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nalysis of Status about Theses and Articles Related to Domestic STEAM Education

국내 STEAM 교육 연구 논문의 현황 분석

  • Received : 2017.01.12
  • Accepted : 2017.03.25
  • Published : 2017.03.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collect and select the theses and article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and to analyze a research status by the review, then to suggest a direction of the further research in technology education. The o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he theses and article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published from January 2007 to June 2016. I collected the theses and articles by using the search engine of the Korean Academic Information Service, the Korea Education and Research Information Service, the National Assembly Digital Library, and finally selected 821 theses and articles for the objects. I analyzed the theses and articles by verifying their subjects, abstracts and contents, and applied the analysis framework developed in advance. I used the frequency analysis, the cross analysis to analyze the datas statistically. Also, I used SPSS 18.0 program. Drawing on the finding of this research, major conclusions of this research were as follows. First, the researche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had been studied numerously from 2012 to 2015, but it has been decreased since 2016. Second, the researche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have been studied numerously for the development of the educational program and the instructional source. Third, the research object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have been studied numerously for elementary school,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in a row. Forth, the researche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have been focused numerously on a science. Fifth, the researches of the STEAM education in domestic have been concerned mainly about the creativity effect among other educational effects.

이 연구의 목적은 2007년부터 2016년 6월까지의 국내 STEAM 교육 연구 논문을 수집 선정하여 국내 STEAM 교육 연구에 관해 문헌고찰을 실시함으로써 연구의 현황과 전반적인 경향성을 확인하고, 기술교육 분야에서 후속 연구의 방향을 제시하는데 있다. 이 연구에서 분석 대상은 2007년 1월부터 2016년 6월까지 국내에서 이루어진 STEAM 및 STEM 교육 관련 선행 연구 논문이다.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학술정보원, 국회전자도서관의 검색 엔진을 이용하여 석사 및 박사 학위 논문과 전문 학술지 논문을 수집한 뒤 선별 절차를 거쳐 최종 821편의 논문을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선정한 연구 대상 논문은 해당 논문의 제목, 요약, 본문 내용을 확인하여 이 연구에서 개발한 연구 분석틀에 따라 분석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에 사용된 통계방법은 빈도 분석과 교차 분석이며, 분석을 위해 SPSS 18.0 프로그램을 사용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첫째, 국내 STEAM 교육 연구는 2012년부터 2015년 사이에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2016년에는 점차 줄어드는 추세를 나타냈다. 둘째, 국내 STEAM 교육 연구는 프로그램/수업자료 개발에 관한 연구가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셋째, 국내 STEAM 교육 연구의 대상은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순으로 많이 이루어졌다. 넷째, 국내 STEAM 교육 연구는 과학을 중심으로 가장 많이 이루어졌다. 다섯째, 국내 STEAM 교육의 효과 중 창의성 효과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Keywords

References

  1. 곽혜정(2015).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창의인재와 선진과학기술로 여는 미래 대한민국(2011년 업무보고).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3. 교육부(2015). 2015 개정 교육과정: 초.중등 교육과정 총론. 서울: 교육부.
  4. 권난주, 안재홍(2012). 융합 및 통합 과학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2), 265-293.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2.265
  5. 권혁수, 이효녕(2008). 과학, 기술, 공학, 그리고 수학(STEM) 교육에서 동기유발: 메타분석적 접근. 중등교육연구, 56(3), 125-148.
  6. 김민정, 조형숙, 김대욱(2014). 국내 초등학교 STEAM 교육 연구 현황 분석을 통한 유아교육에서의 방향 탐색. 유아교육연구, 34(4), 139-161.
  7. 김방희, 김진수(2014). 네트워크 텍스트 분석법을 활용한 STEAM 교육의 연구 논문 분석. 초등과학교육, 33(4), 674-682.
  8. 김지숙(2014). 기술학에서의 융합교육(STEAM) 실현 방안.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7(3), 21-38.
  9. 김진수(2007). “공학교육연구” 논문들에 대한 연구방법론과 내용의 분석. 공학교육연구, 10(2), 19-43.
  10. 김진수(2007). 기술교육의 새로운 통합교육 방법인 STEM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7(3), 124-139.
  11. 김진수(2011). STEAM 교육을 위한 큐빅모형.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24-139.
  12. 김진수(2012). STEAM 교육론. 파주: 양서원.
  13. 나승일, 김강호(2008). 직업교육연구학회지 논문의 분석과 종합: 1998-2007년. 직업교육연구, 27(2), 51-75.
  14. 박영숙, Jerome Glenn(2015). 유엔미래보고서 2045. 파주: 교보문고.
  15. 방선희(2011).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과 시사점. 평생학습사회, 7(1), 61-83.
  16. 배선아, 금영충(2009). 공업계열 전문계 고등학교 활동 중심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모형. 실과교육연구, 15(4), 345-368.
  17. 백윤수, 박현주, 김영민, 노석구, 박종윤, 이주연, 정진수, 최유현, 한혜숙(2012). 우리나라 STEAM 교육의방향.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1(4), 149-171.
  18. 안혜란(2015). 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STEAM) 연구 동향 분석.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19. 오현숙(2013). 융합 및 통합 교육 연구 분석을 통한 중등학교 STEAM 교육 프로그램 개발 전략.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20. 윤조희(2015). 융합인재교육(STEAM) 관련 미술교육 국내 연구 동향 분석.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21. 이정석(2015). 학술연구정보서비스를 활용한 과학영재교육에서의 융합인재교육관련 연구 동향 분석. 석사학위 논문. 미간행.
  22. 조재주, 최유현, 이소이, 김연진(2011). 기술 교과 중심의 통합, STEM 교육 연구 동향 분석.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1), 210-227.
  23. 최유현, 문대영, 강경균, 이진우, 이주호(2008). STEM 기반 발명영재교육 프로그램 개발과적용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8(2), 143-164.
  24. Cong., U. S. (2007). America COMPETES Act, Public Law, 110-69.
  25. Frey, C. B., & Osborne, M. A. (2013). The future of employment: how susceptible are jobs to computerisation. Retrieved September, 7, 2013.
  26. The Partnership for 21st Century Skills(2015). P21 Framework Definition. Retrieved from http://www.p21.org/storage/documents/P21_Framework_Definition_New_Logo_2015.pd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