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 Study on the Difficulties and the Coping Strategies of the In-home Child Care Support Service

아이돌봄서비스 이용의 어려움과 대처방식 및 이용가정 유형화 연구

  • 장참샘 (광주광역시서구문화센터) ;
  • 김선미 (광주대학교 사회복지학부 가족복지전공) ;
  • 구혜령 (광주대학교) ;
  • 황덕순 (전남대학교 생활환경복지학과.전남대학교 생활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5.07.01
  • Accepted : 2015.08.21
  • Published : 2015.08.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in-home child care support service experience of twenty child rearing families. In order to conduct this study, grounded theory method was employed. The central phenomenon of the service experience digged out from this study was 'difficulty' (i. e. insecurity and a feeling of helplessness). The causal conditions which brought about the central phenomenon were 'defect of system' and 'service characteristics' The intervening conditions included 'alternative resources' 'working conditions' and 'service institute manager discretion'. The contextual conditions consisted of 'maternal ideology' 'the public nanny's personality awareness'. The action/interaction strategies on the central phenomenon were 'inaction' 'insecurity decrease strategy' and 'dissonance decrease strategy. The final outcome was 'rearing gap fillup "the method of nanny managing" dissatisfaction accumulation' ''system improvement demand'. The families were classified as four types: 'management/subject' 'adaptation/dependent' 'patience/acceptant' 'supplementation/overcoming'.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provided a few political and practice suggestions to improve this system.

Keywords

References

  1. 고선주(2012). 저출산대응 : 가족내 자녀양육지원강화. 한국사회문제심리학회지, 18(1), 53-77.
  2. 권정아(2012). 아이돌보미의 효능감과 교육에 대한 요구 분석. 한국성서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 김성연(2009). 가족돌봄지원 사업에 관한 소비자의 인지도, 수요도 및 만족도 관한 연구 : Child Care 서비스를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4. 김승희(2011). 돌봄의 질 개선방안 : 아이돌보미 활동을 중심으로.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지, 15(4), 19-41.
  5. 김유나(2013). 돌봄 사회서비스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일가치감 및 조직지원인식의 조절효과 분석. 한국사회복지조사연구, 37, 123-148.
  6. 목진휴.안미영.김병준(2013). 아동 돌봄 정책의 기대와 만족에 관한 인식연구-한국의 미취학 자녀를 둔 기혼 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정책학회보, 22(2), 207-231.
  7. 박경자.황옥경.문혁준(2013). 우리나라의 보육정책. 한국보육지원학회지, 9(5), 513-538. https://doi.org/10.14698/jkcce.2013.9.5.513
  8. 백경희(2012). 울산광역시 아이돌봄지원사업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보건복지부(2012). 보육정책 성과 자료집.
  10. 송소영(2015). 아이돌봄서비스 제공자의 평생교육 요구조사. 부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1. 신윤정(2013). 영유아보육정책의 전망과 향후 과제. 보건복지포럼, 195, 76-86.
  12. 안해자(2014).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 연구. 초당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3. 여성가족부(2015). 2014 아이돌봄지원사업 안내.
  14. 여정성.전상민.김소연(2012). 소비자연구방법. 교문사.
  15. 유순란(2015). 아이돌보미의 효능감과 직무만족도에 대한 연구. 목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6. 유아랑(2009). 일-가정 양립을 위한 돌봄노동의 사회적 지원 연구 : 취업여성의 유아기 자녀 양육지원의 이용실태와 요구도를 중심으로. 울산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7. 윤명자(2009).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만족도가 가정의 양육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명지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8. 이국진.정가윤(2012), 아이돌보미의 돌봄경험과 사회적 의미 구성. 한국영유아보육학, 73, 419-441.
  19. 이명자(2015). 아이돌보미의 직무스트레스가 소진에 미치는 영향. 호남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 이서영(2013). 돌봄유형에 따른 보육사업의 문제점과 발전방안 : 손주돌보미와 아이돌보미사업을 중심으로. 한국영유아보육학, 80, 175-198.
  21. 이선화(2013). 조직특성에 따른 돌봄노동자의 직무만족 비교연구 : 인천.부천 지역을 중심으로. 성공회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2. 이승미.김선미(2011). 이용자관점에서 본 아이돌보미지원사업의 특성과 개선방안에 관한 기초연구. 대한가정학회지, 49(4), 51-65. https://doi.org/10.6115/khea.2011.49.4.051
  23. 이영란.박선남.주민선(2014). 아이돌보미 여성의 지각된 건강상태, 우울, 직무스트레스가 직무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가정간호학회지, 21(1), 26-35.
  24. 이은주.전미경(2014). 건강가정지원센터 아이돌봄 활동가의 돌봄노동 방향성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32(2), 27-40. https://doi.org/10.7466/JKHMA.2014.32.2.27
  25. 이주화(2010). 아이돌보미 지원사업에 참여하는 교사의 소진에 관한 연구 : 전남 동부지역 중심으로. 한려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6. 이현선(2010).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가정의 실태와 만족도 연구 : 경남지역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27. 전춘애.이종남.방한별(2009).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가정 실태 및 가정유형에 따른 서비스 만족에 관한 연구 : 서울 거주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 가정을 중심으로. 한국가정관리학회지, 27(3), 225-237.
  28. 조용환(2008). 질적연구방법 : 이론과 실제, 원리와 적용. 한국가족자원경영학회.한국가정관리학회 워크숍 자료, p2-14.
  29. 조주은(2014). 아이돌봄서비스사업의 현황과 개선방안. 현안보고서, 234, 국회입법조사처.
  30. 최인란(2010).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 결정요인에 관한 연구. 그리스도대학교 석사학위논문.
  31. 최정신(2011). 아이돌보미 서비스 이용유무에 따른 사회적 지지와 양육스트레스의 차이. 한국보육지원학회지, 7(2), 205-223.
  32. 홍승아.김은지.선보영(2013). 가정 내 육아지원정책 현황과 개선방안 : 양육수당제도와 아이돌봄서비스를 중심으로. 한국여성정책연구원.
  33. 황혜신.윤명자(2012). 서울시 아이돌보미의 직무만족도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 50(4), 63-71. https://doi.org/10.6115/khea.2012.50.4.063
  34. Creswell, J.W. 저, 조흥식 역(2005). 질적 연구방법론. 서울 : 학지사.
  35. Glaser, B.G. & Strauss, S.L.(1967). Discovery of grounded theory: Strategies for qualitative research. Aldine de Gruyter.
  36. Strauss, S.L. & Corbin, J.M.(1998). Basics of qualitative research. CA : Sage Pub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