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ute Toxicity Study on Bangpungtongsung-san (Fangfengtongsheng-san) in Sprague-Dawley Rats

Spargue-Dawley 랫드를 이용한 방풍통성산의 급성독성 연구

  • 신인식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
  • 김정훈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
  • 하혜경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
  • 서창섭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
  • 이미영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
  • 허정임 (안전성평가연구소) ;
  • 신현규 (한국한의학연구원 한약EBM연구센터)
  • Received : 2010.02.18
  • Accepted : 2010.04.02
  • Published : 2010.04.25

Abstract

Objectives :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valuate the acute toxicity and safety of Bangpungtongsung-san (Fangfengtongsheng-san) in Sprague-Dawley rat though the current regulatory guideline. Methods : The preliminary study showed that the single oral administration of Bangpungtongsung-san (Fangfengtongsheng-san) did not induce any toxic effect at a dose level of 2000 mg/kg. Based on the results, 2000 mg/kg was selected as the limited dose. In this study, 10 rats of each sex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of 5 rats each and were administrated singly by gavage at dose levels of 0 and 2000 mg/kg. Mortalities, clinical signs, and body weight changes were monitored for the 15-day period following administration. At the end of observation period, all animals were sacrificed and complete gross postmortem examinations were performed. Results : Throughout the study period, no treatment-related deaths were observed. There were no adverse effects on clinical signs, body weight, and gross findings at all treatment groups. Conclusions : These results showed that the single oral adminstration of Bangpungtongsung-san (Fangfengtongsheng-san) did not cause any toxic effect at the dose levels of 2000 mg/kg in rats. In conclusion, the $LD_{50}$ of Bangpungtongsung-san (Fangfengtongsheng-san) was considered to be over 2000 mg/kg body for both sexes.

Keywords

References

  1. 劉完素. 宣明方論. 서울:여강출판사. 1998;卷十二:76.
  2. 성현제. 방풍통성산의 진통 소염 해열 및 항균작용에 대한 실험적 연구. 경희대학교대학원. 1984.
  3. 이동현. 방풍통성산 및 방풍통성산 가미방이 항알레르기와 면역반응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대학원. 1990.
  4. 이남훈. 防風通聖散이 고혈압 고지혈에 미치는 영향. 경희대학교 대학원. 1991.
  5. 손정민, 홍승욱. 防風通聖散이 아토피 피부염을 유발한 동물모델의 피부 손상에 미치는 영향. 한방안이비인후피부과학회지 2007;20(1):99-114.
  6. 윤준철, 김홍준, 김유경, 정상수, 백은기, 김진만, 원진희. 만성 두드러기 환자 치험 4례. 동의생리병리학회지. 2003;17(6):1564-7.
  7. 신정인, 김미랑, 서운교. 대상포진 환자 치험 1례. 대한한방내과학회. 2002;23(1):147-52.
  8.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신현규.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항의 농도변화 - 다빈도 한약 처방을 중심으로 -. 대한본초학회지. 2009;24(2):13-20.
  9.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5-60호(2005년 10월 21일) '의약품등의독성시험기준'. 2005.
  10. 식품의약품안전청. 식품의약품안전청고시 제2009-19호(2009년 5월 10일) '비임상시험관리기준'. 2009.
  11. OECD. OECD Principles of Good Laboratory Practice. 1997. Available from: URL:http://www.olis.oecd.org/olis/1998doc.nsf/LinkTo/NT00000C5A/$FILE/01E88455.PDF.
  12. OECD. OECD Guidelines for Testing of Chemical No. 423. Acute Oral Toxicity-Acute Class Method, Line 23 (Limit test). 2001. Available from: URL:http://www.oecd. org/dataoecd/17/50/1948370.pdf.
  13.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신현규.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항의 농도변화 - 감기약을 중심으로 -. 대한본초학회지. 2008;23(4):51-8.
  14.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신현규.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항의 농도변화 - 십전대보탕 구성처방을 중심으로 -. 대한한의학회지. 2009;30(4):108-17.
  15.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김종열, 이시우, 신현규.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이산화황의 전탕 전, 후의 농도변화 - 다빈도 태음인 사상처방을 중심으로 -. 사상체질의학회지. 2009;21(1):237-46.
  16. 서창섭, 황대선, 이준경, 하혜경, 천진미, 엄영란, 장설, 신현규. 전탕 전과 후의 중금속, 잔류농약 및 잔류 이산화황의 농도 변화 - 소화기계 약을 중심으로 -. 대한본초학회지. 2009;24(1):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