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 Study on the Improvement and Analysis of SNS Operation Status on Disaster Information in Domestic and Foreign Public Institution

국내·외 기관의 재난정보관련 SNS 운용현황 및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 두효철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박준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김혜영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대학원) ;
  • 오효정 (전북대학교 기록관리학과, 의료정보융복합연구소) ;
  • 김용 (전북대학교 문헌정보학과, 문화융복합아카이빙연구소)
  • Received : 2017.05.22
  • Accepted : 2017.06.14
  • Published : 2017.06.30

Abstract

SNS is a useful tool to quickly deliver information in an emergency given their speed and expandability. Especially, SNS in the event of a disaster or an accident can offer on-site, accurate and detailed updates about essential information such as the safety of victims and the development of the situation, served as a valuable complement to the conventional media. This study aims to perform a comparative analysis on how social media are currently used by emergency management authorities in South Korea and other countries. Based on the results, this study proposed more effective ways to exploit SNS and improve efficiency of disaster management. To accomplish the goals, this study collected tweet information from various sources including the FEMA of the U. S., the FDMA and the Central Disaster Council of Japan, and the MPSS of Korea. The collected tweet information was analyzed by feedback, time series, and information types. The feedback analysis aims to quantify the number of monthly user feedback in order to assess user satisfaction about the tweet information. The time series analysis identifies the number of tweet information, feedback index and keywords by country for certain duration, examining why certain messages showed high feedback indices and what kind of contents should be offered by the authorities. Finally, the analysis of information type reviews the type of information contained in the tweet information that drew users' attention to identify the information type in which the authorities should deliver information to users. Based on these analyses, this study proposed improvement methods to use Tweeter in MPSS.

SNS는 신속성과 확정성이 높아 긴급한 상황 속에서 정보를 빠르게 전달하는 데 유용한 수단이다. 특히 재난이나 사고 발생시 SNS를 통해 피해자의 안부확인수단, 상황파악과 같은 중요한 정보를 근접한 시각에서 정확하게 자세하게 관련 정보를 전달해 줄 수 있어 기존의 미디어가 하지 못한 역할을 보완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외 재난기관 SNS 운용현황의 비교분석을 통해 국내재난기관에서 SNS를 효과적으로 활용하기 위한 시사점을 도출함으로써 재난관리업무의 효용성을 도모하는데 기여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미국의 FEMA, 일본의 FDMA, 중앙방재회의와 한국의 국민안전처의 트윗을 수집하였으며, 이에 대한 피드백 분석, 시계열 분석, 정보유형 분석을 실시하였다. 피드백 분석은 월별 이용자 피드백 수를 정량화함으로써 트윗에 대한 이용자의 만족도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시계열 분석에서는 국가별로 일정 기간에 걸친 트윗 수와 피드백 지수, 그리고 키워드를 분석함으로써 피드백 지수가 높은 정보의 원인과 기관이 이용자에게 제공해야할 정보의 내용을 파악하고자 하였다. 정보유형분석은 이용자의 관심도가 높은 트윗의 정보유형을 분석함으로써 기관이 이용자에게 제공해야할 정보의 유형을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통해 한국 국민안전처 트위터의 활용 및 개선방안을 제언하고자 한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주연, 김태영, 최정원, 오효정. 2016. 국내외 국립기록관의 트위터 운용 현황 분석 및 활성화 방안. 정보관리학회지, 33(3): 263-285. (Gang, J. Y., T. Y. Kim, J. W. Choi, and H. J. Oh. 2016. "A Study on the Vitalization StrategyBased on Current Status Analysis of National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for Information Management, 33(3): 263-285.) https://doi.org/10.3743/KOSIM.2016.33.3.263
  2. 권한용. 2016. 재난관리에 대한 국제적 논의와 한국의 재난대응에 대한 시사점. 동아법학, 71: 115-146. (Kwon, H. Y. 2016. "International Disaster Management and Disaster Response In Korea." Dong-ALaw Review, 71: 115-146.)
  3. 김지현. 2015. 소셜미디어를 활용한 아카이브와 이용자 간 상호작용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46(3): 225-253. (Kim, J. H. 2015. "A Study on Interactions between Archives and Users by Using Social Media."Journal of Korean Library and Information Science Society, 46(3): 225-253.)
  4. 김한국. 2011. 국가적 재난 대응에 있어서의 소셜 미디어 활용 방안 연구. 한국엔터테인먼튼산업학회논문지, 5(4): 147-153. (Kim, H. G. 2011. "Application of Social Media for Responding to a National Disaster." Journalof the Korea Entertainment Industry Association, 5(4): 147-153.)
  5. 송경재. 2010. 미국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SNS) 사용자의 특성과 정치참여. 한국과국제정치, 26(3): 129-157. (Song, K. J. 2010. "A Study on Political Participation and Characteristics of the U.S. SocialNetwork Services User." Korea and international politics, 26(3): 129-157.)
  6. 신동희, 김용문. 2015. 국내 재난관리 분야의 빅 데이터 활용 정책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5(2): 377-392. (Shin, D. H. and Y. M. Kim. 2015. "The Utilization of Big Data's Disaster Management in Korea."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5(2): 377-392.)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377
  7. 윤진영, 김석중, 이범석, 황병연. 2013. 트위터에서 추출한 감기 증상의 사회적 신호와 영향요인과의 상관분석. 멀티미디어학회논문지, 16(6): 667-677. (Yoon, J. Y., S. J. Kim, B. S. Lee, and B. Y. Hwang. 2013.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the Social Signals of Cold Symptoms Extracted from Twitter and the Influence Factors."Journal of Korea Multimedia Society, 16(6): 667-677.)
  8. 이동규, 김대한, 이정준. 2014. 트위터 리트윗을 이용한 호감도 기반 트렌드 분석 시스템 개발. 한국정보과학회 학술발표논문집, 1674-1676. (Lee, D. G., D. H. Kim, and J. J. Lee. 2014. "Development of a Trend Analysis System basedon Preference using Retweet-Twitter." Journal of KIISE, 1674-1676.)
  9. 이승희, 임소혜. 2014. 트위터의 매체 간 의제설정.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14(1): 139-149. (Lee, S. H. and S. H. Lim. 2014. "Intermedia Agenda-setting Effects: Political Debates on TVand Twitter." Journal of The Korea Contents Association, 14(1): 139-149.) https://doi.org/10.5392/JKCA.2014.14.01.139
  10. 임재명, 장세정, 김민영, 이정환. 2014. 2014년 모바일인터넷 이용실태 조사. 서울: 한국인터넷진흥원. (Im, J. M., S. J. Jang, M. Y. Kim, and J. H. Lee. 2014. On Survey of 2014 Mobile Internetuse. Seoul: Korea Internet & Security Agency.)
  11. 전미녀, 정재은, 이용승. 2012. 온라인 소셜 미디어에서의 정보 확산 분석을 위한 가시화 시스템. 한국지능정보시스템학회 학술대회논문집, 50-54. (Jeon, Mi-Nea, Jae-Eun Jeong, and Yong-Seung Lee. 2012. "A visualization system for understandinginformation diffusion on online social media." Proceedings of the International Conferenceof Korea Intelligent Information Systems Society, 50-54.)
  12. 정영철, 최익수, 배용근. 2016. 사회안전을 위한 빅데이터 활용의 재난대응 정책. 한국정보통신학회논문지, 20(4): 683-690. (Choung, Y. C., I. S. Choy, and Y. G. Bae. 2016. "Social Security aimed Disaste Response Policybased on Big Data Application." The Korea Institute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Engineering, 20(4): 683-690.) https://doi.org/10.6109/JKIICE.2016.20.4.683
  13. 최정원, 강주연, 박준형, 오효정. 2016, 공공기록관의 소셜미디어 이용 현황 및 이용자 관심도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33(2): 135-156. (Choi, J. W., J. Y. Gang, J. H. Park, and H. J. Oh. 2016. "A Study on Social Media Usage ofGovernment Archival Services and Users' Interestedness: Focused on "National Archivesof Korea" and "Presidential Archi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for InformationManagement, 33(2): 135-156.) https://doi.org/10.3743/KOSIM.2016.33.2.135
  14. 하현수, 황병연. 2016. 트위터를 활용한 실시간 이벤트 탐지에서의 재난 키워드 필터링과 지명 검출 기법. 정보처리학회논문지, 5(7): 345-350. (Ha, H. S. and B. Y. Hwang. 2016. "Keyword Filtering about Disaster and the Method ofDetecting Area in Detecting Real-Time Event Using Twitter." Korea Information ProcessingSociety, 5(7): 345-350.) https://doi.org/10.3745/KTSDE.2016.5.7.345
  15. Alam, L. and R. Lucas. 2011. Tweeting government: A case of Australian government use of Twitter. 2011 IEEE Ninth International Conference, Dependable, Autonomic and Secure Computing.
  16. Boyd, danah m. and Nicole B. Ellison. 2001. Realising Democracy Online: A Civic Commons in Cyberspace. IPPR/Citizens Online Research Publication, Institute for Public Policy Research, No. 2.

Cited by

  1. SNS 기반 재난기록정보서비스를 위한 이용자 요구분석 및 개선방안 vol.36, pp.1, 2017, https://doi.org/10.3743/kosim.2019.36.1.2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