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tudy on the Relation between Social Value Realization Efforts and Performances of Social Enterprises - Focudsing on Mediating Effect of External Support Environment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가치실현노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 외부지원환경 매개 효과를 중심으로

  • Received : 2022.05.11
  • Accepted : 2022.06.13
  • Published : 2022.08.28

Abstract

This study aims to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effect on social value realization efforts and company performances, focusing on the mediating effect of external-support environment. Data for the analysis is collected from open data source from Social Enterprise Promotion Agency. The results of the analysis are, first the social value realization efforts has positive effect on both social and economic outcome of the social enterprises. External-support environment has influence on both social performance and social value realization efforts. Additional analysis to test mediation effect of external-support environment were carried out by statistical software package, Process for SPSS4.0. Mediation effect could be found between social realization efforts and social performances, however, no evidence could be found on economic performance. The result indicates that social value realization efforts as a social capital has influence on social performance mediated by external-support environment.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가치 실현노력이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및 사회적 지원환경의 매개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실시한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자원 조사' 공개데이터 자료를 이용하여 통계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가치실현노력은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기업의 외부지원환경은 사회적가치실현 노력과 사회적 성과 간 각각 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Process for SPSS 4.0을 통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결과, 외부지원환경은 사회적 가치실현노력과 사회적 성과 간 매개효과가 유의미했으나 경제적 성과에서는 매개효과가 비유의적이었다. 이로써 사회적 가치실현노력이라는 사회적자본이 사회적 성과에 미칠 수 있는 외부지원환경의 역할을 기대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Keywords

Ⅰ. 서론

사회적 기업은 국가가 당면한 다양한 사회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이해된다. 2007년 사회적기업육성법이 제정되면서 정부와 지자체는 본격적으로 사회적기업 육성을 위한 다양한 정책과 활동들을 시도해왔다.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를 동시에 추구하는 목표를 가진 기업이다[1]. 즉, 사회적 기업은 사회적 목적을 우선적으로 추구하면서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하고 판매함으로서 수익을 창출하고, 다시 사회적 목적 실현을 위해 재투자되어야 한다[2]. 이러한 맥락에서 사회적기업의 성과는 사회적 목적과 경제적목적을 동시에 고려해야 한다. 이러한 양립적 가치를 돕는 것이 사회적 가치실현노력이다.

사회적 가치는 사회 기업의 본질적 특성으로 사회적정체성으로 불린다[31I4]. 예컨대, 취약계층대상 일자리를 창출하고, 공연이나 문화콘텐츠를 개발하거나 폐기물처리 및 재활용 같은 환경보호 등 다양한 사회적 가치영역에서 사회적기업이 어떠한 가치에 초점을 두는가에 따라 사회적기업의 정체성이 결정된다[5]. 사회적가치추구 활동은 이해관계자의 기대치에 부응하며, 사회적기업에 대한 긍정적 평가를 가져오게 된다[6]. 사회적 가치창출은 일종의 이해관계자 관계 프로세스임을 의미한다. 사회적기업이 원활히 작동하기 위해서 시장실패를 보완한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관심, 지원과 노력이 수반되어야 하며[7]. 이를 통해 사회적기업은 지속가능성을 제고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사회적 가치와 경제적 가치라는 사회적기업의 성과는 양립하기 쉽지 않아 사회적기업들의 상당수가 정부의 지원이나 특혜를 받아야 지속적 생존과 자립적인 경제성과를 창출할 수 있는 것이 현실이다[5]. 왜냐하면, 많은 수의 사회적기업은 영세하면서 소규모이고, 신생기업이라는 점에서 사업을 위한 자원의 접근이나 획득에 상당히 제한적이기 때문이다. 이러한 상황에서 사회적기업은 한정된 자원과 자본을 가지고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하는데, 그렇지 못한 경우 사회적 가치추구 활동에 집중하지 못하고, 이탈하는 현상이 빈번해지고 쉽다[8]. 따라서 사회적기업은 다른 기업과 협업관계를 통해 문제를 해결하고, 협의체 활동을 통해 정보를 얻거나 협력적 네트워크를 통해 역량을 키우면서 문제해결을 도모한다[9]. 최근에는 정부와 사회 및 기업주체 간 거버넌스를 구축하여 당면문제를 해결해 나가면서 지속 가능한 사업모델을 만들어 내기도 한다 [10][11]. 무엇보다 이러한 노력을 통해 사회적기업이 사회적 가치 창출을 기업성과로 이어지도록 하기 위해서는 외부지원환경은 매우 중요하다.

2007년 이후 사회적기업육성법 제정은 이를 반영한초기 노력으로, 정부의 육성정책에 관한 조례가 제정되면서 사회서비스 제공 및 지역사회공헌이라는 목적에 따라 지원정책이 추진되고 있다[12]. 최근에는 수익성뿐만 아니라 사회성의 균형을 추구하는 사회적경제 지원기금 조성 즉 사회적 금융을 통한 지원 방안도 마련되어 일부 이루어지고 있다[13]. 2018년 금융지원활성화방안이 마련되면서, 사회적 금융지원제도에 대한 영역이 비교적 확산되고 있는데, 사회적 경제활성화를 위해 사회적금융과 같은 외부지원환경이 지역사회 생태계 조성의 핵심요인이 되기 때문이다[14]. 이러한 중요성에도 정부의 지원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각기 다르게 나타나는 반면[15][16], 아직 초기에 불과하나 사회적금융이 사회적기업의 성과로 이어진다는 연구 [12][13] 결과도 이루어지고 있어 외부지원에 대한 통합적 관점에서 기업성과와의 관련성을 검증하는 것이 필요하다. 게다가 외부지원환경에 따라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 등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다르게 나타날수 있어서 이에 대한 탐색이 필요하다.

요약컨데 사회적 약자에 대한 기회제공, 환경보존 및 지역공동체 활성 및 경제활동을 통한 지역경제 공헌과같은 사회적 가치실현노력을 중요하게 인식할수록 기업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 하이브리드 조직으로서 사회적기업은 사회복지적 논리뿐만 아니라 효율성이라는 상업적 논리와도 밀접한 관련성이 있다는 점에서 정부지원과 같은 외부지원환경요인과도 인과관계가 있다[17]. 사회적 기업이 사회적가치실현 노력에 대한 중요성 인식은 기업의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에 직접적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외부 지원환경을 통해 기업의 가치를 제고시켜 기업의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으로 고려된다. 이러한 중요성에도 불구하고, 선행연구들은 사회적 가치실현노력과 외부지원환경 중 정부지원금과의 관련성 혹은 기업성과와의 단선적 인과관계를 살피는데 그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복지적 성과와 상업적 성과를 포괄하는 사회적 가치실현노력이 외부지원환경에 영향을 미치고, 이는 기업성과로서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에 각각 영향을 미치는 구조적 관계를 살펴봄으로써 타연구와 차별성를 기하고자 한다. 그에 따른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이 설정하였다.

가설 1: 사회적 가치실현 노력은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2: 사회적 가치실현 노력은 외부지원환경을 매개로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3: 사회적 가치실현 노력은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가설 4: 사회적 가치실현 노력은 외부지원환경을 매개로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Ⅱ. 이론적 배경

1. 사회적기업의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기업은 기업의 사회적 문제해결과 기업을 유지하기 위하여 경제성과 등 두 가지 성과를 달성해야 한다. 따라서 사회적기업의 성과는 사회적성과와 경제적 성과 모두를 포괄한다[12]. 기존 연구에서 기업관리를 통한 경제성과와 사회가치실현의 두 개의 목적이 모두 달성할 수 있도록 이해관계자 가치, 학습, 소통, 참여, 혁신, 관리 등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39][40]. 구체적으로 사회적기업 성과에 미치는 요인을 CEO 역량, 기술혁신, 정부지원, 사회자본 등으로 나누어 연구를 진행하였다. CEO 역량은 기업의 가치증진, 기업목표달성에 있어서 가장 강력한 요인이다[18T34JI35]. 기업가로서 사회적기업을 운영할 수 있는 능력이 있어야기업의 성과에 기여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기업의 자원을 활용하여 기업가치를 상승시킬 수 있다는 관점에서 기술역량이나, 재무자원, 조직 특성들이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난다[25]. 특히 기술역량이 높은 사회적기업들은 혁신성이 높고, 지식집약적 특징을 보이므로 기업 성과에 대한 영향력이 존재한다[241l261[27]. 사회적기업의 성과를 낼수 있는 요인으로 기업규모요인의 중요성을 언급한 연구들도 있는데, 결국 규모가 큰 기업일수록 사회적성과와 경제적성과를 낼 수 있고, 더 나아가 지속가능할 수 있다는 것이다[23]. 기업이 충분한 자원규모를 이루어져야 성과가 가능하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36].

2. 사회적 가치실현 노력, 외부지원환경 및 기업 성 과에 미치는 영향

사회적기업이 창출하는 가치와 성과는 사회적 기업의 본연의 목표달성의 중요한 척도가 된다[19]. 다시 말하면, 사회적기업은 지역사회 공동체의 공유가치 (shared understanding)를 기반으로 운영된다고 할 수 있다. 공유가치는 조직구성원 및 공동체의 공공성과 관련이 높은데, 공공성의 개념은 공익, 공평, 공개, 공유등 다양한 차원에서 설명되지만, 공동체 전체에 미치는 효과에 초점을 맞춘다[20]. 공유가치지향은 시장기준에 따르지 않고 공공성을 실현하는데 초점을 둔다[40]. 대표적으로 생산 및 교환 활동을 추구하는 사회적 기업은 기존의 시장의 규칙이 아닌 상호호혜와 연대를 기반으로 운영하는데[44], 지역사회나 가정의 운영원리를 확장시킨 것이다[21][22][42].

사회적 가치를 실현하기 위한 노력은 사회적 자본의 일환으로 볼 수 있다. 사회적 자본은 '공동목적을 위해 행위자들이 효과적으로 협력할 수 있도록 돕는 네트워크, 규범, 신뢰' 라고 정의하였다[40II41]T431.. 특히 Coleman[6]은 시민 간 공유된 규범가치, 신뢰, 연결망으로 보았고, 더 나아가 인지 자본으로 공동목표를 달성할 수 있는 자본정도로 보고 있다[33ll38]. 그러므로 사회적 가치는 조직내부의 인지자본으로서 사회적 가치로 인식할 수 있다. 이용재, 엄소용[30]은 조직의 내부 공유가치 창출을 제품 생산에 대한 공유와 지역 연대활동으로 보고, 사회적기업을 대상으로 공유가치와 기업성과를 분석하여, 공유가치와 기업성과 간 관련성이 있다고 주장하였다. 사회적자본은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28][29]. 사회적기업의 목적은 공익적인 목적을 달성시키면서 동시에 경제적 목적을 달성해야 하기 때문에 조직구성원 간 기업의 사회적 혹은 공익적 가치 인식을 공유하고 이를 경영관리에 적용해야 한다. 따라서 기업 내부자의 기업에 대한 사회적가치실현 노력은 기업운영을 위한 가장 중요한 덕목 중 하나이다.

사회적가치실현의 인식이 높을수록 경제성과는 부정적으로 평가되고, 사회적 성과에는 긍정적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있다[19]. 이는 사회적 기업이 사회적가치창출을 하고 있는지, 경제적 가치와 사회적 가치의 선순환에 기여하고 있는지의 시각이 혼재되어 있는 까닭으로 볼수 있다.

이를 위해 외부지원환경의 필요성을 강조된다. 외부지원환경은 사회적 경제 생태계의 일환으로 설명된다. 즉, 사회적기업이 지역경제 내에서 활동하면서 지역네트워크와 공공의 지원, 중간조직의 지원 등 생태계 내연계활동을 통해 성과를 도출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이 경제적 성과를 추구하고 사회적 성과를 달성하기 위해 그들만의 특성과 상황적 특수성에 따라 다양한 해결책이 제시된다. 기업성과를 높이기 위해 사회적 가치실현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도적 장치의 필요성을 강조되고 있는 것이다[26]. 실제로 정부지원은 사회적기업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 타난다[15]. 이는 사회적 기업이 정부보조금에 의존한다는 시각을 벗어나 사회적 기업의 역량강화를 위한 외부지원환경의 필요성을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반면 정부지원금이 경제적 및 사회적 성과 모두에 부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나는 연구결과들도 있다 [3][12]. 선행연구들의 서로 상반된 결과에도 불구하고, 소규모 신생 사회적기업은 정부지원금과 같은 외부지원환경이 매우 중요할 수 밖에 없다.

다른 한편, 사회적기업이 사회적 관계를 통한 자원이나 정보를 확보하거나 부족한 사업여건을 극복하고 경쟁우위를 확보하는 수단으로서 네트워크를 활용하기도 한다[51[11], 이는 신생 사회적기업이면서 소규모의 불리함을 가지고 있는 경우, 이를 극복하는 중요한 사회적 자본이 된다[14]. 유럽이나 캐나다는 공공지원과 정부의 금융지원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한국의 사회적금융지원제도는 태동기 단계이다. 사회적금융이 활성화되지 않은 상황 하에서 공공부분을 통한 역할강화는 불가피한 상황이다[13]. 결과적으로 외부지원환경은 기업이 사회적 가치창출을 통해 사회적기업의 성과에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밀접한 경로적 관련이 있다는 점이다. 즉 하이브리드 조직으로서 사회복지적 측면과 사업적 효율성을 고려할 때, 사회적 가치실현노력은 정부지원이나 사회적 금융 등 외부지원환경과 밀접한 관련성을 가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기업의 성과로 연결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사회적 가치실현노력과 사회적 성과 혹은 경제적 성과 간 매개효과로서 외부지원환경과의 구조적 관계를 검증함으로써 각 경로의 유의성에 따른 정책적 함의를 제공하는 것이 필요 하다.

Ⅱ. 연구방법

1. 자료수집 방법 및 연구대상

본 연구는 한국 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2020년 실시한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자원 조사' 공개데이터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전국 총 5.030 개의 사회적경제조직이 지역자원 조사에 응답하였고. 지역자원 조사에서 사회적기업이라고 응답한 2,139개 표본만을 추출하여 분석에 사용하였다. 본 연구 모형은 [그림 1]과 같다.

2. 측정 도구

2.1 기업의 성과

본 연구의 종속변수인 기업의 성과는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로 나뉜다. 사회적 성과는 2020년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자원 조사 공개데이터' 설문항목 중 '사회서비스 비중', 지역 창업 활동에 기여 하는 정도', '고용 창출에 기여 정도', '지방재정에 기여 정도', '지역사회 빈곤율 감소기여 정도', '지역사회소득 증가 기여 정도', 지역사회공동체 의식 확산에 기여 정도 등총 7문항을 사용하였다. 경제적 성과는 '전년 대비 평균 매출액' 평균 총수입 증가 정도', 총 영업이익 증가', 총지출비용 증가', 총 자산 증가', '총부 채증가' 등총 6문항울 사용하였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5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기업의 성과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성과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 = .857이며, 경제적 성과의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 .850이었다.

그림 1. 연구모형

2.2 사회적 가치실현 노력

독립변수인 가치실현 노력 척도는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자원 조사' 공개데이터'에서 사용한 척도로, 문항은 인권 보호' '안전한 근로, 생활환경 유지', 건강생활이 가능한 보건·복지 제공', '노동권보장과 근로조건 향상', '사회적 약자의 기회제공과 사회통합', '기업들과 상생과 협력' 양질의 일자리 창출' 공동체 복원' '지역경제 공헌' '사회적 책임 이행' 환경의 지속가능성 보존', 민주적 의사결정과 참여 실현' 공동체 이익 실현과 강화' 등총 13문항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는 응답자가 사회적가치실현 노력을 얼마나 중요하게 고려하는지를 묻고 있으며,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5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사회적 가치실현의 노력을 중요하게 인식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사회적 가치실현 노력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 .939 이었다.

2.3 외부적 지원환경

매개변수인 외부 지원환경 역시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자원 조사' 공개데이터'에서 사용한 척도로, '사회적기업관련 조례 등 지원제도' 정부의사업모델 발굴' 육성정책' '지원계획의 이행' 정책 관련 사업과 연계기회' '사회적기업 조직들을 위한 사회적경제 기금조성' 등총 5문항으로 구성되었다. 각 문항은 전혀 그렇지 않다'에서 '매우 그렇다'까지 5점 리커트 척도이며, 점수가 높을수록 외부 지원환경의 정도가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외부적 지원환경의 신뢰도 분석결과 Cronbach's α = .908이었다.

2.4 통제변수

본 연구의 통제변수는 타조직과의 공동과업 수행경험여부(0=없음, 1=있음), 협의회 참여경험 유무(0=없 음, 1=있음), 네트워크(매우 낮음=1, 낮음=2, 보통=3, 높음=4, 매우높음=5)로, 거버넌스는 사회적경제조직과 시민사회섹터 및 행정기관간 지역발전을 위해 지속적협력과 협력적 파트너로서 인식을 의미하며, 5점 리커트척도로 구성되었다(매우 낮음=1, 낮음=2, 보통=3, 높음=4, 매우높음=5).

3. 분석 방법

자료분석은 SPSS 24 Window Version을 사용하였다. 먼저 빈도분석과 기술통계분석을 통해 자료의 정규성을, 상관관계 분석을 통해 다중공선성을 검토하였다. 다음으로 위계적 회귀분석을 통해 매개 효과분석을 실시하였다.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정을 위해 Process Version 4.0 for SPSS를 이용하였다.

IV. 분석결과

1. 일반적 특성

[표 1]과 같이 본 연구의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사회적 기업의 전국 분포를 살펴보면, 서울이 446개소(20.9%)로 가장 많고, 충남이 18개소(0.8%)로 가장 적 었다. 전체 유급근로자수는 2인 이상 5인 미만 사업장이 637개소(29.8)로 가장 많았으며, 취약계층 근로자수는 1인 사업장이 1,070개소(50.0%0로 가장 많았다. 사회적 기업의 운영성과의 생애주기별로 살펴보면, 성장단계가 793개소(37.1%)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표 1. 일반적인 기술적 통계

2. 주요 변수의 특성

주요 변수의 일반적 특성은 [표 2]와 같다. 일반적 특성을 살펴보면, 네트워크는 평균 3.09점(S·D= .74)으로 나타났다. 거버넌스는 평균 3,51점(S·D= .83)이며, 가치실현 노력은 평균 4.12점(S·D= .57)이었다. 또한 가치실현 노력은 평균 4.12점(S·D= .57)이며, 외부지원환경은 평균 3.30점(S·D= .74)이며, 사회적 성과는 평균 3.25점(S-D= .67)이며, 경제적 성과는 평균 3.19점 (S·D= .84)으로 확인되었다. 주요 변수들의 왜도와 첨도는 절대 값 왜도 3 미만, 첨도 10 미만으로 나타나 주요 변수들의 분포가 정규성을 충족한다고 볼 수 있다.

표 2. 기술적 통계

3. 상관관계 분석

[표 3]과 같이 변수들의 상관관계는 ±0.7 이하로 나타나 다중공선성 문제는 없는 것으로 간주된다. 구체적으로는 네트워크와 거버넌스는 r=.43, 네트워크와 가치실현노력은 r=.16, 네트워크와 사회적 지원환경은 r =.38, 네트워크와 사회적 성과는 r=.38, 네트워크와 경제적 성과는 r=.16이었다. 거버넌스와 가치실현노력은 r=.21, 거버넌스와 사화적 지원환경은 r=.62, 거버넌스와 사회적 성과는 r=.26, 거버넌스와 경제적 성과는 r =.15이며, 가치실현노력과 사회적 지원 환경은 =.19, 가치 실현과 사회적 성과 r=36, 가치실현노력과 경제적 성과는 r=.16이었다. 지원 노력과 사회적 성과는 r=.25, 지원 노력과 경제적 성과는 r=.15,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는 r=.31이었다. 왜도와 첨도는 절대값 3~7을 넘지 않아 정규성을 충족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표 3. 변수 간 상관관계

1) 1. network 2. governance 3. value realization 4. support environment 6. social performance 7. economic performance

2) **p<.01

4. 통계분석 결과

기업의 성과는 사회적 성과 및 경제적 성과로 나뉜다. 사회적 성과를 종속변수로 한 위계적 회귀분석에서 DuBin-Watson값은 1.960으로 변수 간 자기 상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1단계로 사회적 가치실현이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원환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β=.058, p<.01). 2단계로 사회적 가치실현은 종속변수인 사회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β =.288, p<001). 이 때, 통제변수인 타조직과 공동협력 수행(β=-.056, p<01)은 부정영향을, 네트워크(β=.298, p<001)와 거버넌스는(8=.069, p<01)는 사회적 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타조직과의 공동협력수행경험은 사회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고, 네트워크나 거버넌스는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볼수 있다. 마지막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사회적 가치실현(β =.280, p<.001)과 매개변수인 외부지원환경(β=.084, p<.01)이 사회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사회적 가치실현노력이 사회적 성과에 이르는 경로에서 외부지원환경의 매개효과가 나타났다. 2단계의 사회적가치실현노력 회귀계수 8값이 3단계 회귀계수 값보다 감소하여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통제변수는 타조직과 공동협력수행(β=-057, p<01)은 부정영향을, 네트워크(β=.285, p<001)는 여전히 사회적 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매개 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을 위해 Process Procedure for SPSS 4.0을 통한 검증결과, BootLLCI(001)와BootULCI(008)의 신뢰구간이 0을 포함하지 않아 외부지원환경의 매개 효과가 유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표 4. 사회적 성과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P<.01, *** p<.0

다음으로 사회적 가치실현노력이 기업의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부지원환경의 매개효과를 살펴보았다. Dubin-Watson값은 2.037로 2에 가까워 변수 간 자기상관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먼저 1단계로 사회적 가치실현노력이 매개변수인 사회적 지원환경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β=.058, p<.01). 2단계에서 사회적 가치실현은 종속변수인 경제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β=.109, p<001). 통제변수인 타조직과 공동협력수행(β=.083, p<01)은 경제적 성과에 부정영향을, 네트워크(β=.092, p<001)와 거버넌스는(β =.081, p<01)는 경제적 성과에 정적(+) 영향을 미쳤다. 즉, 타조직과의 공동협력수행 경험은 오히려 경제적성과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나, 네트워크나 거버넌스는 경제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준다고 볼 수 있다. 3단계에서는 독립변수인 사회적가치실현노력(8=.105, p<.001)과 매개변수인 외부지원환경(β=.067, p<.01) 이 경제적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쳤다. 결과적으로 사회적 가치실현이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서 외부자원환경의 매개효과가 확인되었으며, 특히 2단계에서 사회적 가치실현의 회귀계수 β값이 3단계 회귀계수값보다 감소하고 있어 부분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밖에 통제변수로서 타조직과 공동협력수행 (8=-.085, p<01)은 경제적 성과에 부정영향을, 네트워크(8=.080, p<001)에는 정적(+) 영향을 미쳤다. 마지막으로 Process Procedure for SPSS Version 4.0 을 이용하여 외부지원환경의 매개 효과에 대한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한 결과, BootLLCI(-.001)와 BootULCI(010)의 신뢰구간이 0을 포함하여 외부지원환경의 매개 효과가 비유의적임을 알 수 있다. 이는 사회적 가치실현노력과 경제적성과 간 외부환경의 매개효과의 영향력이 매우 적게 나타남에 따라 통계적 유의성 검증에서 비유적으로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선행연구를 살펴볼 때, 매출액의 증가는 경제적성과에 유의적 이지만, 이익은 유의적이지 못하는 결과로 나타나고 [36], 오히려 리더의 관리역량에 따른 경영관리측면의 변수들이 경제적 성과를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이는 경제적 성과가 사회적 외부지원노력보다는 가치실현노력의 정도가 더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이해된다[5].

표 5. 경제적 성과에 대한 회귀분석 결과

*p<.05, **P<.01, *** p<.00

V. 결론 및 제언

본 연구는 사회적기업의 사회적가치실현노력이 기업성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한국사회적기업진흥원에서 2020년 실시한 '사회적경제 지역생태계 구축을 위한 지역자원 조사' 공개데이터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응답결과를 통계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회적가치실현노력은 기업의 사회적 성과와 경제적 성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통제변수와 같이 분석하여, 타조직과 공동협력수행을 많이 할수록 높은 결과를 내기 어려웠고, 네트워크와 거버넌스가 클수록 성과에 높은 영향을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타조직과 연계활동은 기업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나, 공동협력수행은 의사소통이나 성과에 있어 어려움이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혹은 연계활동은 성과를 나누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도출되었다고 보인다. 둘째, 사회적가치실현노력이 사회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데 있어 외부지원환경이 매개작용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회적기업이 성과를 내기 위하여 외부지원환경이 충분히 마련되어야 한다는 결과를 얻을 수 있었다. 기업의 사회적 가치실현노력이라는 사회적 자본의 형성이 두터울수록 기업의 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지만, 이러한 물리적 자본뿐만 아니라 외부로부터의 경제지원이나 지역에서의 네트워크[14]를 통해 자원을 얻거나 정보를 획득하고 나아가 기업이 어렵거나 신사업을 전개할 때 사회적 금융[12]과 같은 연대기금을 활용하는 외부지원은 사회적기업의 사회적 성과에 긍정적 영향을 만들어 내게 게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사회적 기업은 부족한 자원이나 정보획득을 위한 지역사회 다양한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적극활용하려는 노력이 필요하며, 지방정부와도 긍정적 거버넌스를 형성하려는 노력[32]이 필요할 것이다. 특히 사회적 성과측면에서 정부차원의 지원책을 제안할 수 있다. 사회적기업관련 조례제정을 통한 지원제도 및 정부의 사업모델 발굴을 통한 육성정책을 기초로지원계획이 이행되고, 사회적 경제적 경제 기금조성 등이 활성화될수록 사회적 성과 에 미치는 영향은 클것 이다. 따라서 정부차원의 정책적 지원을 통해 사회적기업성과를 창출함으로써 사회적기업의 활성화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반면 사회적가치실현노력이 외부지원환경을 매개로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Process Procedure for SPSS Version 4.0을 통한 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 검증결과 매개효과가 비유의적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개효과가 매우 적어서 통계적 유의미성이 나타나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특히 사회적 기업의 경우 정부지원과 같은 외부지원에 대해 비용으로 인식하는 경우 부적상관을 나타내는 연구결과도 있다는 점과[12][37] 초창기 사회적금융에 대한 접근이 쉽지 않는 상황에서 경제적 성과에 통계적 유의성을 미치지 못한 것으로 해석된다.

그에 따른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사회적가치실현노력과 기업의 성과 간 외부지원환경의 매개 효과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사회적 기업의 기업성과는 단순한 네트워크를 통한 자원이나 정보획득 혹은 현재는 한정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사회적금융은 크게 영향을 미치지 못한다는 점이다. 추후 경제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둘째, 사회적기업의 유형 따라 외부지원환경이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또한 후속연구로 제안한다.

References

  1. 이채원, 오혜미, "공감, 도덕적 의무감, 사회적 지지에 대한 인식이 사회적 기업가적 의도에 미치는 영향," 벤처창업연구, 제12권, 제5호, pp.127-139, 2017. https://doi.org/10.16972/APJBVE.12.5.201710.127
  2. 김숙연, "사회적기업 가치가 사회적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세무회계연구, 제50호, pp.171-192, 2016. https://doi.org/10.35349/TAR.2016..50.009
  3. 이수창, 정우열, "사회적기업의 성과 결정요인 분석-사회적기업의 조직 특성을 중심으로," 한국거버넌스학회보, 제21권, 제2호, pp.127-148, 2014. https://doi.org/10.17089/KGR.2014.21.2.006
  4. 최현도, "사회적 기업의 정체성 형성과정에서 지역과 산업환경의 역할," 벤처창업연구, 제11권, 제4호, pp.117-126, 2016. https://doi.org/10.16972/APJBVE.11.4.201608.117
  5. 강혜영, "사회적 기업의 사회적 정체성과 사회적 협업 관계가 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요인분석," 벤처창업연구, 제14권, 제3호, pp.47-38, 2019. https://doi.org/10.16972/APJBVE.14.3.201906.47
  6.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alology, Vol.94, pp.95-120, 1988.
  7. 한세억, "사회적기업의 성공요인과 시사점,"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제7권, 제1호, pp.115-154, 2017.
  8. T. Wry and J. G. York, "An Identity-based Approach to Social Enterpris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42, No.3, pp.437-450, 2017. https://doi.org/10.5465/amr.2013.0506
  9. S. Akarya, M. Bodur, O. Yuldirim-Oktem, and N. Selekler-Goksen, "Social Alliances : Business and Social Enterprise Collaboration of Soclail Transformation," Journal of Business Reserch, Vol.317, No.7, pp.426-432, 2012.
  10. 강병준,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사회적기업 활성화 요인에 대한 실증적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1.
  11. 안윤주, "협력 거버넌스 구축을 통한 사회적 기업 활성화요인 연구," 한국정책연구, 제13권, 제3호, pp.181-197, 2016.
  12. 김숙연, 강수진, "사회적기업 성과와 정부지원금과의 관련성,"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제7권, 제2호, pp.1-19, 2017.
  13. 김영국, 방준원, "한국의 사회적금융지원제도에 관한 탐색적 연구," 한국벤처창업학회: 학술대회논문집, pp.27-31, 2019.
  14. 장영란, 홍정화, 차진화, "사회적기업의 성과 및 지속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한 연구," 회계정보 연구, 제30권, 제2호, pp.175-207, 2016.
  15. 강석민, "정부지원이 사회적 기업의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실증연구," 사회적기업연구, 제7권, 제2호, pp.3-19, 2014. https://doi.org/10.32675/SES.2014.7.2.001
  16. 김재홍, 이재기, "사회적기업의 경제적.사회적 성과 분석: 정부지원금의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행정논집, 제24권, 제4호, pp.1037-1064, 2012.
  17. 정선희, 조상미, "하이브리드 요인이 사회적기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기업가 정신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사회적기업연구, 제11권, 제3호, pp.125-162, 2018. https://doi.org/10.32675/SES.2018.11.3.005
  18. 선남이, 박능후, "사회적기업의 사회경제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요인 분석," 지방정부연구, 제15권, 제2호, pp.141-164, 2011.
  19. 주혜린, 황정윤, "사회적 기업에 대한 주관적 평가의 영향요인: 일반 국민의 인식을 중심으로," 행정논총, 제57권, 제2호, pp.201-234, 2019.
  20. 박명규, "사회적 가치의 다차원적 구조," Social Innovation Monitor 시리즈 15호, 사회적가치연구원, 2018.
  21. M. Lukkarinen, "Community Development, Local Economic Development and the Social Economy," Oxford University Press and Community Development Journal, Vol.40, No.4, pp.419-424, 2005.
  22. 정무권, "복지국가의 미래와 사회적 경제의 새로운 역할," 지역발전연구, 제29권, 제3호, pp.191-249, 2020. https://doi.org/10.22739/IPAID.2020.29.3.191
  23. 이진민, 이상식, "사회적기업의 성과와 지속가능성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Journal of the Korea Indu strial Information Systemss Research, 제22권, 제2호, pp.123-142, 2017. DOI: 10.9723/jksiis.2017.22.2.123
  24. 이유미, 홍아름, "사회적기업의 기술혁신이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혁신학회지, 제13권, 제3호, pp.1-23, 2018.
  25. 임재웅, 장석인, "사회적 기업가정신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경영과 정보연구, 제37권, 제2호, pp.235-258,2018.DOI:10.29214/damis.2018.37.2.012
  26. 황정윤, 조희진, "사회적기업 설립의 영향요인 분석: 기능주의와 제도주의 관점을 중심으로," 정부정부학연구, 제23권, 제3호, pp.237-277, 2016.
  27. 송위진, 장영배, "사회적 혁신과 기술집약적 사회적 기업," 기술혁신연구, 제17권, pp.191-215, 2009.
  28. 한상일, 권소일, "사회적기업 인지도와 사회적자본의 사회적 기업신뢰에 대한 효과분석," 사회적경제와 정책연구, 제9군, 제2호, pp.33-56, 2019.
  29. 이준희, "사회적자본이 사회적기업의 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6권, 제4호, pp.644-654, 2016. https://doi.org/10.5392/JKCA.2016.16.04.644
  30. 이용재, 엄소영, "사회적기업의 공유가치 창출이 조직성과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 권, 제4호, pp.369-379, 2018. DOI:10.5392/JKCA.2018.18.04.369
  31. 강창현, "지역복지 공급 네트워크 연구: 네트워크 접근," 한국행정학보, 제36권, 제2호, pp.312-322, 2002.
  32. J. Kooiman, Models of Governance. In J. Kooiman. Governing as Governance, SAGE Press (London), 2003.
  33. J. Nahapiet and S. Ghoshal, "Social Capital, Intellectual Capital and the Organizational Advantage," The Academy of Management Review, Vol.23, No.2, pp.242-266, 1998. https://doi.org/10.2307/259373
  34. J. Pennings, K. Lee, and A. Witteloostuijn, "Human Dapital, Social Capital, and Firm Dissolution," Academy of Management Journal, Vol.41, No.4, pp.425-440, 1998.
  35. 최영출, 이상엽, "사회적기업의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요인: QCA 방법의 적용," 한국비교정부학보, 제19권, 제1호, pp.157-178, 2015. https://doi.org/10.18397/KCGR.2015.19.1.157
  36. 라영수, 이은영, "사회적기업의 성과가 지속가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경영컨설팅연구, 제21권, 제4호, pp.1-13, 2021.
  37. 김숙연, 김선구, "사회적기업 특성이 경제적 성과와 사회적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상업교육연구, 제30권, 제4호, pp.55-73, 2016 https://doi.org/10.34274/KRABE.2016.30.4.003
  38. D. Krause, B. Tyler, and R. Handfield, "The Relationship between Supplier Development," Journal of Operations Management, Vol.25, pp.528-545, 2006.
  39. S. Khoshafian and B. A. Baker, Introduction to IT Convergence, San Francisco : Addison-Wesley, 1995.
  40. M. Walzer, Spheres of Justice: A Defence of Pluralism and Equality, Oxford: Blackwell, 1983.
  41. W. Kimlicka, Contemporary Political Philosophy: An Introduction, Oxford University Press, 2002.
  42. K. Polanyi, The Great Transformation, Beacon Press. Boston, 1944.
  43. R. D. Putnam, "Turning in, Turning out: The Strange Disappearance of Social capital in America," Political Science and Politics, Vol.28, No.4, pp.664-683, 1995. https://doi.org/10.2307/420517
  44. J. S. Coleman, "Social capital in the Creation of Human Capital," The American Journal of Sociology, No.94, pp.95-120,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