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Science and Technology Networks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Based on Expert Survey Data

재난안전관리 과학기술 네트워크: 전문가 수요조사를 중심으로

  • 허정은 (한국연구재단) ;
  • 양창훈 (가톨릭관동대학교 공공행정학과)
  • Received : 2018.08.30
  • Accepted : 2018.11.11
  • Published : 2018.11.28

Abstract

Recently, due to the rising incidence of disasters in the nation, there has been a growing interest in the relevance and role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solving disaster and safety related issues. In addition, the necessities of securing the human rights of all citizens in disaster risk reduction, identifying fields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effective disaster response, and improving the efficiency of R&D investment for disaster and safety are becoming more important as the different types of disasters and stages of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rocess have been considered. In this study, we analyzed bipartite or two-mode networks constructed from an expert survey dataset of technology development for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The results reveal that earthquake and fire are the two disasters affecting an individual and society at large and demonstrate that AI and big data analytics are effective supports in managing disaster and safety. We believe that such a network analytic approach can be used to explore some important implications exist for the national science and technology effort and successful disaster and safety management practices in Korea.

최근 국가적 재난사고의 발생으로 인해 재난안전문제의 근원적 해결을 위한 과학기술의 활용과 역할에 대한 연구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이에 재난 유형이나 재난안전 관리 단계별로 국민의 안전기본권 확보, 효과적 대응을 위한 기술개발 분야 발굴, 관련 R&D 투자의 효율적 방향 모색 등의 필요성도 크게 대두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네트워크 분석을 기반으로 과학기술을 통해 우선적으로 해결이 필요한 재난 유형 및 재난안전 관리 단계는 무엇인지 그리고 재난안전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어떤 기술개발이 필요한지를 분석하였다. 전문가 수요조사에 대한 네트워크 분석 결과, 사회재난인 화재와 자연재난인 지진에 대한 우리사회의 불안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부분의 재난 유형에 공통적으로 요구되거나 재난 상황에 따라 응용 가능성이 높은 기술개발 분야는 인공지능과 빅데이터 분석인 것으로 조사되었다. 본 연구는 재난안전과 기술 분야 간 연결망 구조를 구축한 후 그 연계 속성이 갖는 구조적 특성을 탐색하고, 나아가 재난안전 과학기술의 역할 강화를 위한 함의를 제시하였다.

Keywords

CCTHCV_2018_v18n11_123_f0001.png 이미지

그림 1. 재난안전 유형과 플랫폼 기술개발 분야 간 네트워크 구조(tie>5)

표 1. 동시출현 2-mode 네트워크 데이터 구축의 예

CCTHCV_2018_v18n11_123_t0001.png 이미지

표 2. 전문가 수요조사 재난 유형: 상위 10개

CCTHCV_2018_v18n11_123_t0002.png 이미지

표 3. 전체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상위 10개(연결 중심성 기준)

CCTHCV_2018_v18n11_123_t0003.png 이미지

표 4. 재난안전 관리단계별 네트워크 속성

CCTHCV_2018_v18n11_123_t0004.png 이미지

표 5. 재난감지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상위 10개(연결 중심성 기준)

CCTHCV_2018_v18n11_123_t0005.png 이미지

표 6. 재난예측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상위 10개(연결 중심성 기준)

CCTHCV_2018_v18n11_123_t0006.png 이미지

표 7. 재난대응 네트워크 중심성 분석 결과: 상위 10개(연결 중심성 기준)

CCTHCV_2018_v18n11_123_t0007.png 이미지

References

  1. 국회예산처, 재난안전 관리 현황과 주요 대책 분석 I, 2017.
  2.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제3차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안), 2018.
  3. Seoul National University, Government Competitiveness Report 2017, Center for Government Competitiveness, 2017.
  4. 정경진, 국민안전처 신설에 따른 재난안전R&D 추진체계 개선방향, Issue Paper 2014-14,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2014.
  5. 김영록, 재난안전 예산 및 평가체계 정립방안 연구, KIPA 연구보고서 2016-26, 한국행정연구원, 2016.
  6. 법무부, 2017-2021 제3차 국가인권정책기본계획, 2017.
  7. 국가과학기술심의회, 재난 과학기술 개발 10개년 로드맵(안), 2015.
  8. 미래창조과학부,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사업 2018년도 추진계획(안), 2018.
  9. 신동희, 김용문, "국가 재난관리 분야의 빅 데이터 활용 정책방안,"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5권, 제2호, pp. 377-392, 2015. https://doi.org/10.5392/JKCA.2015.15.02.377
  10. 강희조, "공공안전 재난관리를 위한 차세대 통합 무선 재난통신," 한국정보기술학회논문지, 제9권, 제10호, pp. 187-195, 2011.
  11. 김태훈, 윤주희, "대형복합재난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제도개선방안 연구," 한국산학기술학회 논문지, 제19권, 제5호, pp. 176-183, 2018.
  12. 최윤조, 홍승환, 이수진, 손흥규, "센다이프레임 워크 전환에 따른 재해위험경감 관련 국내 정책 동향변화와 과학기술의 역할," 대한토목학회논문집, 제37권, 제4호, pp. 765-773, 2017. https://doi.org/10.12652/KSCE.2017.37.4.0765
  13. 주혜정, 홍슬기, 더 안전한 대한민국을 위한 재 난.재해 R&D의 전환 방향 모색, KISTEP Issue Weekly, 2018-29(통권 제247호), 2018.
  14. 양창훈, 허정은, "연결망 분석을 활용한 인문사 회기반 융합연구 구조에 관한 연구: 네트워크 중심성과 중개자 역할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7권, 제12호, pp. 49-63, 2017. https://doi.org/10.5392/JKCA.2017.17.12.049
  15. 류상일, 남궁승태, "재난안전 관련 법제 분석: 언어네트워크 분석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위기관리논집, 제7권, 제6호, pp. 29-46, 2011.
  16. 류상일, "지방자치단체의 재난대응 네트워크 분석," 한국지방자치학회보, 제20권, 제1호, pp. 53-70, 2008.
  17. 이훈래, "지방자치단체의 재난관리 협력적 거버넌스에 관한 연구: 재난안전네트워크를 중심으로," 한국정책연구, 제15권, 제4호, pp. 127-150, 2015.
  18. 조선일, 배정아, "네트워크분석을 활용한 도시 재난관리 연구," 사회과학연구, 제27권, 제1호, pp. 291-309, 2016.
  19. 차세영, 임도빈, "재난관리 단계별 대응 체계에 관한 연구: 구미 불산 누출 사고 사례의 네트워크 방법론적 분석," 지방정부연구, 제18권, 제1호, pp. 727-754, 2014.
  20. 장덕희, 강길모, 김진영, "선박기인 해양재난 피해축소를 위한 해양과학기술 개발수요 도출," Ocean and Polar Research, 제37권, 제4호, pp. 369-383, 2015. https://doi.org/10.4217/OPR.2015.37.4.369
  21. 이재윤, 김수정, "국내 재난 관련 연구 동향에 대한 계량정보학적 분석," 정보관리학회지, 제33권, 제3호, pp. 103-124, 2016.
  22. 홍주현, "재난 발생 시 SNS를 통해 확산된 재난이슈 네트워크 분석: 유튜브의 정보 종류 및 이슈의 집중도.확산성을 중심으로,"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제18권, 제3호, pp. 138-147, 2018. https://doi.org/10.5392/JKCA.2018.18.03.138
  23. D. Knoke and J. H. Kuklinski, Network analysis, Beverly Hills, CA: Sage, 1982.
  24. J. Scott, Social network analysis: A Handbook, London: Sage, 1991.
  25. L. C. Freedman, "Centrality in social networks: Conceptual clarifications," Social Network, Vol. 1, pp. 215-239, 1979.
  26. T. W. Valente and R. K. Foreman, "Integration and radiality: Measuring the extent of an individual's connectedness and reachability in a network," Social Networks, Vol. 20, pp. 89-109, 1998. https://doi.org/10.1016/S0378-8733(97)00007-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