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Impact of Peer Attachment,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nce on School Life Adaption in Children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 Received : 2014.05.21
  • Accepted : 2014.09.03
  • Published : 2014.09.28

Abstract

This research purposed to verify the effects of children's peer attachment,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on their adaptation to school. Also, I verified the difference of school life adaptation according to the degrees of peer communication, trust, alienation, community spirit, and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is research utilized Korean Children and Adolescent Panel Survey data to get more comprehensive and objective research result. As a result, the children who had higher peer attachment relationships (with more peer communication and better trust), higher community spirit, and higher level of multi-cultural awareness and acceptability adapted to school better. In particular, peer attachment had the highest effect on the children's school adaptation, community spirit next, followed by multi-cultural acceptability. Therefore, children's education needs to enhance their intimacy with peer groups, compliance with basic norms in school communities, and arouse rightful multi-cultural awareness in order to help them adapt to school better.

본 연구는 아동들이 인지하고 있는 또래애착, 공동체 의식, 다문화 수용도가 학교생활 적응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를 검증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또한 또래집단간의 의사소통, 신뢰, 소외, 공동체의식, 다문화수용 정도에 따라 학교생활 적응의 차이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 데이터를 사용함으로써 연구결과에 대한 포괄적이고 객관화시킬 수 있는 강점을 활용하고자 시도하였다. 연구결과, 학교 내에서 또래집단간의 의사소통이 잘 이루어지고 신뢰 관계가 잘 형성되어 또래애착관계가 높을수록, 공동체 의식이 높게 형성될수록,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수용 정도가 높은 아동일수록 학교생활에 적응을 잘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는 또래애착, 공동체의식, 다문화 수용도 순으로 영향력의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아동의 또래집단간의 친밀감을 향상시키고, 학교에서 공동체 생활에서의 기본적 규범 준수와 서로를 이해하고 존중하려는 마음을 키우고, 다문화에 대한 올바르게 인식할 수 있는 교육을 통해 학교생활에 잘 적응할 수 있도록 해야 할 것이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선경, 김헌진,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이 초등학생의 다인종 및 다문화에 대한 태도에 미치는 효과성 연구",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11호, pp.259-282, 2011.
  2. 강가영, 장유미, "청소년의 공동체 의식에 관한 연구", 미래청소년학회지, 제10권, 제1호, pp.97-123, 2013.
  3. 고관우, 남진열, "초기 청소년의 체험활동 참여 영역에 따른 공동체 의식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복지연구, 제13권, 제4호, pp.231-250, 2011.
  4. 김미진, 정옥분, "아동의 다문화 수용성 척도개발과 타당화 연구", 인간발달연구, 제17권, 제4호, pp.69-88, 2010.
  5. 김분, 최연실, "초등학생의 부모 교사 또래애착 유형별 자아개념 및 학교생활 적응", 대한가정학회지, 제50권, 제1호, pp.1-13, 2012.
  6. 김상미, 남진열, "청소년의 또래애착과 학교생활 적응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미래청소년학회지, 제8권, 제4호, pp.225-242, 2011.
  7. 김영춘, 이관식, "다문화가정 아동의 가족기능, 자아탄력성,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한국보육학회지, 제13권, 제1호, pp.21-38, 2013.
  8. 김혜금, 아동이 지각한 부모의 양육방식과 또래애착 및 학교생활 적응과의 관계: 성차를 중심으로, 제2회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pp.97-112, 2011.
  9. 노재윤,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 연구: 중학교 1학년 국어교과서 분석에 입각하여, 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10.
  10. 도금혜, "아버지 관련 변인이 아동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활과학회지, 제17권, 제5호, pp.861-872, 2008.
  11. 류상희, "초등학생의 다문화에 대한 인식과 다문화 효능감", 한국실과교육학회지, 제26권, 제2호, pp.199-213, 2013.
  12. 문은식, 청소년의 학교생활 적응행동에 관련되는 사회심리적 변인들의 구조적 분석, 충남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 청구논문, 2010.
  13. 박가나, "청소년 참여활동이 공동체 의식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10호, pp.273-306, 2009.
  14. 송영경, 김영희, 황성실, "초등학생의 학교적응에 대한 자아탄력성과 사회적 지지의 상호작용 효과", 한국생활과학학회지, 제20권 제1호, pp.1-19, 2011. https://doi.org/10.5934/KJHE.2011.20.1.001
  15. 심수정, 중학생의 또래에 대한 애착정도와 자아 존중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4.
  16. 오경화, "다문화 가정 청소년의 한국문화수용성과 학교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대한가정학회지, 제49권, 제9호, pp.83-97, 2011. https://doi.org/10.6115/khea.2011.49.9.083
  17. 윤은영,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광주여자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5.
  18. 이경남,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제26권, 제5호, pp.211-224, 2008.
  19. 이귀옥, 이미리, "아동과 청소년기 학교적응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탐색 연구", 제2회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학술대회 자료집,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pp.81-94, 2012.
  20. 이동성, 김지인, 이다해, "우리나라 다문화교육 현장작업(fieldwork)에서 경험하는 방법론적 딜레마와 이슈들", 다문화교육연구, 제3권, 제1호, pp.5-27, 2010.
  21. 이민경, 양계민, "다문화교육 프로그램 효과성 분석을 통한 다문화 교육 방향성 고찰", 현대사회와 다문화, 제1권, 제2호, pp.176-199, 2011.
  22. 이은영, 초등학교 학생의 학교생활 적응에 관한 연구, 관동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9.
  23. 이혜순, "청소년의 자아분화 수준 및 자아존중감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호, pp.333-341,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01.333
  24. 임수경, 이형실, "청소년의 자아존중감, 부모와의 관계, 친구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한국가정과 교육학회지, 제19권, 제3호, pp.169-183, 2007.
  25. 임영식, 문성호, 정경은, 강태신, 고혜연, 문호영, 박옥식, 조규필, 진은설, "청소년인증수련활동 영역별 효과성 척도 개발", 청소년학연구, 제16권, 제5호, pp.75-97, 2009.
  26. 장석진, 송소원, 조민아, "중학생의 휴대전화 의존도, 부모양육태도, 또래애착이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청소년학연구, 제18권, 제12호, pp.431-451, 2011.
  27. 정미영, 문혁준, "아동의 학교생활 적응 관련 변인 연구", 아동학회지, 제28권, 제5호, pp.37-54, 2007.
  28. 조명주, 학습자의 공동체 의식과 학교생활 적응 및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7.
  29. 차유림, 아동 학교적응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대학원 석사학위 청구논문, 2000.
  30. 최지은, 신용주, "청소년이 지각한 부모-자녀 관계, 또래관계, 교사와의 관계가 학교생활 적응에 미치는 영향", 대한가정학회지, 제41권, 제2호, pp.199-210, 2003.
  31. 허인숙, "청소년의 사회참여 활동과 시민성 형성에 관한 연구", 한국청소년연구, 제40권, pp.443-472, 2004.
  32. 이현주, 권수정, "청소년의 자아탄력성과 또래애착이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삶의 만족도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3권, 제10호, pp.347-355, 2013. https://doi.org/10.5392/JKCA.2013.13.10.347
  33. V. Battistich, D. Solomon, D. Kim, M. Watson, and E. Schaps, "School as communities, poverty levels of student populations, and students' attitudes, motives, and performance : A multilevel analysis,"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Journal, Vol.32, No.3, pp.627-658, 1995. https://doi.org/10.3102/00028312032003627
  34. R. D. Felner, Vulnerability in childhood: A preventive framework for understanding children's effect to cope with life stress and transitions, In M, S, Robert & L, Peterson(Eds,), Prevention of problems in childhood: Psychological research and application, pp.133-169, 1984.
  35. R. R. Greene and P. H. Ephross, "Human Behavior Theory and Work Practice, NY: Aldine de Gruyter, 1991.
  36. D. W. McMillan and D. M. Chavis, "Sense of community : A theory and definition," American Journal of Community Psychology, Vol.14, pp.6-23, 1986. https://doi.org/10.1002/1520-6629(198601)14:1<6::AID-JCOP2290140103>3.0.CO;2-I