, A. F., and Riechmann, S. W. (1975). The Grasha-Riechmann student learning style scales. In Handbook for faculty development, ed. W. Berguist. Washington, D.C.: CASC.
  62. Johnson, D.W., Maruyama, G., Johnson, R, Nelson, D., & Skon, L. (1981). Effects of cooperative, competitive, and individualistic goal structures on achievement: A meta-analysis. Psychological Bulletin, 89, 47-62. https://doi.org/10.1037/0033-2909.89.1.47
  63. Meece, J. L., Blumenfeld, P. C., & Hoyle, R. H. (1988). Student' goal orientations and cognitive engagement in classroom activities.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 514-523. https://doi.org/10.1037/0022-0663.80.4.514
  64. Nijhuis, J., Segers, M., Gijselaers, W., (2008). The extent of variability of learning strategies and students' perceptions of the learning environment, Learning and instruction. 18, 121-134. https://doi.org/10.1016/j.learninstruc.2007.01.009
  65. Pintrich, P. R., De Groot, E. V. (1990). Motivational and self-regulated learning component of classroom academic performa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 33-40. https://doi.org/10.1037/0022-0663.82.1.33
  66. Veeman, S., Kenter, B., & Post, K. (2002). Cooperative learning in Dutch primary classrooms. Educational Studies. 26(3). 281-302. https://doi.org/10.1080/03055690050137114
  67. Vermunt, J. D. (2005). Relations between student learning patterns and personal and contextual factors and academic performance. Higher Education, 49(3), 205-234. https://doi.org/10.1007/s10734-004-6664-2
  68. Weinstein, C.E., & Mayer, R.E. (1986). The teaching of learning strategies. In M. Wittrock (Ed.), Handbook of research on teaching (pp. 315-327). New York, NY: Macmillan.
  69. Wolters, C. (1999). The relation between High School students' motivational regulation and their use of learning strategies, effort, and classroom performance. Learning and Individual Differences, 11, 281-299. https://doi.org/10.1016/S1041-6080(99)80004-1
  70. Wolters, C. (2004). Advancing achievement goal theory: Using goal structure and goal orientation to predict students' motivation, cognition, and achievement.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6, 236-250. https://doi.org/10.1037/0022-0663.96.2.236
  71. Wolters, C., & Pintrich, P. R. (1998). Contextual differences in student motivation and self-regulated learning in mathematics, English, and social studies classrooms. Instructional Science, 26, 27-47. https://doi.org/10.1023/A:1003035929216
  72. Zimmerman, B. J. (1990). Self-regulated learning and academic achievement: An overview. Educational Psychologist, 25(1), 3-17. https://doi.org/10.1207/s15326985ep2501_2
  73. Zimmerman, B. J. (1994). Dimensions of academic self-regulation: A conceptual framework for education. In D. H. Schunk & B. J. Zimmerman (Eds.), Self-regulation of learning and performance: Issues and educational applications (pp. 3-21).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74.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88). Construct validation of a strategy model of a student self-regulated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0(3), 294-290.
  75. Zimmerman, B. J., & Martinez-Pons, M. (1990). Student differences in self-regulated learning: Relating grade, sex, and giftedness to self-efficacy and strategy us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2(1), 51-59. https://doi.org/10.1037/0022-0663.82.1.5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