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ative Analysis of Ecological Health Conditions Before and After Ecological Restoration in Changwon Stream and Nam Stream

창원천.남천에서 생태복원 전.후의 생태건강도 비교평가

  • Kim, Hyun-Jeong (Department of Bioscience of Biotechnology, College of Biologic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Lee, Sang-Jae (Department of Bioscience of Biotechnology, College of Biologic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 An, Kwang-Guk (Department of Bioscience of Biotechnology, College of Biological Science and Biotechnology, Chungnam National University)
  • Received : 2010.05.10
  • Accepted : 2010.06.14
  • Published : 2010.06.30

Abstract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ecological conditions, based on physical habitat, chemical, and biological conditions before (2006, 2007) and after ecological restoration (2009) in five sites of Changwon Stream (CS) and six sites of Nam Stream (NS), respectively, and then to compare ecological health between the two period. The analysis of ecological health was based on the multimetric models of 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 and 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 along with water chemistry in the streams. For the study, the models of IBI and QHEI were modified as 8 and 11 metric attributes, respectively. For the evaluations, the survey was conducted in the period of 2006~2007 before the restoration and in 2009 after the restoration by the city. Chemical conditions, based on conductivity, in both streams showed a typical longitudinal declines along the axis of the upstream-to-downstream.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p>0.05) in water quality between the two periods. Values of IBI in the CS and NS averaged 21.6 and 19.7, respectively, indicating a C grade in the criteria of Ministry of Environment, Korea, an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IBI between the two periods. Values of QHEI after the restoration averaged 29.2 and 63.2 in the CS and NS, respectively and the values decreased markedly especially, in the NS (35.3) after the restoration. The habitat disturbance was mainly attributed to destructions (i.e., the narrower width of riparian vegetation and higher substrate exposure by the air) of artificial materials by massive flood in 2009. Overall, our results suggest that the restoration was not effective in the two streams between the two periods, even if the budget was used a lot and that such ecological restoration, not considered the natural disaster, may not effect for the stream restoration.

본 연구는 창원천과 남천에서 각각 5지점, 6지점의 생태복원 전(2006, 2007)과 후(2009)의 물리적 서식지, 화학적, 생물학적 상태에 기초한 생태학적 상태를 분석하였고 복원 전 후의 생태 건강도를 비교평가 하였다. 하천의 이화학적 수질과 생물통합지수(Index of Biological Integrity, IBI)와 서식지 평가(Qualitative Habitat Evaluation Index, QHEI)의 다변수 평가 모델에 기초하여 생태건강도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 IBI와 QHEI의 모델은 각각 8개, 11개의 수정 보완된 메트릭을 적용하였다. 평가를 위해서 조사는 복원 전 2006년에서 2007년, 복원 후 2009년 실시하였다. 화학적 상태는, 두 하천 모두 상류에서 하류로 갈수록 전기전도도(Condutivity)의 값이 전형적으로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복원 전후에 따른 수질변화 특성은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창원천과 남천의 생태건강도 지수는 각각 평균 21.6, 19.7로 환경부 기준 C등급을 보였고, 복원 전 후 사이에 생태건강도 지수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복원 이후 남천과 창원천의 물리적 서식지 평가 결과 평균점수가 각각 29.2, 63.2로 특히 남천에서 복원 후 35.3점이 두드러지게 감소하였다. 서식지 교란은 2009년에 있었던 홍수에 의한 인공제방의 파괴(천변 식생대의 폭이 줄고 대기에 의해 하천 피복도가 높아졌다.)가 주요한 원인이었다. 종합적으로, 결과를 볼 때 복원 전 후 두 하천에서 효과적이지 않았으며, 비록 많은 예산을 사용하였지만, 환경으로 고려하지 않은 채 맹목적으로 이루어지는 생태복원은 하천 복원에 효과적이지 않을 수 있다고 사료된다.

Keywords

References

  1. 권영택. 1993. 중공업단지 하천퇴적물의 중금속 오염 특성 -창원 남천을 중심으로-.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연구논문 15: 5-15.
  2. 김익수, 강종언. 1993. 원색한국어류도감. 아카데미서적.
  3. 김익수, 박종영. 2002. 원색도감 한국의 민물고기. 교학사.
  4.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 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5. 박재현, 우보명, 김우룡 안현철, 김재수. 2000. 성숙임목수확벌채가 토양의 화학성분과 계류수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생태학회지 23(1): 9-15.
  6. 배대열, 안광국. 2006. 생물학적 다변수 모델 적용 및 수화학 분석에 의거한 갑천생태계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9(2): 198-208.
  7. 배준웅, 이상진, 양정성. 1979. 마산 및 창원공업지역 하천수계에 대한 수질검사 연구. 경남대학교 부설 환경연구소 p.47-65.
  8. 안광국, 김자현. 2005 물리적 서식지평가기법 및 어류 다변수 평가모델에 의거한 대전천의 생태학적 건강도 진단. 한국육수학회지 38(3): 361-371.
  9. 안광국, 신인철. 2005. 산간 계류성 하천의 계절적 수질변동에 대한 몬순강우의 영향. 한국육수학회지 38(1): 54-62.
  10. 안광국, 이재연, 장하나. 2005. 유등천에서의 생태학적 건강도 평가 및 수질양상. 한국육수학회지 38(3): 341-351.
  11. 안광국, 정승현, 최신석. 2001. 생물보전지수 및 서식지 평가지수를 이용한 평창강의 수환경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4(3):153-165.
  12. 안광국, 최지웅. 2006. 초강의 통합적 생태 건강성 평가. 한국육수학회지 39(3): 320-330.
  13. 양운진, 황신옥. 2004. 도시 하천(창원천∙남천)의 갈수기 수질 특성에 관한 연구.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연구논문27: 83-92.
  14. 윤조희, 이상훈, 조성호. 1998. 창원시의 A하천 유입오염부하량 실태조사. 경남대학교 환경문제연구소 연구논문 21: 33-42.
  15. 이상진, 배준웅, 김호식. 1980. 마산 및 창원공업지역 하천수계에 대한 수질조사 연구. 경남대학교 부설 환경연구소 p.35-46.
  16. 이상진, 차성극, 서은덕. 1983. 마산 및 창원공업지역의 하천수계에 대한 수질조사 연구. 경남대학교 부설 환경연구소 p.5-19.
  17. 이은형, 서동일, 황현동, 윤진혁, 최재훈. 2006. 도시 하천에서의 어류 폐사 원인 분석 I - 일반조사 및 실험. 대한상하수도학회지 20(4): 573-584.
  18. 장성호, 박진식. 2005. 남천에서의 강우시 비점오염물질의 유출특성. 한국환경보건학회지 31(1): 1-6.
  19. 해양수산부. 2005. 내수면 잠재력 조사 및 발전 방안 연구.
  20. 환경부. 2002. 하천복원 가이드 라인.
  21. An, K.G. and S.S. Park. 2002. Indirect influence of the summer monsoon on chlorophyll-total phosphorus models reservoir: A case study. Ecological modelling 152(2-3): 191-203. https://doi.org/10.1016/S0304-3800(02)00020-0
  22. An, K.G., S.J. Hwang, D.Y. Bae, J.Y. Lee and J.H. Kim. 2005. Introduction of an electrofishing technique for assessments of fish assemblages to Korean watersheds. Korean J. Limnology 38(4): 482-439.
  23. Barbour, M.T., J. Gerritsen, B.D. Snyder and J.B. Stribling. 199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wadeable rivers: periphyton,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fish, 2nd Ed, EPA 841-B-99-002. US EPA Office of Water, Washington, D.C., USA.
  24. Karr, J.R. 1981. Assessment of biotic integrity using fish communities. Fishieries 6: 21-27. https://doi.org/10.1577/1548-8446(1981)006<0021:AOBIUF>2.0.CO;2
  25. Nelson, J.S. 1994. Fishes of the world (3th ed.). John Wiley & Sons, New York.
  26. Ohio EPA. 1987.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II, Users manual for biological field assessment of Ohio surface waters. Columbus, Ohio, USA.
  27. Ohio EPA. 1989. Biological criteria for the protection of aquatic life. Vol.III, Standardized biological field sampling and laboratory method for assessing fish and macroinvertebrate communities. USA.
  28. Palmer, M.A., D.A. Falk and J.B. Zedler. 2006. Ecological restoration. p. 1-11, In: Foundations of Restoration Ecology (Falk, D.A., M.A. Palmer and J.B. Zedler eds.). Island Press, Washington.
  29. Plafkin, J.L., M.T. Barbour, K.D. Porter, S.K. Gross and R.M. Hughes. 1989. Rapid bioassessment protocols for use in streams and rivers: benthic macroinvertebrate and fish. EPA/444/4-89-001. Office of water regulations and standards. US EPA. Washington. DC, USA.
  30. Rankin, E.T. and C.O. Yoder. 1999. Methods for deriving maximum species richness lines and other threshold relationships in biological field data. CRC Press, USA. p. 611-621.
  31. Strahler, A.N. 1957. Quantitative analysis of watershed geomorphology. American Geophysical Union Transactions 38: 913-920. https://doi.org/10.1029/TR038i006p00913
  32. US EPA. 1993. Fish field and laboratory methods for evaluating the biological integrity of surface waters. EPA 600-R-92-111. Environmental Monitoring systems Laboratory - cincinnati office of Modeling, Monitoring systems, and quality assurance Office of Research Development, US EPA, Cincinnati, Ohio 45268, US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