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istributional Characteristics and Management Device of Naturalized Plants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창원시 내동천의 귀화식물 분포특성과 관리방안

  • You, Ju-Han (Dept. of Landscape Architecture, Dongguk University) ;
  • Park, Kyung-Hun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 Yoon, Young-Chul (Dept. of Environmental Engineering, Graduate School, Changwon National University)
  • 유주한 (동국대학교 조경학과) ;
  • 박경훈 (창원대학교 환경공학과) ;
  • 윤영철 (창원대학교 대학원 환경공학과)
  • Received : 2010.08.03
  • Accepted : 2010.10.06
  • Published : 2010.10.31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ffer raw data on managing naturalized plants and the ecological characteristics of urban streams by researching the naturalized plants distributed in Naedong Stream, Changwon-si.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numbers of naturalized plants were summarized as 45 taxa: 18 families, 38 genera, 43 species and 2 varieties. There were 3 taxa of invasive alien plants: Ru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d Sicyos angulaus. In an analysis of life forms, there were 2 taxa of megaphanerophytes, 1 taxa of nanophanerophytes, 3 taxa of chamaiphytes, 7 taxa of hemicryptophytes, 1 taxa of geophytes and 31 taxa of therophytes. The urbanized and naturalized indices were 16.6% and 25.1%, respectively. The results of an analysis by vertical structures showed that naturalized plants included 30 taxa upstream, 42 taxa midstream and 32 taxa downstream. For the urbanized index, upstream was 11.1%, 15.5% in midstream and 11.8% in downstream. For the naturalized index, upstream was 21.7%, 33.3% in midstream and 37.2% in downstream. An analysis of crossing structures showed at taxa of 39 naturalized plants on bank. 30 taxa along the riverside and 7 in the water. For the urbanized index, banks were 14.4%, riverside 11.1% and waterside 2.6% while the naturalized index included 30.5% on the banks, 30.6% along the riverside and 20.0% in the water. As regards the management of naturalized plants, because Remex acetocella, Ambrosia artemisiifolia var. elatior and Sicyos angulaus have a negative impact on the ecosystem, they need to be efficiently controlled.

본 연구는 창원시 내동천에 분포하는 귀화식물에 대한 연구를 통해 도시하천의 생태적 특성과 귀화식물의 관리방안에 대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귀화식물의 수는 18과 38속 43종 2변종 등 45분류군으로 요약되었다. 생태계교란야생식물은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박 등 3분류군이었다. 귀화식물의 생활형 분석 결과, 교목 2분류군, 관목 1분류군, 지표식물 3분류군, 반지중식물 7분류군, 지중식물 1분류군, 일년생식물 31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내동천의 도시화지수와 귀화율은 16.6%, 25.1%였다. 종단구조별 분석 결과, 귀화식물은 상류 30분류군, 중류 42분류군, 하류 32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도시화지수의 경우 상류 11.1%, 중류 15.5%, 하류 11.8%, 귀화율의 경우 상류 21.7%, 중류 33.3%, 하류 37.2%로 분석되었다. 횡단구조별 분석 결과, 귀화식물은 제방 39분류군, 둔치 30분류군, 수변 7분류군으로 나타났다. 도시화지수의 경우 제방 14.4%, 둔치 11.1%, 수변 2.6%였고, 귀화율의 경우 제방 30.5%, 둔치 30.6%, 수변 20.0%로 분석되었다. 귀화식물 관리방안의 경우 애기수영, 돼지풀, 가시박은 생태계를 교란시키고, 자생식물 생육에 악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효율적인 방제가 필요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고재기(1998) 울산광역시 식물상의 특성 분석. 기초과학 2(2): 35-89.
  2. 고재기, 조영호(2003) 낙동강 본류 하변의 식물상에 관한 연구. 기초과학 7(2):45-65.
  3. 농촌진흥청(2002) 목초지 외래잡초 애기수영 방제기술 개발.농촌진흥청 보고서.
  4. 명현(2009)하천의 생태적 복원을 위한 식생학적 연구: 남한강 육상식물, 토양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과학회지 18(1):113-127.
  5.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 임업연구원 보고서.
  6. 배정희, 이경재, 한봉호(2008) 도시하천의 횡단구조에 따른 식생분포특성 연구:서울시 도림천, 방학천, 성내천, 양재천을 사례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3): 268-279.
  7. 변무섭, 오현경, 김영하(2005a) 금강 상류유역의 우점 식물상 조성과 분포.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8(4): 52-67.
  8. 변무섭, 오현경, 김영하, 김연(2005b) 전주천 일대의 관속식물상과 도시화지수.한국환경생태학회지 19(3): 231-245.
  9. 신현석, 신동수, 손태석, 강두기(2009) 다변하천평가기법의 적용을 통한 부산시 도시하천 평가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25(2): 235-244.
  10. 안영희, 송종석(2003) 안성천 하천변 식물상 구성과 환경조건과의 관계. 한국환경과학회지 12(6): 573-582.
  11. 오현경, 변무섭(2006) 전주도심하천의 귀화식물 현황과 환경지수 분석. 환경생물 24(3): 248-257.
  12. 이경보, 김창환, 이덕배, 김종구, 박창원(2004) 동진강의 식물상과 식생. 한국환경농학회지 23(1): 34-40.
  13. 이유미, 박수현, 정승선(2002) 서울 중랑천의 식생구성과 식물상.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6(3): 271-286.
  14. 이율경, 김종원(2006) 한국의 하천식생. 대구: 계명대학교 출판부.
  15. 이창복(2003) 원색대한식물도감(상,하). 서울: 향문사.
  16. 임동옥, 유윤미, 황인천(2004) 광주광역시 도심 대규모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및 환경지수.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3):288-296.
  17. 임양재, 전의식(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분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22: 69-83.
  18. 임양재, 박기현, 심재국(1982) 한국에서의 Raunkiaer생활형의 지리적 분포. 기술과학연구소 논문집 9:5-20.
  19. 임업연구원(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의 분포.임업연구원 보고서.
  20. 정경진, 김동엽(1999) 하천통로에서 미세 지형 발달이 하천 식생에 미치는 영향.한국조경학회지 27(4): 39-49.
  21. 정용현, 성기준, 대석, 이석모, 박소영(2008) 을숙도 생태공원내 서식지별 환경요인과 갈대분포 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1(3):50-61.
  22. 조강현, 김자애, 이효혜미, 권오병(2001) 인천 승기천에서 하안식생의 현황과 복원방안.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4(2): 62-73.
  23. 조현길, 한갑수(2005) 도시하천 하도구조와 경관의 계절 변화: 춘천시 공지천을 중심으로. 한국환경과학회지 14(8): 739-748.
  24. 창원시(2003) 창원시 자연생태계 모니터링 타당성조사 및 기본계획. 창원시 보고서.
  25. 창원시(2007) 창원시 환경보전 계획. 창원시 보고서.
  26. 최기룡, 박범진, 박용목(2009) 광조건이 미국자리공(PhytolaccaamericanaL.) 의 생장에 미치는 영향. 한국잡초학회지 29(1): 83-88.
  27. 한정은, 김소영, 김원희, 이지연, 김주환, 노태호, 최병희(2007) 중부지방 하천의 귀화식물 분포. 환경생물 25(2): 115-123.
  28. 환경부(2007) 하천변 침입성 덩굴식물이 생물다양성 및 생태적 기능에 미치는 생태적 위해성 평가 및 관리방안. 환경부 보고서.
  29. 환경부(2009) 생태계교란야생동․ 식물자료집. 환경부 보고서.
  30. Foxcroft, L. C., M. Parsons, C. A. McLoughlin, and D. M. Richardson( 2008) Patterns of alien plant disturbance in a riverl and scape following an extrem flood. South African Journal of Botany 74: 463-475. https://doi.org/10.1016/j.sajb.2008.01.181
  31. Holmes, D. M., K. J. Esler, D. M. Richardson, and E. T. F. Witkowski (2008) Guidelines for improve dmanagement of riparian zones invaded by alien plants in South Africa. South African Journal of Botany 74: 538-552. https://doi.org/10.1016/j.sajb.2008.01.182
  32. Melchior, H(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raeger: Berlin.
  33. Pauchard, A. and K. Shea(2006) Integrating the study of non-native plant invasions across spatial scales. Biological Invasions 8: 399-413. https://doi.org/10.1007/s10530-005-6419-8
  34. Raunkiaer,C.(1934) Life Forms of Plants and Statistical Plant Geography. Oxford: Charendon Press. p.632
  35. Richardson, D. M., D. M. Holmes, K. J. Esler, S. M. Galatowitsch, J. C. Stromberg, S. P. Kirkman, P. Pysek, and R. J. Hobbs(2007) Riparian vegetation: Degradation, alien plant invasions and restoration prospects. Diversity and Distribution 13: 126-139. https://doi.org/10.1111/j.1366-9516.2006.00314.x
  36. Sax, D. F.(2002) Native and naturalized plant diversity are positively correlated in scrub communities of California and Chile. Diversity and Distributions 8: 193-210. https://doi.org/10.1046/j.1472-4642.2002.00147.x
  37. Schnitzler, A., B. W. Hale, and E. H. Alsum(2007) Examining native and exotic species divesity in European riparian forests. Biological Conservation 138: 146-156.
  38. Zerbe, S., I. K. Choi, andI. Kowarik(2004) Characteristics and habitats of non- native plant species in the city of Chonju, southern Korea. Ecological Research 19: 91-98. https://doi.org/10.1111/j.1440-1703.2003.00616.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