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ish Community Structure Analysis and Ecological Health Assessments in the Headwater Watershed of Nakdong River

낙동강 상류 수계의 어류 군집 구조 분석 및 생태건강도 평가

  • Lee, Jae-Hoon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Hong, Young-Pyo (Department of Natural History, National Science Museum) ;
  • An, Kwang-Guk (School of Bio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이재훈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 홍영표 (국립중앙과학관 자연사연구팀) ;
  • 안광국 (충남대학교 생명과학과)
  • Published : 2007.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valuate fish community, based on conventional at Shannon-Weaver diversity index (H'), and ecological health, based on the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using fish assemblage in the eight sites of Nakdong River during June${\sim}$August 1999. Total number of species sampled was 19 species, and two sensitive species of Zacco temminckii (51%) and Rhynchocypris oxycephalus (28%) dominated the fish community. Also, trophic guild analyses showed that insectivore was 87% of the total and omnivore was rare, indicating that the ecological health is well maintained in the system. The pattern of spatial variation in the diversity index(H') was very similar to patterns of the species number and individual number, whereas the pattern of H' was not matched with the tolerance and trophic guild data. The diversity index (H') showed highest (1.56) in Site 6 where the proportion of sensitive species and tolerant species was minimum and maximum, respectively, and where the insectivore and omnivore were minimum and maximum. In other words, the diversity index was not matched at all with the trophic and tolerant guilds, indicating that the conventional index did not reflect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fish community in the system. In the mean time, the ecological health (IBI) averaged 33.5 (n=8), indicating "good${\sim}$fair condition" and the IBI values matched with trophic and tolerance guilds. Maximum IBI occurred in Site 2 where the sensitive and msectivore species were nearly maximum, and the tolerant and omnivore species were almost minima, indicating that IBI values were closely associated with the ecological functions and health conditions. Overall data suggest that the conventional diversity index may not effective for a evaluation of fish community, and that in contrast the IBI approach may be a useful tool for diagnosis of stream community.

본 연구는 낙동강의 최상류 8개 지점을 대상으로 1999년 $6{\sim}8$월까지 어류군집을 이용한 전통적인 종다양도 지수(H')와 IBI 지수를 통한 생태 건강도 평가를 비교하였다. 채집된 총 종수는 19종이었고, 우점종은 갈겨니와 버들치로써 각각 51%, 28%를 차지하였다. 트로픽 길드 분석에 따르면, 전체 채집된 종에서 충식종이 87%였고, 잡식종의 빈도는 극히 낮게 나타났다. 종다양도 지수에 의한 공간적인 변이의 패턴은 종수와 개체수의 패턴과 유사했지만, 내성도 및 트로픽길드 자료에 의한 패턴과는 상당한 차이를 보였다. 종다양도 지수는 지점 6에서 1.56으로 최대치를 보였으며, 민감종과 내성종은 각각 최소, 최대값을 보였다. 한편, 지점 6에서 충식종과 잡식종이 각각 최소, 최대치를 보였다. 즉 종다양도 지수는 내성도 길드 및 트로픽 길드의 패턴과 어떤 유사성도 없으며, 전통적인 지수는 수계내에서의 어류군집의 전반적인 생태학적 특성들을 잘 반영할 수 없었다. 한편, 생태건강도 (IBI)의 평균 모델값은 33.5(n=8)로써 보통${\sim}$양호상태로 나타났고, 트로픽 길드 및 내성도 길드의 패턴과 유사하게 나타났다. 민감종과 충식종이 거의 최대치를 보인 2지점에서 IBI간은 최대치를 보였으며, 동일지점에서 내성종과 잡식종의 빈도는 최저치를 보였다. 이런 결과는 IBI 값이 생태학적인 기능과 건강상태에 밀접히 연관되어 있다는 것을 제시하는 바이다. 본 연구에서 전통적인 종 다양도 지수는 어류를 이용한 생태건강도 군집평가에 비효율적인 반면, IBI를 이용한 접근방식은 하천구조를 잘 진단할 수 있는 유용한 척도가 될 수 있음을 시사하는 바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영훈, 서준원, 금지돈, 양홍준. 2004. 낙동강 중류(구미지역)의 어류군집구조, 육수지 37(2): 227-235
  2. 권영수, 안광국. 2006. 금호강 수계에서 생물학적 하천 건강도 및 이화학적 특성, 육수지 39(2): 145-156
  3. 김미숙, 정영륜, 서의훈, 송원섭. 2002. 낙동강 부영양화와 수질 환경요인의 통계적 분석, 한국조류학회지 17(2): 105-115
  4. 김익수, 강언종. 1993. 원색 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5. 김익수, 이은희. 1995. 수수미꾸리의 초기 발생에 관한 연구, 육수지 28(4): 455-462
  6. 남명모. 1996. 한국산 담수어류의 현황, 한국육수학회심포지움. p.31-45
  7. 박성배, 이상균, 장광현, 정광석, 주기재. 2002. 장마기의 강우가 낙동강 하류(물금) 수질에 미치는 영향, 육수지 35(3): 160-171
  8. 배대열, 안광국. 2006. 생물학적 다변수 모델 적용 및 수화학분석에 의거한 갑천생태계 평가, 육수지 39(2): 198-208
  9. 안광국, 김자현. 2005. 물리적 서식지평가기법 및 어류 다변수 평가모델에 의거한 대전천의 생태학적 건강도 진단, 육수지 38(3): 361-371
  10. 안광국, 염동혁, 이성규. 2001a.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의 신속한 생물평가 기법을 이용한 갑천수계의 평가, 환경생물 19(4): 261-269
  11. 안광국, 이재연, 배대열, 김자현, 황순진, 원두희, 이재관, 김창수. 2006. 우리나라 주요하천 수계에서 다변수모델을 이용한 생태학적 수환경 평가, 한국물환경학회지 22(5): 796-804
  12. 안광국, 이재연, 장하나. 2005. 유등천에서의 생태학적 건강성 평가 및 수질양상. 육수지 38(3): 341-351
  13.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b. 생물보전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및 서식지 평가지수(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 평가, 육수지 34(3): 153-165
  14. 양홍준. 1973. 낙동강산 어류의 조사 목록과 분포에 관하여, 육수지 6: 19-36
  15.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중앙대박사학위논문, 서울
  16. 전상린. 1999. 반변천에서 채집된 끄리(잉어과)에 관하여, 환경생물 17(4): 499-501
  17. 전상린, 손영목. 1983. 한국산 흰수마자, Gobibotia naktongensis Mori의 분포에 관하여, 육수지 16(1-2): 21-26
  18. 채병수, 강영훈, 양홍준. 1998. 낙동강수계 위천의 어류군집 구조, 한어지 10(1): 77-86
  19. 최채석, 변화근, 석형근. 2000. 원주천의 어류군집동태, 육수지 33(3): 274-281
  20. 환경부. 2004.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l). p. 321-344
  21. 환경부. 2005.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II). p. 350-390
  22.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 EPA 841-B-99-002.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23.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3: 36-71
  24. Pielou, E.C. 1975. Ecological diversity. Wiley. New York. 165p
  25. Shannon, C.E. and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26. Simpson, E.H. 1949. Measurement of diversity. Nature 163: 688 https://doi.org/10.1038/163688a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