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velopment of Test Tool of Attitude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for Middle School Students

중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 검사 도구 개발

  • 김성원 (한국과학기술원 과학영재교육연구원) ;
  • 이영준 (한국교원대학교 컴퓨터교육과)
  • Received : 2020.02.24
  • Accepted : 2020.05.12
  • Published : 2020.05.31

Abstract

Although the importance of Artificial Intelligence(AI) education is increasing, research on the development of test tools has not been conducted in AI education research in Korea has not been conducted. Accordingly, there is a limit to designing AI curriculum and analyzing the effect of the educational program. So, in this study, Test tool was developed that to measure the attitude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For the development of test tools, the objectives, components, factors, and test tools were developed through the discussion of AI education experts. The test tool was finally developed by item analysis, exploratory factor analysis and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Finally, the criteria of the developed test tool were analyzed. Future research is need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ducational programs and to analyze factors affecting attitudes toward artificial intelligence in middle school students using developed test tools.

인공지능 교육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지만, 한국의 인공지능 교육 연구에서 검사 도구를 개발하는 연구는 진행되지 않았다. 이에 따라 인공지능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는 데 한계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중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검사 도구를 개발하였다. 검사 도구 개발은 인공지능 교육 전문가 집단의 논의를 통하여 검사 도구의 목적과 구성요인, 요인별 문항을 개발하였다. 개발한 문항은 문항 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확인적 요인 분석을 실시하여 검사 도구를 최종 개발하였다. 개발한 검사 도구는 5개의 영역과 17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마지막으로 개발한 검사 도구의 규준을 제시하였다. 향후 연구에서는 개발한 검사 도구를 활용하여 교육 프로그램의 효과를 분석하고, 중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요인을 분석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Schwab, K. (2017).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Currency.
  2. 미래창조과학부 (2016). 제4차 산업혁명에 대응한 지능정보사회 중장기 종합 대책. Retrieved from http://www.korea.kr/archive/expDocView.do?docId=37384
  3. 이은경. (2018). 정보교육의 전망과 과제: 미래 정보과 교육과정 개발 방향.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1(2), 1-10.
  4. Kim, S. W., & Lee, Y. (2016). Development of a Software Education Curriculum for Secondary Schools. 한국컴퓨터정보학회논문지, 21(8), 127-141.
  5. 이은경 (2020). 국내외 초.중등학교 인공지능 교육과정 분석.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3(1), 37-44.
  6. 김갑수 (2019). 초등 교사들을 위한 인공지능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6), 629-637.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6.629
  7. 이영호 (2019). 블록형 프로그래밍 언어 기반 인공지능교육이 학습자의 인공지능 기술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2), 189-196.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2.189
  8. 김갑수.박영기. (2017). 초등학생의 인공지능 교육을 위한 교수 학습 모델 개발 및 적용.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1), 137-147.
  9. 신승기 (2019). Computational Thinking 기반의 인공지능교육 프레임워크 및 인지적학습환경 설계.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6), 639-653.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6.639
  10. 류미영.한선관 (2019). 딥러닝 개념을 위한 인공지능교육 프로그램.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3(6), 583-590. https://doi.org/10.14352/jkaie.2019.23.6.583
  11. 한선관.류미영 (2017). 의미분별법을 이용한 초등학생의 인공지능에 대한 이미지.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1(5), 527-535. https://doi.org/10.14352/jkaie.2017.21.5.527
  12. 김양은.김현철 (2019). 지능형 로봇과의 공존에 대한 중학생들의 인식 조사.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4), 35-45.
  13. 류미영.한선관 (2018). 초등 교사들의 인공지능에 관한 교육적 인식. 정보교육학회논문지, 22(3), 317-324. https://doi.org/10.14352/jkaie.2018.22.3.317
  14. 신세인.하민수.이준기 (2017). 고등학생들의 인공지능 (AI) 에 대한 개념인식과 정서 구조 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7, 289-312.
  15. 신세인.하민수.이준기 (2018). 인공지능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이미지 탐색. 초등과학교육, 37(2), 126-146.
  16. 박종향.신나민 (2017). 인공지능기술과 인공지능교사에 대한 인식 분석: 초.중.고등학생의 관점에서. 한국교원교육연구, 34(2), 169-192. https://doi.org/10.24211/TJKTE.2017.34.2.169
  17. 최숙영 (2019). 컴퓨팅 사고력 평가에 관한 시스템 매핑기반 국내 문헌 고찰.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22(6), 19-33.
  18. 이정수.정영란 (2014). 중학생의 과학에 대한 태도, 과학 학습 동기 및 자기조절학습 전략과과학 학업성취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5), 491-497.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5.0491
  19. 이미경.김경희. (2004). 과학에 대한 태도와 과학 성취도의 관계.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2), 399-407.
  20. 김종환 (2007). 체육교사의 교수행동유형과 학생의 체육수업만족도 및 체육교과태도와의 관계. 한국스포츠교육학회지, 14(3), 41-54.
  21. 임정훈.성은모. (2011). IPTV 학습환경에서 중, 고등학생의 시각화 경향성, 교과 태도, 학습몰입 및 학습만족도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7(3), 423-446.
  22. Mancini, C., Rogers, Y., Bandara, A. K., Coe, T., Jedrzejczyk, L., Joinson, A. N., Price, B. A., Thomas, K., & Nuseibeh, B. (2010). Contravision: exploring users' reactions to futuristic technology. In Proceedings of the SIGCHI Conference on Human Factors in Computing Systems (pp. 153-162).
  23. Serholt, S., Barendregt, W., Leite, I., Hastie, H., Jones, A., Paiva, A., Vasalou, A. & Castellano, G. (2014). Teachers' views on the use of empathic robotic tutors in the classroom. In The 23rd IEEE International Symposium on Robot and Human Interactive Communication (pp. 955-960). IEEE.
  24. 하신석 (2006). 과학교육 목표분류에서 지식, 기능 및 태도범주 용어 통일에 관한 제안. 석사학위 논문, 경상대학교.
  25. Remmers, H. H., & Gage, W. L. (1955). Measuring Attitudes and Interests.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Harper Brothers, New York, 381-423.
  26. Guilford, J. P. (1959). Personality. New York: McGraw-Hill Book Co.
  27. Allport, G. W., Attitudes, in C, Murchison (Ed.) (1935). A handbook of social psychology. Worcester: Clark University Press, pp. 798-844
  28. Triandis, H. C. (1971). Attitude and behaviour. New York: John Wiley & Sons, Inc.
  29. Triandis, H. C. (1979). Values, attitudes, and interpersonal behavior. In Nebraska symposium on motivation. University of Nebraska Press.
  30. Fishbein, M., & Ajzen, I. (1977). Belief, attitude, intention, and behavior: An introduction to theory and research.
  31. Koballa Jr, T. R. (1988). Attitude and related concepts in science education. Science education, 72(2), 115-126. https://doi.org/10.1002/sce.3730720202
  32. Moore, R. W., & Sutman, F. X. (1970). The development, field test and validation of an inventory of scientific attitude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7(2), 85-94. https://doi.org/10.1002/tea.3660070203
  33. Rosenberg, M. J., & Hovland, C. I. (1966). Attitude organization and change: An analysis of consistency among attitude components.
  34. 정병석.이명란.정진우 (1994). 국민학교 학생들의 과학에 관련된 태도와 과학 불안에 관한 연구. 초등과학교육, 13(1), 19-33.
  35. 장세나.정미선.문두호 (2009). 웹 기반 자기조절학습전략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 자기조절학습능력, 과학불안 및 생물 흥미도에 미치는 영향. 교사교육연구, 48(3), 1-14.
  36. Arntson, W. W. (1975). The Effect of and Interdisciplinary Course in Futuristics on Attitudes toward Science among Studient. University of Northern Colorado.
  37. Al-Jabri, I. M., & Al-Khaldi, M. A. (1997). Effects of user characteristics on computer attitudes among undergraduate business students. Journal of Organizational and End User Computing, 9(2), 16-23. https://doi.org/10.4018/joeuc.1997040102
  38. Barbeite, F. G., & Weiss, E. M. (2004). Computer self-efficacy and anxiety scales for an Internet sample: testing measurement equivalence of existing measures and development of new scal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20(1), 1-15. https://doi.org/10.1016/S0747-5632(03)00049-9
  39. Loyd, B. H., & Gressard, C. (1984). The effects of sex, age, and computer experience on computer attitudes. AEDS journal, 18(2), 67-77. https://doi.org/10.1080/00011037.1984.11008387
  40. Torkzadeh, G., & Van Dyke, T. P. (2002). Effects of training on Internet self-efficacy and computer user attitudes. Computers in Human Behavior, 18(5), 479-494. https://doi.org/10.1016/S0747-5632(02)00010-9
  41. Erickson, T. E. (1987). Sex differences in student attitudes towards computers. Ph.D. Dissertation.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Also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s of the AERA, Portland, November.
  42. Dukes, R. L., Discenza, R., & Couger, J. D. (1989). Convergent validity of four computer anxiety scal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49(1), 195-203. https://doi.org/10.1177/0013164489491021
  43. Nomura, T., Suzuki, T., Kanda, T., & Kato, K. (2006). Measurement of negative attitudes toward robots. Interaction Studies, 7(3), 437-454. https://doi.org/10.1075/is.7.3.14nom
  44. 김성원.이영준 (2016). 로봇 프로그래밍이 예비 교사의 로봇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영향. 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9(6), 91-103.
  45. Bartneck, C., Nomura, T., Kanda, T., Suzuki, T., & Kato, K. (2005). Cultural differences in attitudes towards robots. AISB.
  46. 신나민.김상아 (2009). 한국 학생의 로봇에 대한 태도: 국제비교 및 태도형성에 관하여. 로봇학회논문지, 4(1), 10-16.
  47. Nomura, T., Kanda, T., & Suzuki, T. (2006). Experimental investigation into influence of negative attitudes toward robots on human-robot interaction. Ai & Society, 20(2), 138-150. https://doi.org/10.1007/s00146-005-0012-7
  48. 이춘식 (2007). 초.중.고등학생들의 로봇에 대한 태도 검사 척도. 실과교육연구, 13(4), 151-168.
  49. 정민영.이경택 (2017). 중학생의 로봇에 대한 태도: 경기도 중학생을 중심으로. 한국실과교육학회지, 30(1), 185-206.
  50. 정명석.박성현.채병훈.이주연 (2017). 논문데이터 분석을 통한 인공지능 분야 주요 연구 동향 분석. 디지털융복합연구, 15(5), 225-233. https://doi.org/10.14400/JDC.2017.15.5.225
  51. 한국과학창의재단 (2019). 차세대 소프트웨어 (SW)교육표준모델 개발. 서울: 한국과학창의재단.
  52. 정철영 (2002). 농업 진로검사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 농업교육과 인적자원개발, 34(4), 59-82.
  53. Aiken, L. R. (1997). Psychological testing and assessment. Allyn & Bacon.
  54. Crocker, L., & Algina, J. (1986). Introduction to classical and modern test theory. Holt, Rinehart and Winston, 6277 Sea Harbor Drive, Orlando, FL 32887.
  55. 탁진국 (1996). 심리검사: 개발과 평가의 이해.
  56. 교육통계서비스(2020). 2019 중학생 정보. Retrieved from kess.kedi.re.kr
  57. Krejcie, R. V., & Morgan, D. W. (1970). Determining sample size for research activities. Educational and psychological measurement, 30(3), 607-610. https://doi.org/10.1177/0013164470030003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