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tream Health Assessments on Tributaries of Lake Paldang Using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for Fish Community and Physical Habitat Parameters

어류 모델 메트릭과 물리적 서식지 변수를 이용한 팔당호 유입하천 하류부의 하천건강성 평가

  • Choi, Myung-Jae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Park, Hae-Kyung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Lee, Jang-Ho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 Yun, Seok-Hwan (Han River Environment Research Center, National Institute of Environmental Research)
  • 최명재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 박혜경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 이장호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 윤석환 (국립환경과학원 한강물환경연구소)
  • Published : 2009.09.30

Abstract

The fish communities and physical habitat conditions of fifteen tributaries of Lake Paldang in spring and autumn, 2008 were surveyed to evaluate the ecological health of the streams. The total 2,746 individuals were collected belonging to 11 families 31 genera 40 species. Two new species (Cottus koreanus, Gnathopogon strigaus) that have never been reported as yet in Lake Paldang watershed were found for the first time. The most dominant species in the tributaries was Acheilognathus yamatsutae (19.9%) which is Korean endemic species. Ecological health evaluation of fifteen tributaries using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model for fish community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was performed. According th the IBI analysis, four streams (Siwoo-Stream, Jojong-Stream, Moonho-Stream and Mugab-Stream) were evaluated as "good" condition (B grade), Woosan-Stream were "poor" condition (D grade) and others were "fair" condition (C grade).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values of the four streams were the grade "II" indicating "good" condition and those of eleven streams were the grade "III", indicating 'fair' condition. On the whole, dataset of IBI and QHEI showed that ecological health of Jojong-Stream has been well maintained compared to other tributaries of Lake Paldang.

2008년 봄, 가을 2회에 걸쳐 팔당호 수계로 유입되는 15개 하천 하류부의 어류의 길드 특성과 생물학적 건강도, 물리적 서식지 건강도를 조사하였다. 어류 분포 조사결과, 총 11과 31속 40종에 속하는 2,745개체가 채집되었으며 고유어종인 줄납자루가 우점하였고, 무갑천(K3)에서는 멸종위기야생동물 II급으로 지정된 둑중개가 채집되었다. 외래종으로는 배스 1종으로 극소수 개체수만 채집되어 외래종에 인한 교란은 적은 것으로 사료된다. 어류 군집 결과를 다변수 건강성 평가 메트릭에 적용한 결과, 팔당호 유입하천 대부분에서 수질에 민감한 민감종과 충식성 어종이 빈약했고 내성종과 잡식종 비율이 높았다. 어류생물지수 평가 결과, 봄과 가을 조사에서 모두 B등급 "양호"를 나타낸 하천은 4개 하천(N1, N4, N5, K3)이었고, 우산천(K1)은 가을철 조사에서 D등급 "악화"로 조사되었다. 수계별로는 북한강으로 유입하는 하천이 가장 양호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물리적 서식지를 평가한 결과, 수계별로는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4개 하천(S1, S4, N4, N5)이 II등급(양호)으로 평가되었고 나머지 11개 하천은 III등급(보통)이었다. 대부분의 하천이 인위적인 하천정비 등으로 인하여 수로변경도($M_6$)와 여울빈도 및 하천굴곡도($M_7$) 항목이 낮은 점수를 나타내었다. 조종천(N4)과 문호천(N5)은 생물지수 평가와 물리적 서식지 평가 모두 "양호상태"로 조사되었다.

Keywords

References

  1. 공동수. 1992. 팔당호의 육수생태학적 연구. 고려대학교 박사학위논문 p. 421
  2. 김익수, 박종영. 2002.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3. 변명섭, 박혜경, 이완옥, 공동수. 2008. 팔당호의 어류상과 군집동태. 한국물환경학회지 24(2): 206-213
  4. 배대열, 안광국. 2006. 생물학적 다변수 모델 적용 및 수화학 분석에 의거한 갑천 생태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0(2):198-208
  5. 손영목, 송호복, 변화근, 최재석. 1996. 팔당호의 어류군집 동태. 한국어류학회지 9(1):141-152
  6. 안광국, 김자연. 2005. 물리적 서식지평가기법 및 어류 다변수 평가모델에 의거한 대전천의 생태학적 건강도 진단. 한국육수학회지 38(3):361-371
  7. 안광국, 이재연, 장하나. 2005. 유동천에서의 생태학적 건강도평가 및 수질양상. 한국육수학회지 38(3)341-351
  8. 안광국, 정승현,최신석. 2001. 생물보전지수 및 서식지 평가 지수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조사. 한국육수학회지 34(3):153-165
  9. 안광국, 최지웅. 2006. 초강의 통합적 생태건강성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9(3): 320-330
  10. 영진문화사. 2008. 정밀도로지도. 영진문화사
  11. 오봉세, 류재근, 남명모, 김숙양. 1994. 팔당호 어업대상 어류의 조종성 계절변동. 한국육수학회지 32(4):308-318
  12. 이완옥, 노세윤. 2006. 특징으로 보는 한반도 민물고기. 지성사
  13. 전상린. 1980. 한국산 담수어의 분포에 관하여, 박사학위 청구논문. 중앙대학교
  14. 전상린. 1990. 한강생태계 조사연구보고서. 서울특별시. p. 445-453
  15. 최지웅, 이의행,이재훈,안광국. 2007. 어류를 이용한 낙동강 수계의 생물학적 수질평가. 한국육수학회지 40(2): 254-263
  16. 한강물환경연구소. 2006. 한강수계 환경기초조사사업-남한강 수계의 생태계 구조 조사 (최종보고서). 한강수계관리이원회. p.201-209
  17. 환경부. 2006. 물환경종합평가방법 개발 조사연구 (lll) 최종보고서: 수생태 건강조시 및 평가체계 연구 p. 235-516
  18. 환경부. 2007. 수생태 건강성 회복을 위한 하천복원 모델과 기준, 조사계획 수립 연구 최종 보고서(lll): 수생태 건강성 조사계획 수립및 지침
  19. Karr, J.R., K.D. Fausch, P.L. Angermeier, P.R. Yantand and I.J. Schlosser. 1986. Assessing biological integrity in running water: A method and its rationale, p. 28 Illinois National History Survey: Spe. Pub 5. IL, USA
  20. Sanders, R.E., R.J. Milter, C.O. Yoder and E.T. Rankin. 1999. The use of external deformities, erosion, lesions, and tumors in fish assemblages for characterizing aquatic resources (Simon, T.P. ed.). CRC Press. p. 225-245
  21.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actions 38: 913-920 https://doi.org/10.1029/TR038i006p00913
  22.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Cincinnati, Ohio 4526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