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hole Crop Barley and Rye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의 혼파가 청보리와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 조익환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 황보순 (대구대학교 동물자원학과) ;
  • 이성훈 (경상남도 축산진흥연구소)
  • Received : 2010.06.30
  • Accepted : 2010.08.30
  • Published : 2010.09.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determine effects of applying cattle slurry and mixed sowing with legumes such as hairy vetch or forage pea on productivity, feed value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of whole crop barley and rye as winter forage crops, and to obtain organic forages together with higher soil fertility. Experimental plots consisted of 7 treatments, which were non-fertilizer, chemical fertilizer (containing phosphate and potassium: P+K), chemical fertilizer (containing nitrogen, phosphate and potassium: N+P+K), organic fertilizer, cattle slurry, cattle slurry application (mixture with hairy vetch), and cattle slurry application (mixture with forage pea) plots. Each treatment was triplicates, and seven treatments were allocated in a completely randomized block design. For whole crop barley or its mixture crops, annual dry matter (DM), crude protein (CP), and total digestible nutrients (TDN) yields of N+P+K plots were significantly (P<0.05) higher than other plots except for cattle slurry plots. The CP content of barley or its mixture crops was significantly higher tor N+P+K plot (9.8%) and mixture plots with legumes (8.6~9.7%) than those of other treatments. As 450 kg Hanwoo heifers were fed diets included 70% whole crop barley or 70% mixture crops with legumes, mixture plots are capable of raising average 1.7 to 1.8 heads/ha a year. For rye or its mixture crops, annual DM, CP, and TDN yields represented 6.9~7.1, 0.5~0.6 and 4.3~4.4 ton/ha, respectively. The N+P+K plot contained 10.8% CP, which was higher (P<0.05) than all other treatments. In case of 450 kg Hanwoo heifers fed diets included 70% rye or 70% mixture crops with legumes, mixture plots can rear average 1.9 heads/ha a year. When it was considered based on crop yields and organic stock carrying capacity, applying cattle slurry to whole crop barley or rye had the comparable yields and feed values to chemical fertilizer application. Moreover, whole crop barley and rye within cattle slurry plots had a greater combination with hairy vetch and forage pea, respectively, and their mixture crops with legumes had higher crude protein and TDN yields within cattle slurry plots. In conclusion, it would be expected that mixed sowing with legumes in the application of cattle slurry to grass crops could be substituted for imported organic grains as dietary protein sources in feeding organic livestock.

본 실험에서는 월동작물로 재배되는 청보리와 호밀에 화학비료, 유기질비료 및 가축분뇨의 시용 그리고 콩과작물의 혼파재배가 작물의 생산성과 사료가치를 평가함으로써 토양의 지력향상과 함께 양질의 유기조사료를 확보하여 단위면적당 유기가축 사육능력을 추정하고자 무비구, 화학비료 인산칼리 시비구, 화학비료 질소인산칼리 시비구, 유기질비료 시용 액상우분뇨 시용구, 액상우분뇨 시용에 헤어리베치 혼파구 및 액상우분뇨 시용에 사료용완두 혼파구 등 7처리 3반복 난괴법으로 배치하여 실험이 실시되었다. 청보리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가소화양분총량 수량은 화학비료 질소인산칼리 시비구가 액상우분뇨를 시용한 구를 제외하고 다른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청보리의 조단백질함량은 화학비료 질소인산칼리 시비구(9.8%)와 액상우분뇨 시용과 콩과작물 혼파구(8.6~9.7%)가 처리구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보리를 급여시 유기 한우 암소는 액상우분뇨 시용에 콩과작물 혼파구가 연간 ha당 평균 l.7~1.8두를 사육할 수 있다 호밀의 연간 건물, 조단백질 및 가소화양분총량 수량은 액상우분뇨에 콩과작물을 혼파한 구가 ha당 각각 6.9~7.1, 0.5~0.6 및 4.3~4.4톤으로 나타났다. 호밀의 조단백질함량은 화학비료 시비구가 10.8%로 모든 처리구보다 높았다(p<0.05). 호밀을 급여한 유기한우 암소의 연간 ha당 사육두수는 액상우분뇨 시용에 콩과작물 혼파구가 평균 1.9두를 사육할 수 있다. 단위당 생산수량 및 유기가축 사육능력측면에서 청보리 및 호밀에 대한 가축분뇨의 시용은 화학비료에 준하는 생산성적을 나타내었다. 가축분뇨 시용구내에서 청보리는 헤어리베치와 혼파 시에, 호밀은 사료용완두와 혼파 시에 더 많은 생산수량을 나타내었다. 또한, 가축분뇨 시용구내 콩과작물과의 혼파는 조단백질수량과 가소화양분총량을 증가시켰다. 결론적으로 가축분뇨 시용과 콩과작물과의 혼파는 유기가축사양 시 단백질공급원으로 이용 되는 수입유기곡류를 대체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Keywords

References

  1. 농촌진흥청 국립축산과학원. 2007. 한국가축사양표준(한우).
  2. 김대호.강달순.문진영.신현열.손길만.노치웅.김정곤. 2009. 양질조사료 생산을 위한 청보리와 콩과작물의 작부체계 및 질소시비량에 관한 연구. 초지조사료지 29(3): 197-210.
  3. 김종근.윤세형.정의수.임영철.서성.서종호.김시주. 2002. 파종방법 및 혼파비율이 호밀-헤어리베치 혼파시 사료가치 및 생산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2(4): 233-240.
  4. 김종덕.김수곤.권찬호. 2004. 콩과목초의 사초수량 및 품질비교. 동물자원지 46(3): 437-442.
  5. 서종호.이호진.허일봉.김시주.김충국.조현숙. 2000. 동계녹비작물 초종별 화학성분 및 생산성비교. 한초지 20(3): 193-198.
  6. 유덕기.윤성이.이주삼.조익환.안종호. 2006. 자연순환형 유기농업 표준모델개발. 농림부.
  7. 육완방.최기춘.윤창. 2005. 담작지대에서 돈분액비가 호밀의 생산성. 사료가치 및 지력 증진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5(2): 105-112.
  8. 이인덕.이형석. 2006a. 대전지역에서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파종유형별 사초의 건물수량 및 가료가치 비교연구. 한초지 26(4): 207-214.
  9. 이인덕.이형석. 2006b. 대전지역 추파사료작물의 건물수량 및 사료가치 비교연구. 한초지 26(4): 249-256.
  10. 이효원, 2007. 춘계답리작 토양에서 두과의 질소고정과 이의 화본과로의 이동. 한초지 27(3): 167-172.
  11. 이효원.김원호.박형수.고한종.김수곤. 2005. 질소시용수준이 배치-보리 혼파 사초의 질소고정 및 배치에서 보리로 질소이동에 미치는 영향. 한초지 25(1): 1-6.
  12. 이효원.박형수. 2002. 두과작물의 질소고정과 유기조사료 생산을 위한 작부체계. 한국유기농업학회 10: 51-63.
  13. 정민웅.조남철.김종근.임영철.최기춘.윤세형.이기원.육완방. 2009. 경운방법과 가축분뇨 사용이 옥수수의 생산성 및 질소의 용탈에 미치는 영향.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29(3): 211-216.
  14. 조익환. 2003. 지역별 순환농업의 유형에 관한 연구.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1(3): 91-108.
  15. 조익환. 2008. 보리와 헤어리 베치의 단, 혼파재배 시 우분뇨의 사용에 따른 생산성과 사료가치의 평가.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6(2): 219-230.
  16. 조익환. 2009. 액상우분뇨와 콩과식물 혼파재배가 보리, 호밀의 생산성과 사료가치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7(3): 371-380.
  17. 조익환.윤용범.박웅렬.황보순.이성훈.이주삼. 2008a. 답리작으로 호밀과 헤어리베치의 단, 혼파 재배시 우분뇨 및 화학비료의 시용에 따른 생산성 평가. 한국초지조사료학회지 28(4): 323-330.
  18. 조익환,황보순.이주삼. 2008b. 가축분뇨사용이 하계사료작물의 생산성 및 유기가축 사육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6(4): 421-434.
  19. AOAC. 1990. Official methods of analysis (15th Ed.). Association of Official Analytical Chemists. Washington D. C.
  20. Chapman, S. R. and L. P. Carter. 1976. Crop production principles and practice. W. H. Ferzman and Co. Francisco. pp. 80-90.
  21. Drew, Elizabeth A., Vadakattu VSR. Gupta and David K. Roget. 2005. Are legumes doing their job? The effect of herbicides on N2 fixation in Southern Australian agricultural system. Biological nitrogen fixation, sustainable agriculture and Environment. Proceedings of the 14th international nitrogen fixation congress. pp. 162-164.
  22. Goering, H. K. and P. J. Van Soest. 1970. Forage fiber analysis. USDA Agric. Handbook No. 379, Washington, D. C.
  23. Linn, J. and N. Martin. 1989. Forage quality tests and interpretation. Univ. of Minnesota Ext. Serv. AG-FO-2637.
  24. Nahm, K. H. 1992. Practical guide to feed, forage and water analysis. Yoohan Pub. 1-70.
  25. Osman, A. E. and A. M. Osman. 1982. Performance of mixture of cereal and legume forage under irrigation in the Sudan. J. Agric. Sci. Camb. 98: 71-72. https://doi.org/10.1017/S0021859600041113
  26. Reid, J. T. and G. A. Jung. 1965. Factors affecting intake and palatability of forages for sheep. Proc. 9th. Int. Grassl. Cong. 36: 487-496.
  27. SAS. 2005. Statistical Analysis System ver., 8. 01. SAS Institute Inc., Cary, NC.
  28. Seo, J. H., H. J. Lee, L. B. Hub, and S. J. Kim. 2000. Use of hairy vetch green manure as nitrogen fertilizer for corn production. Korean J. Crop Sci. 45(5): 294-299.
  29. Ta, T. C. and M. A. Faris. 1987. Species variation in the fixation and transfer of N from legumes to associated grasses. Plant soil. 98: 265-274. https://doi.org/10.1007/BF0237483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