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effects on subject satisfaction of math-clinic programs for learning support in engineering students

공과대학생들의 학습지원을 위한 수학클리닉 프로그램별 교과만족도 차이 연구

  • Choi, Wonyoung (School of Basic Sciences,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Kim, Sung-whan (School of Basic Sciences, Hanbat National University) ;
  • Son, Jeong-suk (School of Basic Sciences, Hanbat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6.08.01
  • Accepted : 2016.09.28
  • Published : 2016.09.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troduce the math-clinic programs which offer to engineering students and to compare the subject satisfaction between participants and non-participants. Five math-clinic programs are operated and 1397 students took part in this study. As a result, the Likert-type scales of satisfaction with three programs; the exercise problems solving class, the tutoring program and the achievement tests, were 4.07, 4.05 and 3.95, respectively(5-point Likert-type scale). And we found that the participants expressed higher subject satisfactions than nonparticipations did.

Keywords

References

  1. 권혁진.김민경.이은영(2006). 학습 부진아 수학클리닉 운영 사례. 한국학교수학회, 9(1): 19-40.
  2. 김광한.김병학.김경석.박은아(2009). 대학수학교육의 현황과 7차 교육과정 세대의 효율적인 수학 교육방안. 수학교육논문집, 23(2): 255-277.
  3. 김달중.왕현선(2015). 대학의 영어클리닉 운영과 만족도 조사: H대학교를 중심으로, 현대영어영문학, 59(2): 45-72.
  4. 김병무(2006). 대학수학 학습에 필요한 요인 분석과 학습지도. 수학교육 논문집, 20(2): 215-230.
  5. 김병무(2007). 대학수학 지도를 위한 공대생의 수학에 대한 태도 조사. 수학교육 논문집, 21(3): 467-482.
  6. 김연미(2013). 기초수학 교육과정 개발 및 운영에 대한 제언. 공학교육연구, 16(2): 58-63.
  7. 김태수.김병수(2008). 대학수학의 수준별 수업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22(4): 369-382.
  8. 김태수(2013). 대학수학의 공동관리 운영에 관한 소고-S대학의 미분적분학 사례를 중심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27(4): 381-389.
  9. 선복근.김병삼.정준오(2009). 운영사례를 중심으로 한 학생 주도형 학습공동체(피어 튜터링) 활동. 공학교육연구, 12(4): 126-134.
  10. 송윤희(2012). 대학 이러닝 수업에서 학습몰입과 학습지연을 예측하는 요인 분석. 평생학습사회, 8(1): 113-135.
  11. 송윤희.김성환(2012). 대학 튜터링 프로그램이 수학 학습성과에 미치는 영향 - H대학교 사례를 중심으로. 교과교육학연구, 16(2): 441-459.
  12. 염민호.박선희(2008). 대학 학습공동체의 이해와 활성화 방안. 한국교육학회, 46(2): 127-156.
  13. 이은준.김태형(2011). 대학생들의 학습양식에 따른 튜터링 프로그램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의 관계에 대한 연구. 교육과학연구, 42(2): 235-262.
  14. 이정례.이성진.권혁홍.이경희(2011). 수학기초학력 향상 프로그램이 학업성취도와 학습동기에 미치는 영향-D대학교 공과대학 신입생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25(1): 167-184.
  15. 이종욱(2009). 동기에 대한 고찰: 수학 학업성취와 관련하여. 수학교육학회, 46(1): 1-18.
  16. 이헌수.김현철.박영용(2013). 입시전형별 이공계 신입생의 대학수학 성취도 비교 분석 - 2012년 M대학교 이공계 신입생을 중심으로. 수학교육 논문집, 27(4): 369-379.
  17. 장인식.양우석.최경미.정순모.정보현(2008). 중위권 교육중심 공과대학생을 위한 전공 연계형 수학교재 모형 개발. 한국공학교육학회 2008년 추계학술대회자료집, 1-7.
  18. 전영미(2015). 공과대학생들의 학습 과정 분석에 기초한 학습지원 방안 연구: 수도권 S대 사례를 중심으로. 공학교육연구, 18(1): 61-73.
  19. 전재복(2008). 바람직한 대학기초수학 교육과정 운영방안. 수학교육 논문집, 22(4): 399-415.
  20. 정상조.박중수.김태순(2011). 공학인증 기초수학에서 학습부진 학생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방안 탐색. 수학교육논문집, 25(3): 593-606.
  21. 최경미(2014). 미적분학 복습시험을 포함하는 공업수학 수업 모형 연구. 공학교육연구, 17(2): 3-10.
  22. 최원영.김혜경(2014). 대학 미분적분학에서 상호 동료 교수법이 학업성취도 및 학습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수학교육(시리즈A), 53(2): 263-274. https://doi.org/10.7468/MATHEDU.2014.53.2.263
  23. 최원영(2014). 대학에서 수학클리닉의 필요성과 효과에 관한 연구. 한국학교수학회논문집, 17(1): 109-121.
  24. 최은정(2009). 대학 미적분학 수준별 교육사례와 수치연산 소프트웨어를 활용한 교육과정 개발연구. 수학교육 논문집, 48(3): 213-234.
  25. 최혜정(2008). 수학 학습부진아의 효율적인 지도방안 연구. 석사학위논문,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6. 표용수.박준식(2010). 대학수학의 수준별 수업에 따른 학업성취도 분석. 수학교육 논문집, 24(3): 525-541.
  27. 표용수.박준식(2013). 대학 입학예정자를 위한 기초수학 특강의 학업성취도 분석. East Asian mathematical journal, 29 (4): 393-407. https://doi.org/10.7858/eamj.2013.027
  28. Scarcella, Robin C. and Recca L. Oxford(1992). The Tapestry of Language Learning. Boston, MA: Heinle & Heinle.
  29. Topping K. J.(2005). Trends in peer learning. Educational Psychology, 25 (6): 631-645. https://doi.org/10.1080/0144341050034517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