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An Analysis of Earth System Understandings (ESU) of 8th-grade Students' Imagery about 'the Earth' Represented by Words and Drawings

단어와 그림으로 표현된 8학년 학생들의 '지구'에 대한 심상에서 나타난 지구계 이해 분석

  • Received : 2010.01.19
  • Accepted : 2010.02.16
  • Published : 2010.02.26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8th-grade students' imageries of the Earth. We analyzed the middle school students' imageries about the Earth represented with words and drawings in Earth Systems Understanding (ESU, hereafter) framework. The students' imageries about 'the Earth' are vary by their experiences and prior-knowledge, which significantly impacts their imagery construction. Especially, the students' ESU were characterized into two aspects: One is a macroscopic view point based on full-objects of the Earth by indirect experiences and the other is everyday view point based on scene of the Earth surface and environment by direct experiences. Results revealed students' imageries about the Earth were impacted by visual experiences and those students' ESU were more represented by drawing as visual imagery than by words, formal language. The negative imageries were mainly represented through interactions of the Earth subsystems.

이 연구의 목적은 '지구'에 대한 8학년 학생들의 심상을 탐색하는 것이다. '지구'에 관해 단어와 그리기로 표현된 중학생들의 심상을 지구계 이해 분석틀로 분석하였다. 학생들의 '지구'에 관한 심상은 시각적 이미지를 형성하게 된주된 영향을 미친 경험과 선행 지식에 따라 달라졌다. 특히 간접적 시각 경험에 의한 지구의 전체 모습에 기반을 둔 천문학적 관점과 직접적 시각 경험에 의한 지표의 풍경과 환경에 기반을 둔 일상적 관점에 따라 지구계 이해가 다르게 나타났다. 대체적으로 학생들의 '지구'에 관한 심상은 시각적 경험에 의해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이며 이러한 학생들의 지구계 이해는 단어라는 형식적 언어의 형태보다는 시각적 심상인 그리기로 더 잘 표상되었다. 지구계 하위계 간의 상호작용에서 학생들의 부정적 이미지가 표상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원, 2000, 아동의 그림을 통해 본 공간인지와 조작능력. 한국지역지리학회지, 6, 83-99.
  2. 김명균, 정철, 2007, 환경그리기를 통한 중학생의 환경인식조사. 한국환경과학회지, 16, 479-485.
  3. 김종희, 2006, 달의 위상 작도 모듈 활용 수업에 의한 고등학생들의 달의 위상 개념 변화. 한국지구과학회지, 27, 353-363.
  4. 김제흥, 2009, 중학교 학생의 그리기 활동에 나타난 지구계 이해의 특성 분석.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80 p.
  5. 송지영, 2006, Earth comm을 활용한 지구계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시스템 사고에 미치는 영향.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76 p.
  6. 신지영, 정복문, 김영식, 2008, 인지구조를 고려한 중학교 정보 교과서 내용 구성 방안에 관한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논문지, 11, 13-22.
  7. 신동희, 이양락, 이기영, 이은아, 이규석, 2005, 지구 환경을 고려한 미래 지향적 지구 과학 교육 과정 제안.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 239-259.
  8. 오대섭, 이선행, 이임숙, 김애란, 1990, 연상을 통한 과학용어의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0, 67-72.
  9. 오정현, 이재식, 2007, 초등학생의 언어/공간 지능에 따른 멀티미디어 활용 학습방법의 차별적 효과. 교육정보미디어연구, 13, 103-125.
  10. 오현석, 김제흥, 유은정, 김찬종, 2009, 지구계 수업 모듈중 그리기 활동을 통한 학생들의 인지 특성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30, 96-110.
  11. 유은정, 오현석, 김찬종, 2008, 글로벌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회지, 29, 602-616. https://doi.org/10.5467/JKESS.2008.29.7.602
  12. 이광만, 허동, 이경운, 정문호, 방태철, 이기성, 안태근, 정상윤, 복완근, 정익현, 박정일, 박병훈, 이천기, 송양호, 박지극, 정수도, 김경수, 2001, 중학교 과학1. 지학사, 서울, 279 p.
  13. 이선화, 2007, 교수전략으로서 시각적 이미지 연상 유도를 활용한 수업에서의 학습자 반응 연구.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17 p.
  14. 이정아, 맹승호, 김찬종, 2007, 지구계 교육에 대한 과학교사의 인식과 지향: 사례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8, 705-717.
  15. 이호, 조현준, 이효녕, 2007, 달 크레이터 생성에 대한 대학생들의 정신모형 분석. 한국지구과학회지, 28, 653-670. https://doi.org/10.5467/JKESS.2007.28.6.655
  16. 임은경, 홍상옥, 정진우, 2000, 지구계 교육의 현장적용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21, 93-102.
  17. 정구송, 2007, 지구 내부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정신모형 탐색. 한국지구과학회지, 28, 643-652. https://doi.org/10.5467/JKESS.2007.28.6.645
  18. 정득실, 2007, 구성주의적 수업을 위한 워크숍에 참여한 과학 교사의 교수 지향과 수업 실행. 서울대학교 석사학위 논문, 134 p.
  19. 정진우, 조현준, 박숙희, 2007, 중학생들의 학습 양식과 과학에 대한 태도에 따른 한자기반 지구과학용어에 대한 이해. 한국지구과학회지, 28, 24-34. https://doi.org/10.5467/JKESS.2007.28.1.024
  20. 조경자, 한광희, 2002, 멀티미디어 환경에서 인지양식이 학습수행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14, 165-185.
  21. 조영남, 1991, 인지양식과 수업 전.후 방략으로서의 목표에 따른 학습성과 분석. 교육학 연구, 29, 142-156.
  22. 최종림, 이선경, 김찬종, 유은정, 김제흥, 오현석, 2009, 반성적 실천을 통한 과학교사의 교수실행변화에 관한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 793-811.
  23. Anning, A. and Ring, K., 2004, Making sense of children’s drawings. Open University Press, Maidenhead, UK, 152 p.
  24. Alerby, E., 2000, A way of visualising children’s and young people’s thoughts about environment: A study of drawings. Environmental Education Research, 6, 205-222. https://doi.org/10.1080/13504620050076713
  25. Bower, G.H., 1975, Cognitive psychology: An introduction. In Estes, W.K. (ed.), Handbook of learning and cognitive process(Vol. 1) Introduction to concepts and issues. Erlbaum, NJ, USA, 25-80.
  26. Cho, H., Kable, J.B., and Nordlnd, F.H., 1985, An investigation of high school biology textbooks as sources of misconceptions and difficulties and some suggestions for teaching genetics. Science Education, 69, 707-719. https://doi.org/10.1002/sce.3730690512
  27. Edens, K.M. and Ellen, P., 2003, Using Descriptive Drawings. School Science and Mathematics, 103, 135-144. https://doi.org/10.1111/j.1949-8594.2003.tb18230.x
  28. Johnson, D.R., 2006, Earth system science: A model for teaching science as state, process and understanding?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54, 202-207. https://doi.org/10.5408/1089-9995-54.3.202
  29. Kosslyn, S.M., 1994, Image and brain: The resolution of the imagery debate. MIT Press, Cambrideg, USA, 516 p.
  30. Kosslyn, S.M. and Thompson, W.L., 2003, When is early visual cortex activated during visual mental imagery? Psychological Bulletin, 129, 723-746. https://doi.org/10.1037/0033-2909.129.5.723
  31. Mayer, R.E., 2001, Cognitive constrains in multimedia learning: When presenting more material results in less learning.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93, 187-198. https://doi.org/10.1037/0022-0663.93.1.187
  32. Mayer, R.E. and Moreno, R., 2003, Nine ways to reduce cognitive load in multimedia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ist, 38, 43-52. https://doi.org/10.1207/S15326985EP3801_6
  33. Mayer, V.J., 1991, A framework for Earth Systems Education. Science Activities, 28, 8-9.
  34. Mayer, V.J., Brown, S.M., Graham, M., and Jax, D.W., 1992, The role of planet earth in the new science curriculum. Journal of Geoscience Education, 40, 66-73.
  35. Mayer, V.J., 1993, Earth systems Science. The Science Teacher, 58, 34-39.
  36. Mayer, V.J., 1995, Using the earth system for integrating the science curriculum. Science Education, 79, 375-391. https://doi.org/10.1002/sce.3730790403
  37. Mayer, V.J., 1997, Global science literacy: An Earth System view.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34, 101-105. https://doi.org/10.1002/(SICI)1098-2736(199702)34:2<101::AID-TEA1>3.0.CO;2-X
  38. Merzyn, G., 1987, The language of school science. International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9, 483-489. https://doi.org/10.1080/0950069870090406
  39. Riding, R.J. and Watts, M., 1997, The effect of cognitive style on the preferred formar of instructional material. Educational Psychology, 17, 179-183. https://doi.org/10.1080/0144341970170113
  40. Shepardson, D.P., 2005, Students Ideas: What is an Environment? The Journal of Environmental Education, 36, 49-58.
  41. Sweller, J., 1989, Cognitive technology: Some procedures for facilitating learning and problem-solving in maths and science. Journal of Educational Psychology, 81, 457-466. https://doi.org/10.1037/0022-0663.81.4.457

Cited by

  1. The Impact of Self-Reported Knowledge and Self-perceived Importance about Earth Systems on Science Gifted Students’ Science Motivation: An Exploratory Study vol.36, pp.6, 2015, https://doi.org/10.5467/JKESS.2015.36.6.580
  2. Effects of Systems Thinking on High School Students’ Science Self-Efficacy vol.37, pp.3, 2016, https://doi.org/10.5467/JKESS.2016.37.3.173
  3.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Learning on Geological Field Trip Utilizing on Social Construction of Scientific Model vol.39, pp.2, 2018, https://doi.org/10.5467/JKESS.2018.39.2.17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