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Determination of Instreamflow Requirement for Upstream Urban Watershed Using SWAT Model

SWAT 모형을 이용한 도시하천 상류유역의 하천유지유량 산정방안

  • Lee Kil-Seong (Dept. of Civil, Urban & Geosystem Engr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Chung Eun-Sung (Dept. of Civil, Urban & Geosystem Engrg., Seoul National University) ;
  • Shin Mun-Ju (Dongbu Engineering Corporation, Dept. of Water Resources) ;
  • Kim Young-Oh (Dept. of Civil, Urban & Geosystem Engrg., Seoul National University)
  • 이길성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 정은성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 신문주 (동부엔지니어링 수자원부) ;
  • 김영오 (서울대학교 공과대학 지구환경시스템공학부)
  • Published : 2006.08.01

Abstract

The flow duration curves in the present and the ideal hydrologic cycle were derived using SWAT model. The present situation is the landuse and the groundwater withdrawal in the year of 2000 and the ideal situation is the landuse of 1975 and no groundwater withdrawal. These results were compared with the previous instream flow requirements which are the larger flow between the average drought flow and environmental control flow. As a result, the present and ideal drought flows of Ojeoncheon, Hakuicheon, Samseongcheon, and Sammakcheon, were the same and the drought flows of Samseongcheon and Sammakcheon were even zero since the baseflow is very little due to the small and mountainous watersheds. The previous instream flow requirement for the riverine function is also larger than the low flow of the ideal hydrologic cycle. The present method to set the instream flow requirement is not proper for the small mountainous watershed since it can be usually overestimated and drive the artificial measures to secure the streamflow Therefore, another method should be developed such as the low flow and the average flow between the drought flow and the low flow of the ideal hydrologic cycle using the proper hydrologic simulation model such as SWAT which can consider the landuse.

본 연구에서는 안양천 중상류 유역에 대해 SWAT 모형을 이용하여 현재(2000년)의 토지이용 및 지하수 취수량(2000년)을 토대로 유황곡선을 도출하고 개발이전의 토지이용(1975년)과 지하수 취수가 전혀 없는 이상적인 상태에서 유황곡선을 도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또한 기존의 갈수량과 항목별 필요유량을 비교하여 큰 값으로 하천유지유량을 설정한 것과 본 연구에서 수행한 유황들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오전, 삼성, 삼막, 수암천의 경우, 현재의 상태와 이상적인 상태의 갈수량이 전혀 변화하지 않음을 보였으며 삼성, 삼막천은 두 경우, 모두 갈수량이 0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대상유역의 유역면적이 작은 지방2급 하천일 뿐만 아니라 경사가 급한 산간지역이 대부분을 이루어서 개발 전에도 기저유출이 많지 않았기 때문이다. 또한 학의, 삼성천, 기아대교 상류유역과 같이 하천유지유량을 항목별 필요유량으로 산정한 경우는 모든 유역에서 이상적인 상황의 저수량보다 큰 값을 보였다. 따라서 지방2급 하천과 같이 유역면적이 작거나 산지하천의 경우에도 일률적으로 갈수량이나 항목별 필요유량을 비교하여 큰 값으로 하천유지유량을 설정하기보다는 SWAT과 같은 토지이용을 고려하는 수문 모의모형을 이용하여 대상유역에 대해 자연적인 상황에서의 갈수량 또는 저수랑 등 다른 적절한 방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정훈, 이은태, 이주헌, 이도훈 (2004). '어류의 서식처 조건을 고려한 하천의 필요유량 산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7권, 제 11호, pp. 915-927 https://doi.org/10.3741/JKWRA.2004.37.11.915
  2. 군포시 (1994). 안양천수계 하천정비 기본계획보고서
  3. 김경탁 (2003). '정밀토양도를 이용한 CN 산정에 대한 제안' 한국수자원학회지,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4호, pp. 45-53
  4. 김규호, 이진원, 홍일표, 유효섭 (1996). '하천유지유량 결정 방법의 개발 및 적용:1. 산정방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9권, 제4호, pp. 161-176
  5. 김규호, 조원철, 전병호 (2000). '수량 . 수질 모의치를 이용한 어류 서식조건 유지에 필요한 적정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3 권, 제1호, pp. 3-14
  6. 박성천, 강성후, 이관수 (1998). '수질보전을 위한 영산강의 하천유지유량 결정'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8권, 제2-1호, pp. 1-11
  7. 성영두, 박봉진, 주기재, 정관수 (2005). '하천의 어류 서식환경을 고려한 생태학적 추천유량 산정' 한국 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7호, pp. 545-554 https://doi.org/10.3741/JKWRA.2005.38.7.545
  8. 신문주 (2006). SWAT 모형을 이용한 만양천 유역의 유량확보와 수질개선에 대한 방안. 서울대학교 석사학위논문
  9. 신현석, 강두기 (2006). 'SWAT모형을 이용한 인공저류시설물의 하류장기유출 영향분석 기법에 관한 연구'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 권, 제3호, pp. 227-240 https://doi.org/10.3741/JKWRA.2006.39.3.227
  10. 심명필 (2003). 지속가능한 하천수 개발. 인하대학교, 과학기술부
  11. 안양시 (2004). 삼봉천 하천정비 기본계획
  12. 오규창, 정상만, 박상진, 유영석 (1991). '한강에서의 하천유지유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24권, 제1호, pp. 119-128
  13. 유효섭, 이진원, 김규호 (1998) '물고기 서식처를 고려 한 하천유지유량 결정방법의 개발: 금강 본류에서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18권, 제2-4호, pp. 339- 350
  14. 의왕시 (1995). 안양천수계 하천정비 기본계획보고서
  15. 이기영 (2003). 안양천 살리기 종합대책. 경기개발연구원, 경기도
  16. 이기영 (2005). 효율적인 하천 유지관리 방안. 경기개발연구원
  17. 이기영 (2006). 2005년 안양천 모니터링. 경기개발연구원, 안양시청
  18. 이길성 (2004). 안양천 유역의 물순환 건전화 기술적용. 서울대학교, 과학기술부
  19. 이길성, 정은성, 김영오 (2006). '도시 유역 관리를 위 한 통합적인 접근방법.'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2호, pp. 151-167 https://doi.org/10.3741/JKWRA.2006.39.2.161
  20. 이길성, 정은성, 신문주 (2006). '기후, 지하수 취수 및 토지이용의 변화의 건기 총유출량에 대한 영향'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출) https://doi.org/10.3741/JKWRA.2006.39.11.923
  21. 이길성, 진락선, 이상호, 이정민 (2005). 'PCSWMM을 이용한 건천화 방지를 위한 유지용수의 공급 방안 II 모형의 적용' 대한토목학회논문집, 대한토목학회, 제25권, 제6B호, pp. 437-441
  22. 이삼희 (2001). 안양천 살리기 종합계획. 한국건설기술 연구원, 안양시
  23. 이승종, 김영오, 이상호, 이길성 (2005). 'WEP 모형을 이용한 도림천 유역 물순환 모의.',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8권, 제6호, pp. 449-460 https://doi.org/10.3741/JKWRA.2005.38.6.449
  24. 이정민, 이상호, 이길성 (2006a). '물 환경 건전화를 위한 도시하천의 물 순환 모의(I) 안양천 유역.' 한국 물환경학회지, 한국물환경학회, 제22권, 제2호, pp. 349-357
  25. 이정민, 이상호, 이길성 (2006b). '투수성 포장을 고려한 SWMM의 수정 및 하수처리 재이용수와 투수성 포장의 효과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9권, 제2호, pp. 109-119 https://doi.org/10.3741/JKWRA.2006.39.2.109
  26. 조효섭, 정관수, 김재한 (2003). 'GIUH적용을 위한 DEM 격자크기 및 Threshold Area의 민감도 분석.' 한국수자원학회논문집, 한국수자원학회, 제36권, 제5호, pp. 799-810 https://doi.org/10.3741/JKWRA.2003.36.5.799
  27. 한국수자원공사 (2000). 지하수 조사연보. 건설교통부
  28. 한국수자원학회 (2005). 하천설계기준.해설. 건설교통부
  29. 홍형순, 이주헌, 정상만 (2003). '하천의 경관 유지수량의 결정' 한국조경학회논문집, 한국조경학회, 제30 권, 제6호, pp. 17-25
  30. Arnold, J,G., and Fohrer, N. (2005). 'SWAT 2000: Current capabilities and research opportunities in applied watershed modeling.' Hydrological Processes, Vol. 19, No.3, pp. 563-572 https://doi.org/10.1002/hyp.5611
  31. Arnold, J,G., Neitsch, S.L., Kiniry, J,R., Williams, J,R., and King, K.W. (2002). Soil and Water Assessment Tool: Theoretical Documentation Ver. 2000. Texas Water Resources Institute, College Station, Texas, TWRI Report TR-191
  32. Brown, R.G. (1988). 'Effect of precipitation and land use on storm runoff.' Water Resources Bulletin, AWRA, Vol. 24. pp. 421-425 https://doi.org/10.1111/j.1752-1688.1988.tb03001.x
  33. Brun, S.E., and Band, L.E. (2000). 'Simulating runoff behavior in an urbanizing watershed.' Computers, Environment and Urban Systems, Vol. 24, pp. 522 https://doi.org/10.1016/S0198-9715(99)00040-X
  34. Chaubey, I., Cotter, A.S., Costello, T.A., and Soerens, T.S. (2005). 'Effect of DEM data resolution on SWAT output uncertainty.' Hydrological Processes, Vol. 19, pp. 621-628 https://doi.org/10.1002/hyp.5607
  35. Chung, E.S., Lee, K.S., and Park, S.B. (2005). 'Runoff characteristics due to the changes of landuse in the Hakuicheon watershed.' 12th World Water Congress, IWRA, New Delhi, India
  36. Kang, S., Park, J.I., and Singh, V. (1998). 'Effect of urbanization on runoff characteristics of On-Cheon Stream watershed in Pusan, Korea.' Hydrological Processes, Vol. 25, pp. 351-363 https://doi.org/10.1002/(SICI)1099-1085(199802)12:2<351::AID-HYP569>3.0.CO;2-O
  37. Nash, J,E., and Sutcliffe, J.V. (1970). 'River flow forecasting through conceptual models, part 1 - A discussion of principles.' Journal of Hydrology, Vol. 10, No.3, pp. 282-290 https://doi.org/10.1016/0022-1694(70)90255-6
  38. Schade, T.G., and Shuster, W.D. (2005). 'Paired watershed study of landuse and climate change impact on srnall streams.' Environmental Water Resources Institute 2005, ASCE, Anchorage, Alaska

Cited by

  1. Determination of Ecological Flow at the Confluence of Nakdong River and Gumho River Using River2D vol.33, pp.3, 2013, https://doi.org/10.12652/Ksce.2013.33.3.947
  2. Parameter Estimation of SWAT Model Using SWAT-CUP in Seom-river Experimental Watershed vol.33, pp.2, 2013, https://doi.org/10.12652/Ksce.2013.33.2.5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