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pirituality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mong Nursing Students

간호학생의 영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 홍성실 (고신대학교 간호학과) ;
  • 홍정아 (가톨릭대학교 간호대학) ;
  • 전원희 (호서대학교 간호학과 & 기초과학연구소)
  • Received : 2013.03.28
  • Accepted : 2013.05.03
  • Published : 2013.06.28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level of spirituality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nd to identify the relationship of variables among nursing students. Data were collected from 203 nursing students using self-report questionnaire composed of demographic characteristics and two scales including spirituality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Data were analyzed by frequencies, t-test, 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the SPSS program. The mean score for spirituality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were above medium level, with the value of 3.18 and 3.42 out of 5 respectively. There were significant mean differences in spirituality according to religion and satisfaction on major while those in stress of clinical practice according to sex and satisfaction on major.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spirituality and stress of clinical practice was found. In conclusion, to reduce clinical stress in nursing students, it is necessary to develop and apply educational program for spiritual improvement.

본 연구는 간호학생의 영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정도를 평가하고 이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여 간호학생들의 영성증진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중재방안으로 영성의 활용가능성을 확인하고자 시도하였다. 2개 대학의 간호학생 203명을 편의 추출하여 자가 보고식 설문지를 사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대상자들의 영성은 5점 만점에 3.18점, 임상실습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3.42점으로 중간이상의 수준이었다. 하위영역별로는 영성의 경우 '삶의 의미와 목적'이 가장 높았고, 임상실습 스트레스에서는 '실습교육환경'에 대한 스트레스가 가장 높게 나타났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차이에서는 영성은 종교와 전공만족도에 따라,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성별과 전공만족도에 따라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영성과 임상실습 스트레스는 유의한 부적상관관계가 있었다. 결론적으로, 간호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기 위해서는 영성증진을 위한 교육프로그램 개발과 이를 효과적으로 교육과정에 접목시킬 수 있는 방안을 구축할 필요가 있다.

Keywords

References

  1. 황성자,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자기효능감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2권, 제2호, pp.205-213, 2006.
  2. 한지영, "간호학생이 인지한 임상실습교육환경",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2권, 제5b호, pp.2595-2607, 2010.
  3. 안혜경,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스트레스와 정신건강과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8권, 제6호, pp.2249-2263, 2006.
  4. 박미영, 김순이, "전문대 간호학생들의 첫 임상 실습체험연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6권, 제1호, pp.23-25, 2000.
  5. 양영옥, 이선옥, "간호대학생의 자아존중감, 전공 만족도 및 진로정체감 간의 관계",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4권, 제2b호, pp.979-989, 2012.
  6. 김인숙, 장윤경, 박수호, 송소현, "간호학생의 비판적 사고성향과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수행능력",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3호, pp.337-345, 2011.
  7. 양남영, 문선영, "간호대학생이 지각한 셀프리더십, 임상실습 스트레스 및 임상실습 만족도 간의 관계", 간호행정학회지, 제17권, 제2호, pp.216-225, 2011. https://doi.org/10.11111/jkana.2011.17.2.216
  8. 양진주, "간호학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반교육과정 개발 및 평가", 성인간호학회지, 제20권, 제4호, pp.548-560, 2008.
  9. 김순례, 이종은, "간호대학생들의 임상실습 스트레스, 대처방식 및 자아존중감과의 관계",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1권, 제1호, pp.98-106, 2005.
  10. 한선희, 유혜순, "일 지역 간호대 학생의 셀프리더십, 임상실습 스트레스와 자기노출",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131-140,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131
  11. J. Por, L. Barriball, J. Fitzpatrick, and J. Roberts, "Emotional intelligence: It's relationship to stress, coping, well-being and professional performance in nursing students," Nurse Education Today, Vol.31, No.8, pp.855-560, 2011. https://doi.org/10.1016/j.nedt.2010.12.023
  12. M. A. Margaret and M. K. Jessica, "The importance of teaching and learning resilience in the health disciplines: A critical review of the literature," Nurse Education Today, Vol.29, No.4, pp.371-379, 2009. https://doi.org/10.1016/j.nedt.2008.10.011
  13. 김경화, 김은심, "간호대학생의 셀프리더십, 자아존중감 및 임상실습스트레스가 스트레스 대처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제14권, 제3호, pp.1519-1533, 2012.
  14. A. Narayanasamy, "The puzzle of spirituality for nursing: a guide to practical assessment," British Journal of Nursing, Vol.13, No.19, pp.1140-1144, 2004. https://doi.org/10.12968/bjon.2004.13.19.16322
  15. J. Swinton, "Promoting healing environments through spiritual care for healthcare professional and patients," Health & Mission, Vol.17, pp.15-23, 2009.
  16. D. Baldacchino and P. Draper, "Spiritual coping strategies: a review of the nursing research literature,"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34, pp.833-841, 2001. https://doi.org/10.1046/j.1365-2648.2001.01814.x
  17. 이경열, 김정희, 김동원, "한국인을 위한 영성척도의 개발", 한국심리학회지: 상담 및 심리치료, 제15권, 제4호, pp.711-728, 2003.
  18. D. V. Powers, R. J. Cramer, and J. M. Grubka, "Spirituality, life stress and affective well-being," Journal of Psychology & Theology, Vol.35, No.3, pp.235-243, 2007. https://doi.org/10.1177/009164710703500306
  19. H. G. Koenig, "Research on religion, spirituality and mental health: a review," The Canadian Journal of Psychiatry, Vol.54, pp.283-291, 2009. https://doi.org/10.1177/070674370905400502
  20. Y. C. Hsiao, L. Y. Chien, L. Y. Wu, C. M. Chiang, and S. Y. Huang, "Spiritual health, clinical practice stress, depressive tendency and health-promoting behaviors among nursing students," Journal of Advanced Nursing, Vol.66, No.7, pp.1612-1622, 2010. https://doi.org/10.1111/j.1365-2648.2010.05328.x
  21. T. L. Gall, C. Charbonneau, N. H. Clarke, K. Joseph, and L. Shouldice, "Understanding the nature of spirituality in relation to coping and health: a conceptual framework," Canadian Psychology, Vol.46, No.2, pp.88-104, 2005. https://doi.org/10.1037/h0087008
  22. Y. C. Hsiao, H. F. Wu, L. Y. Chien, C. M. Chiang, Y. H. Hung, and P. H. Peng, "The differences in spiritual health between non-depressed and depressed nurse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1, pp.1736-1745, 2012.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1.03962.x
  23. 김숙남, "일 지역 의사와 간호사의 영성", 정신건강간호학회지, 제19권, 제2호, pp.143-153, 2010.
  24. 김숙남, 최순옥, "간호사의 죽음불안과 영성",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6권, 제1호, pp.101-110, 2010. https://doi.org/10.5977/JKASNE.2010.16.1.101
  25. S. Ronaldson, L. Hayes, C. Aggar, J. Green, and M. Carey, "Spirituality and spiritual caring: nurses' perspectives and practice in palliative and acute care environments," Journal of Clinical Nursing, Vol.21, pp.2126-2135, 2012. https://doi.org/10.1111/j.1365-2702.2012.04180.x
  26. 윤매옥, "암 환자를 돌보는 간호사의 영적안녕과 영적간호수행", 한국 호스피스.완화의료학회지, 제12권, 제2호, pp.72-79, 2009.
  27. 오복자, 전희순, 소외숙, "한국어판 영성측정도구 (SAS)의 신뢰도와 타당도 검증연구", 종양간호학회지, 제1권, 제2호, pp.168-179, 2001.
  28. J. W. Howden, Development & psychometric characteristics of the spiritual assessment scal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Texas Woman's University, 1992.
  29. D. L. Beck and R. Srivastsva, "Perceived level and sources of stress in baccalaureate nursing students," Journal of Nursing Education, Vol.30, No.3, pp.127-133, 1991.
  30. 이명화, "일 지역 간호대학생의 영성에 관한 연구", 기본간호학회지, 제11권, 제3호, pp.265-274, 2004.
  31. L. A. Taliaferro, A. A. Rinzo, R. M. Pigg, M. D. Millrer, and V. J. Dodd, "Spiritual well-bing and suicidal ideation among college students," Journal of American College Health, Vol.58, No.1, pp.83-90, 2009. https://doi.org/10.3200/JACH.58.1.83-90
  32. 최순옥, 김숙남, "대학생의 자살생각과 영성",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7권, 제2호, pp.190-199, 2011. https://doi.org/10.5977/JKASNE.2011.17.2.190
  33. 김종성, 안상섭, 한성열, "영성의 긍정적 기여", 한국심리학회지 사회문제, 제15권, 제1호, pp.207-226, 2009.
  34. 고정은, 김미희, 김은진, 김혜지, 엄지은, 이행아, 장누리, 장동은, 김문실, 전인숙, "간호대학생의 전공만족도와 간호전문직관의 관계-일대학 간호대학생을 대상으로-", 이화간호학회지, 제45권, pp.29-44, 2010.
  35. 권인수, 서영미, "임상실습 교육에 대한 간호학생의 요구", 한국간호교육학회지, 제18권, 제1호, pp.25-33, 2012. https://doi.org/10.5977/jkasne.2012.18.1.025
  36. 강영한, 박종삼, "임상실습을 경험한 보건계열 학생들의 임파워먼트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2권, 제7호, pp.223-231, 2012. https://doi.org/10.5392/JKCA.2012.12.07.223
  37. 오복자, 강경아, "영성 개념분석", 대한간호학회지, 제30권, 제5호, pp.1145-1155, 2000.
  38. 구현영, 임형석, "학제별 간호대학생의 임상실습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비교",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11-321, 2013.

Cited by

  1. Spirituality, Death Anxiety and Burnout Levels among Nurses Working in a Cancer Hospital vol.16, pp.4, 2013, https://doi.org/10.14475/kjhpc.2013.16.4.264
  2. A Concept Mapping Study on Clinical Stress for Nursing Students during Clinical Practice vol.20, pp.4, 2014, https://doi.org/10.11111/jkana.2014.20.4.39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