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Skills between The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의 분류 능력 차이

  • Received : 2011.03.08
  • Accepted : 2011.08.12
  • Published : 2011.08.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dentify the differences in classification skills shown in classification activities between the gifted and regular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The subjects for the research consisted of six gifted students in an institute for the gifted for science annexed to P school district in Gangwon-do and 6 students at B and M general elementary schools. Results were as follows: The time taken for classification activities of the gifted was shorter than regular regardless of subjects for classifying. The number of standards for classifying for the gifted was more than regular students. Coefficient for measuring classification skills of the gifted was higher than regulars regardless of age. Consequently, there was a difference in the time taken for classifying and generating the number of standards and in a numerical index of classification activities performed at science classes between the science gifted and the regular students.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아동사이의 분류 활동 능력의 차이를 확인하는데 있다.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 강원도 지역의 P교육청 부설 영재교육원의 초등과학영재 학생 6명과 B와 M초등학교의 일반아동 6명이 연구 대상으로 선정되었다. 학생들에게 부여되는 분류 활동 과제는 선행 연구를 바탕으로 실물자료 과제 3가지와 사진자료 과제 3가지로 총 6가지였으며, 초등과학영재 학생과 일반아동 사이의 분류 활동 능력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분류 활동 과제 수행에 걸리는 시간 측정, 분류 활동 결과 분석 및 분류 기준 수 비교, 분류 능력 지수 산출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분류 과제 종류에 관계없이 초등과학영재가 일반아동에 비해 분류 활동 과제 수행에 걸리는 시간이 더 짧게 걸렸다. 분류 활동 결과 분석에 있어서는 초등과학영재와 일반아동 모두 비교 관찰을 실시하였으나 생성된 분류 기준 수에 있어서는 초등과학영재가 더 많은 기준 수를 산출하였고, 분류 능력 지수 또한 초등과학영재의 경우가 더 높았으나 학년의 발달과 유의미한 관계는 없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강경희 (2010). 과학영재교육 관련 국내 연구 동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1), 54-67.
  2. 교육과학기술부 (2010). 초등학교 교사용 지도서 과학 4-1. 서울:금성출판사.
  3. 권용주, 이준기, 이일선 (2007). 꽃가루 분류에서 과학교사들이 생성한 분류지식의 분석을 통한 분류능력지수 산출식의 개발. 중등교육연구, 55(3), 21-43.
  4. 권치순 (2005). 초등과학영재교육의 방향과 과제. 초등과학교육, 24(2), 192-201.
  5. 김미숙, 조석희, 윤초희, 진석언 (2004). 중학생 영재의 지적.정의적 특성에 따른 효과적인 교수학습전략 탐색. 수탁연구 CR 2004-40, 한국교육개발원.
  6. 김상영, 송남희 (2007). 식물 이름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인지도와 그들이 사용하는 식물 분류 기준. 초등과학교육, 26(1), 41-48.
  7. 김영신 (2006). 초등학교 과학영재아와 일반 학생의 관찰방법과 행동 비교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4(4), 432-438.
  8. 김은진 (2006). 과학문제 풀이 과정에서 나타난 초등과학영재들의 사고특성 탐색. 초등과학교육, 25(2), 179-190.
  9. 김태서 (2007). 한국 영재교육의 발전과정 : 1970-2006. 단국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논문
  10. 나동진, 김진철 (2004). 삼원지능, 사고양식, 학업 성취의 관계에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구조적 차이. 교육심리연구, 18(1), 115-130.
  11. 노태희, 양찬호, 강훈식 (2010). 초등학교 5학년 과학영재와 일반학생들의 포화용액 개념에 대한 비유 만들기 과정의 유형과 비유 만들기에 대한 인식. 초등과학교육, 29(2), 219-232.
  12. 박경희, 서혜애 (2005). 과학영재학교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학생 및 교사의 인식 분석. 교육과정연구, 23(3), 159-185.
  13. 박수경 (2004). 과학영재학생과 일반학생의 사고 양식에 따른 지구과학 개념 비교. 한국지구과학회지, 25(8), 708-718.
  14. 소금현, 김정민, 심규철 (2009). 과학 영재와 일반학생의 학습 양식에 관한 비교 연구. 국제과학영재학회지, 3(2), 119-124.
  15. 신지은, 한기순, 정현철, 박병건, 최승언 (2002). 과학 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은 창의성에서 어떻게 다른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158-175.
  16. 안영균 (1997). 초등학생들의 분류 능력 평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7. 예성옥 (1999). 초등학생들의 분류 수행 능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논문.
  18. 이봉우, 손정우, 최원호, 이인호, 전영석, 최정훈 (2008). 과학영재교육에서 교사들이 겪는 어려움. 초등과학교육, 27(3), 252-260.
  19. 이소영, 강태완, 김남일 (2004). 초등학생의 학년별 생물분류 개념형성에 대한 연구. 한국생물교육학회지, 32(1), 16-26.
  20. 이수진, 배진호, 김은진 (2007). 초등 과학 영재와 일반 아동의 과학 창의적 문제 해결 과정에서 나타난 사고 유형 및 특성. 초등과학교육, 25(5), 567-581.
  21. 이정경, 하민수, 차희영 (2008). 분류 과제 제시 형태에 따른 초등학생들의 잎 분류 행동 차이. 초등과학교육, 27(3), 287-295.
  22. 정지숙, 신애경 (2007). 초등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탐구 수행 능력 비교. 국제과학영재학회지, 1(2), 157-162.
  23. 조선희, 이건호, 김희백 (2007). 과학영재교육원 사사교육 대상자들의 지능과 창의력 수준 분석. 영재교육연구, 17(1), 123-143.
  24. 조은부, 백성혜 (2006). 초등과학 영재학급 학생들과 일반 학생의 인지적 특성 비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3), 307-316.
  25. 조현준, 양일호, 이효녕, 송윤미 (2008). 초등과학 영재의 논증 활동에서 사용된 증거의 수준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5), 495-505.
  26. 주정은, 차희영 (2007). 관찰에 의한 분류하기 탐구능력 준거 개발. 초등과학교육, 26(4), 407-417.
  27. 진석언, 고혜진 (2004). Sternberg의 사고 유형에 따른 초등학교 과학영재 학생과 일반 학생의 비교. 특수교육연구, 11(2), 157-177.
  28. 최선영 (2008). 초등과학 영재 학생의 영재 학급에 대한 효과성 조사. 초등과학교육, 27(4), 437-445.
  29. 최현동 (2008). 초등학생과 대학생이 과학 관련 과제에서 사용한 분류 전략의 미시발생적 비교 분석. 한국교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30. 최현동, 양일호, 권치순 (2005). 초등학생 분류능력 발달의 경향성. 초등과학교육, 24(3), 281-291.
  31. 한기순, 배미란 (2004). 과학영재와 일반 학생들간의 사고 양식과 지능 및 창의성간의 관계 비교. 교육심리연구, 18(2), 49-68.
  32. 한기순, 배미란, 박인호 (2003). 과학영재들은 어떻게 사고하는가.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3(1), 21-34.
  33. 한기순, 양태연 (2009). C영재교육원을 통해 살펴본 대학부설 과학영재교육원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137-155.
  34. Borland, J. H. (1997). The Construct of Giftedness. Peabody Journal of Education, 72(3&4), 6-20.
  35. Inhelder, B., & Piaget, J. (1964). The early growth of logic in the child: Classification and Seriation. London: Routledge.
  36. Lowery, L. F., & Allen, L. R. (1969). Visual resemblance sorting abilities among first grade pupils.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6, 248-256. https://doi.org/10.1002/tea.3660060309

Cited by

  1. 과학고학생과 외국어고학생의 지능과제 수행 시 뇌활동성 분석 vol.22, pp.2, 2011, https://doi.org/10.9722/jgte.2012.22.2.317
  2. 야외지질학습에서 학습한 퇴적환경에 대한 과학영재와 일반학생의 언어네트워크 비교 vol.23, pp.6, 2011, https://doi.org/10.9722/jgte.2013.23.6.88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