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Development and Effects of Climate Literacy Program on Elementary School Students Focused on the Keeling Curve Activities Highlighting Inquiry Process

초등학생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 탐구과정이 강조된 킬링 곡선(Keeling Curve) 활동을 중심으로

  • Received : 2016.11.02
  • Accepted : 2016.12.19
  • Published : 2016.12.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nd out the effects of climate change education program focused on the keeling curve activities highlighting inquiry process on elementary students' climate literacy. Most of the students have not been able to correctly understand just how serious phenomenon that the temperature rise of the last 100 years is. As a result, there is educational limitations in order to bring about a substantial change in the attitudes toward climate change. So the development program was applied to various questions and explored strategies in order to compare with past climate change data. The results described that 46 students in the experimental group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cognitive domain, critical thinking of affective domain and practical domain.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analysis of teachers' instructional perspectives and students interview, they supported the researcher's opinion that the developed program could help students improve the climate literacy.

이 연구의 목적은 탐구과정이 강조된 킬링 곡선활동 중심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적용해 봄으로써 초등학생의 기후소양에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확인해 보고자 한 것이다. 대부분의 학생들은 최근 100년간의 기온 상승의 폭이 얼마나 심각한 현상인지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고 단순히 지식으로만 받아들이고 있고 이로 인해 실질적인 기후변화 관련태도의 변화를 이끌어 내는데 한계가 있었다. 그래서 개발한 프로그램에서는 과거의 기후변동 자료와 비교해 볼 수 있도록 다양한 질문과 탐구 전략을 적용하였다. 연구 결과, 실험집단의 46명의 학생들은 인지적 영역, 정의적 영역의 비판적 사고력, 실천적 영역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교사들의 수업 관점표 분석과 학생들의 인터뷰 내용 결과, 개발한 수업이 학생들의 기후소양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는 연구자의 의견을 지지하였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부(2015). 과학 6-1 : 5-6학년군 과학(3) 교사용지도서. 서울: 미래엔.
  2. 권난경(2015). 2009 개정 교육과정 초등학교 과학 교과서의 기후변화 교육 내용 분석. 대구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3. 권재술, 김범기(1994). 초.중학생들의 과학탐구능력 측정도구의 개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4(3), 251-264.
  4. 권주연(2009). 기후변화 교육 목표 및 내용 체계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5. 기상청(2015). 기후변화 2014 종합보고서-정책결정자를 위한 요약보고서.
  6. 기상청(2016). 2016년 지역기후변화 홍보 강사단 역량 강화 순회 워크숍.
  7. 김가람(2015). 스토리텔링을 활용한 기후변화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광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8. 김윤지(2015). 지구 환경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정신 모형.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1), 25-34. https://doi.org/10.15523/JKSESE.2015.8.1.25
  9. 김찬국, 최돈형(2010). 우리나라 기후 변화 교육 방향. 환경교육, 23(1), 1-12.
  10. 김해옥(2013). 기후변화 교육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환경 태도에 미치는 효과. 경인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1. 김현진(2015). 자기주도 학습과 문제해결 능력에 초점을 둔 초등학생용 기후변화 STEAM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2. 박종근, 정철, 손미희, 육혜경(2010). 중등학생들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한 교수 자료 개발 및 현장 적용에 관한 연구. 학교교육연구, 5(2), 221-237.
  13. 박혜경(2013). 초.중학생의 기후소양 함양을 위한 기후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대구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4. 손준호, 김종희(2016). 지구과학 수업에서 진단 및 형성평가 활용을 위한 스마트 맞춤 평가(SPA) 시스템의 개발 및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9(1), 1-14. https://doi.org/10.15523/JKSESE.2016.9.1.1
  15. 우정애, 남영숙(2012). 중학교 과학과 기후변화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938-953.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938
  16. 유현희(2011). 초.중.고 학생 및 교사들의 지구 기후 변화에 대한 지식과 행동의 인식조사.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이미옥(2006). 고차적 발문 수업이 초등학생의 독해력과 비판적 사고력에 미치는 효과. 대구교육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8. 이영준, 김종우, 이상원 (2014). 초등학교 고학년 기후변화교육을 위한 디지털 교과서 개발. 한국실과교육연구학회, 20(4), 317-340.
  19. 최혜숙, 김용표(2010). 기후 변화 교육을 위한 국내웹 자료 분석. 환경교육, 23(3), 1-16.
  20. 하병건, 김용권(2015). 환경 관련 체험학습이 초등학생의 환경소양과 과학적 태도에 미치는 효과. 대한지구과학교육학회지, 8(2), 206-217.
  21. 허경철, 김홍원, 조영태, 임선하, 양미경, 한순미, 이혜원, 김용선(1990). 사고력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개발 연구(IV). 한국교육개발원, 연구보고RR 90-17.
  22. 환경부(2007). 기후 변화에 따른 전국민 의식조사보고서.
  23. Beyer, B. K.(1988). Developing a thinking skills program, boston: Allyn and Bacon.
  24. Clement, A., Kirtman, B., & Pirani, A.(2011). Climate literacy as a foundation for progress in predicting and adapting to the climate of the coming decades. Bulletin of the American Meteorological Society, 92(5), 633-635. https://doi.org/10.1175/2010BAMS3161.1
  25. Disinger, J. F.(2001). K-12 Education and the environment: perspectives, expectations, and practice.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3(1), 4-11. https://doi.org/10.1080/00958960109600795
  26. Duschl, R. A., & Grandy, R. E. (2008). Teaching scientific inquiry: Recommendations for research and implementation. Sense Publishers.
  27. Hofstein, A., & Lunetta, V. N. (2004). The laboratory in science education: Foundations for the twentyfirst century. Science Education, 88(1), 28-54. https://doi.org/10.1002/sce.10106
  28. Marcinkowski, T. J.(1991).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literacy and responsible environmental behavior in environmental education. unpublished paper. Florida Institute.
  29. US GCRP(2009). Climate Literacy Guide for Individuals and Communities, Second version:March 2009.
  30. http://educenter.kcen.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