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The Study on the Evaluation of Environment Function at Small Stream - In the Case of Hongdong Stream in Hongsung-gun -

농촌지역 소하천의 환경성 평가 연구 - 홍성군 홍동천을 사례로 -

  • Kang, Banghun (National Academy of Agricultural Science) ;
  • Son, Jin-Kwan (Relationship of Dankook University & Rural Development Administration)
  • 강방훈 (농촌진흥청 국립농업과학원) ;
  • 손진관 (단국대학교-농촌진흥청 학연협동과정)
  • Received : 2011.08.23
  • Accepted : 2011.10.12
  • Published : 2011.10.30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function of habitat through evaluation of water environment, soil environment, vegetation characteristics, macro-invertebrate characteristics, and visual habits environment evaluation (SVAP) in Hongdong stream located in Hongseong-Gun, Chungnam Province, and hereafter to utilize the results for the habits reconstruction and improvement project. As the results of water quality analysis, BOD, COD, T-P was almost below the standard quality from upper stream to down stream. The construction of small reservoir, wetland and water purification facility, and the management of non-point pollution are proposed to improve these problems. The soil texture was sandy soil, which is unfitted with vegetation development. The construction of shallows and bogs, and induction of soil sedimentation and biotope formation are proposed to improve these problems. In the plant flora, total 90 kinds were observed with 81 species and nine varieties in total 36 families and 85 genera, and the naturalization rate was higher at down area than upper area. As the results of macro-invertebrate fauna survey, total 26 species and 297 individuals in 20 families and 22 genera were collected. Peltodytes sinensis, Chironomidae sp., and Culicidae sp., which are observed at polluted environment, were collected as dominant species. An appropriate vegetation management party idea is necessary, and it is done an idea in consideration of the soil and a physical characteristic. Visual habits environment evaluation (SVAP) result was mostly determined with below normal (Fair) grade. Pollution source interception, purification pond establishment, and various bog establishment are proposed to improve these problems. With the above results, the ecological environment was determined with bad condition, and the improvement of biotope was urgently needed through sustainable monitoring and management of streams habitat in rural area.

Keywords

References

  1. 강방훈․손진관․이상화․김남춘. 2009. 농촌지역 소규모 소택형습지의 식생특성.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12(3):33-48.
  2. 강방훈․김남춘․손진관․김미희․조승진․이상영. 2011.농촌지역 소하천의 생태환경 평가 연구:한강유역 지류를 중심으로. 농촌계획 17(2):23-32.
  3. 김용범․임양재. 1990. 탄천의 대형수생식물 군락분포와 환경. 한국생태학회지 13:297-309.
  4. 권일순. 2007. 하천 생태복원을 위한 도시 중․소하천 조성에 관한 연구. 서울시립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5. 김성원․최이송․오종민. 2008. 비점오염저감을 위한 수변완충지대의 적정 설계. 한국환경영향평가학회지 17(1):1-9.
  6. 김원식․곽정인․이경재․한봉호. 2011. 한강 하천제방 호안공법에 따른 식생분포 특성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5(1):17-30.
  7. 김재우. 1998. 중․소하천의 자연형 복원에 관한 연구. 한양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학위논문.
  8. 김종원․이율경. 2006. 식물사회학적 식생조사와 평가방법. 월드사이언스.
  9. 김준민․임양재․전의식. 2000. 한국의 귀화식물. 사이언스북스.
  10. 김준호․김훈수․이인규․김종원․문형태․세계홍․김원․권도흔․유순애․서영배․김영상. 1982. 낙동강 하구 생태계의 구조와 기능에 관한 연구. 서울대 자연대 논문집 7:122-163.
  11. 김현규. 1999. 인공습지 조성을 위한 수생식물의 식재기반 조성기준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2. 노재현․허준. 2004. 버나큘러 경관상 개선을 위한 전주천변 귀화식물의 분포특성 연구. 한국전통조경학회지 22(3):26-32.
  13. 농업과학기술원. 2000. 토양 및 식물체 분석법.
  14. 농업과학기술원. 2006. 논 생태계 수서무척추 동물도감.
  15. 농업과학기술원․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4. 친환경농업의 환경부하오염원별 관리방안 연구.
  16. 박수현. 2002. 우리나라 귀화식물 분포. 임업연구원 국립수목원.
  17. 박정호․임환철․라혜강. 2007. 팔당호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 군집의 생태학적 연구. 환경연구논문집 4:52-72.
  18. 배정희․이경재․한봉호. 2008. 도시하천의 횡단구조에 따른 식생분포 특성 연구:서울시 도림천, 방학천, 성내천, 양재천을 사례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2(3):268-279.
  19. 손명덕․조욱상․강성욱․신대범․서하나․안영찬. 2007. 와류조, 유수분리구조로 구성된 비점오염저감장치 개발 및 평가. 대한환경공학회지 2007(2):1127-1133.
  20. 손진관․강방훈․김남춘. 2010. 농지연못습지의 수질 및 토양환경 분석.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지 3(3):46-62.
  21. 손현근․이은주․이소영․최지연․김미형. 2008. 비점원 오염물질관리:포장지역의 비점오염물질 저감기술 개발. 한국물환경학회지 2008:43-44.
  22. 신정이․김수복․김영규. 1998. 소하천정비이후 직강하 구간과 자연형구간의 수질과 식생 비교조사. 한국식물․인간․환경학회지 1 (2):92-103.
  23. 안태웅․최이송․오종민. 2009. 하도 생물서식처에 따른 양화천의 수질 및 퇴적물 특성 연구. 한국물환경학회지 2009:609-610.
  24. 오대석, 2008, 영담 소하천 개수 후 하천병화에 관한 연구. 경상대학교 산업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5. 오충현․김한수․김용훈. 2006. 우리나라 농촌마을 토지이용 특성에 따른 귀화식물 분포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대회지 2006(2):181-186.
  26. 오현경․변무섭. 2005. 전주 삼천천일대의 수생식물 분류와 식물상에 관한 연구. 한국산림휴양학회지 9(3):17-30.
  27. 오현경․임동욱․김용식. 2009. 변산반도국립공원의 귀화식물 분포특성 및 관리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105-115.
  28. 윤정환. 2007. 자연형 소하천정비에 따른 수질변화 특성과 오염부하량 산정. 공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9. 이경보․김창환․김종구․이덕배․이상복․나승용. 2003. 만경강 소하천의 토양환경과 식생분포. Env. Science 12:9-21.
  30. 이경보․이덕배․이상복․김재덕. 1999. 만경강 수계 농업용수의 시기별 수질변화. 한국환경노학회지 18(1):6-10.
  31. 이도형․이기환․이헌호․마호섭․배관호․김종현. 2009. 황폐계류의 사방공작물 시공에 따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상의 변화:시공직후의 변화를 중심으로.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4):353-364.
  32. 이승수․이동신․박성열․최상미․김현진․이하늘․김이슬. 2010. 청주시 유역 소하천 조사 분석. 건설기술연구소 논문집 29(2):81- 86.
  33. 이영노. 2006. 새로운 한국식물도감. 교학사.
  34. 이종욱․최진경․오승호․최강원. 2010. 운문산 자연휴식년제 지역 내 저서성 대형무척추동물상 및 생물학적 수질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4(1):1-13.
  35. 이창복. 2006. 원색 대한식물도감. 향문사.
  36. 이춘석․라순애. 1997. 농촌마을 소하천의 구간별 특성에 관한 연구:농촌 주거지역 소하천의 구조, 수질, 식생을 중심으로. 한국농촌계획학회 3(1):23-32.
  37. 임수연. 2006. 지리산 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수서무척추동물의 생물다양성 및 군집구조.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38. 임승빈․이춘석. 2000. 주변 토지이용과 주민 이용 선호도를 고려한 농촌마을 소하천 표준 횡단면 설계. 농촌계획 6(1):29-37.
  39. 임양재․전의식. 1980. 한반도의 귀화식물 분포 23:69-83.
  40. 조강현. 1992. 팔당호에서 대형수생식물에 의한 물질순환과 질소와 인의 순환.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41. 최지연․이소영․Maira C. Maniquiz․강창국․이정용․Joan B. Gorme․김이형. 2009. 자연적물순화시스템을 가진 침투여과 비점오염저감기술 개발. 대한상하수도학회․한국물환경학회지 2009:645-464.
  42.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한국동물명집.
  43. 행정안전부. 2011. 소하천정비법.
  44. 행정자치부와 국립방재연구소. 2002. 자연형 소하천 정비공법 개발 보고서.
  45. 허진. 2009. 택지개발사업지구 내 소하천 처리의 변천과정과 개선 방향. 영남대학교 환경보건대학원 석사학위논문.
  46. 환경부. 2000. 토양오염공정시험방법.
  47. 환경부. 2008. 수질오염공정시험방법.
  48. 환경부․UNDP․GEF․UNDP/GEF 국가습지보전사업관리단. 2006. 제2차 전국내륙습지 조사지침.
  49. 환경부. 2009. 야생동․식물보호법 시행규칙 별표1.
  50. 환경부. 2010a. 토양환경보전법.
  51. 환경부. 2010b. 환경정책기본법.
  52. 沼田 眞. 1996. 景相生態學, 朝倉書店, p.178.
  53. 櫻井喜雄(한승완 옮김). 2003. 하천조성과 서식처 보전. 백마출판사.
  54. Admiraal, A. N., Morris, M. J., Brooks, T. C., Olson, J. W., and Miller, M. V. 1997. Illinois Wetland Restoration & Creation Guide, Illinois Natural History Survey.
  55.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 Syst., 3:36-71.
  56. McNaughton, S. 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lassland. Nature. 216:168-144.
  57. Mitsch, W. J., and Gosselink, J. G. 1993. Wetland (Second Edition). John Wiley & Sons, Inc.
  58. Pielou. 1969. Shannon's formula as a measure of specific diversity:its use and misuse. Amer. Nat., 100:463-465.
  59. Pielou, E. C. 1975. Ecological diversity. New York, John Wiley.
  60. Tiner, R. W. 1999. Wetland Indicators:A Guide to Wetland Identification, Delineation, Classification and Mapping. Lewis Publishers.
  61. USDA. 1998. Stream Visual Assessment Protocol. NWCC Technical Note.
  62. Ward, J. V. 1992. Aquatic Insect Ecology:John Wiley & Sons.

Cited by

  1. 하천평가기준을 반영한 생태·자연도 작성지침 개선방안 연구 - 황강을 대상으로 - vol.15, pp.5, 2011, https://doi.org/10.13087/kosert.2012.15.5.019
  2. 농촌지역 소택형습지의 생육환경에 따른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 특성 vol.15, pp.5, 2011, https://doi.org/10.13087/kosert.2012.15.5.1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