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arison of Growth, Yield and Quality by Green Crop Treatments in Rice (Oryza sativa L.) Organic Cultivation

벼 유기재배 시 녹비작물 처리에 의한 작물의 생육, 수량 및 품질 비교

  • 차광홍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
  • 오환중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
  • 박흥규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 안규남 (전라남도 농업기술원) ;
  • 박노동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
  • 정우진 (전남대학교 농업생명과학대학 응용생물공학부 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 Received : 2010.06.15
  • Accepted : 2010.09.28
  • Published : 2011.03.31

Abstract

To investigate a comparison of rice yield and quality by a utilization of green crops using barley and hairyvetch, this study was carried out in rice (Oryza sativa L.) organic cultivation field.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Green barley crop (GBC), Green barley+Green Hairyvetch crop (GB+HVC), and Non-Green crop (NGC) were treated in rice cultivation field. The results obtained as following: 1) Culm length and pancile length in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cultivation were longer than organic cultivation but were not significant difference in all treatments. Yields of milled rice in Green barley crop (GBC) and Green barley+Green Hairyvetch crop (GB+HVC) were by 90.3% and 95.9%, respectively. 2) Protein contents in Green barley crop (GBC) and Green barley+Green Hairyvetch crop (GB+HVC) were by 5.7% lower than 6.6% in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cultivation. Amylose contents in all treatment were similar as range 18.8% to 19.1%. Whiteness contents in Green barley crop (GBC) and Green barley+Green Hairyvetch crop (GB+HVC) were slightly higher by 38.9% and 39.1%, respectively, than 37.7% in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cultivation. 3) Palatability values in Barley harvest (BH) and Non-Green crop (NGC) were slightly higher by 82.0 and 83.8, respectively, than 77.6 in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cultivation. 4) Head rice in Non-Green crop (NGC) was 95.5%, while that of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Green barley crop (GBC), and Green barley+Green Hairy-vetch crop (GB+HVC) were slightly low as range 93.8% to 94.2%. White core and belly rice in Convention barley harvest (CBH) cultivation was the highest level by 1.7%. 5) Leaf blast, neck blast, sheath blight, rice stem maggot, rice leaf roller, rice leaf-tier, and green rice leafhopper were occurred lightly in rice field.

벼 재배포장에서 녹비작물의 이용성을 조사하고자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적용하여 시험구를 배치하였다. 무농약 4년차 벼 재배포장에서 벼 수확 후 재배한 보리를 녹비작물로 이용한 처리구(보리녹비구), 보리와 헤어리베치를 혼파한 다음 녹비작물로 이용한 처리구(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 벼 수확 후 녹비작물을 재배하지 않은 방임구(나지방임구)와 보리를 재배한 후 수확한 처리구(관행구)에서 호품벼를 2009년 6월 15일 평당 60주를 기준으로 기계 이앙하여 얻어진 시험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간장과 수장은 관행구가 조금 길었으며, 처리간에는 차이가 없었다. 백미 수량은 관행구를 100%로 볼 때 보리녹비구가 90.3%,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가 95.9%로 나타났다. 2. 벼 품질 평가에서 보리녹비구와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의 단백질 함량은 관행구 6.6%에 비해 5.7%로 낮았다. 아밀로스함량은 모든 처리구에서 18.8~19.1% 범위로 유사한 경향을 보였다. 백도는 관행구 37.7에 비해 보리녹비구 38.9와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 39.1로 약간 높게 나타났다. 3. 취반미 윤기치는 관행구 77.6에 비해 보리수확구가 82.0, 나지방임구가 83.8로 양호하게 나타났다. 4. 완전립율이 나지방임구는 95.5%인 반면에 관행구, 보리녹비구, 보리+헤어리베치 녹비구에서 93.8~94.2% 범위로 약간 낮게 나타났다. 쇄립율도 유사한 경향이었으며 분상질립율은 관행구가 1.7%로 가장 높았다. 5. 본 시험에서 발생된 병해는 잎도열병, 이삭도열병, 잎집무늬마름병이었다. 해충으로는 굴파리류, 혹명나방, 줄점팔랑나방, 끝동매미충이었다. 기상환경이 병해충발생에 불리한 조건으로 경과되어 병해충 발생이 전반적으로 적었으며 처리간에도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Keywords

References

  1. 강종래.김정태.백인열.김정일. 2005. 이앙시기가 중산간지 고품질 쌀 생산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50(S): 33-36.
  2. 김상수.이준희.남정권.최원형.백남현.박흥규.최민규.김정곤.정광용. 2005. 호남평야지에서 쌀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수확시기. 한국작물학회지 50(S): 62-68.
  3. 김영두.하운구.송유천.조준현.양은인.이재길. 2005. 쌀의 물리적 특성과 식미와의 상관. 한국작물학회지 50(S): 24-28.
  4. 남정권.박흥규.김상수.이준희.최원형.백남현.최민규.권태호. 2005. 호남평야지에서 쌀 품질 향상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한국작물학회지 50(S): 56-61.
  5. 문현팔. 2002. 소비자가 원하는 고품질 농산물 생산방안. 농촌진흥청(토론회자료) 7-9.
  6. 박천서. 1978. 우리나라에서의 유기물 시용 효과. 한국토양비료학회지 11(3): 176-194.
  7. 백남현.최원영.고종철.남정권.박흥규.정진일.김상수.박광근. 2005. 서남부 간척지에서 고품질 쌀생산을 위한 적정이앙시기. 한국작물학회지 50(S): 41-45.
  8. 백남현.최원영.고종철.남정권.박흥규.정진일.김상수.박광근. 2005. 서남부 간척지에서 고품질 쌀 생산을 위한 적정 질소시비량. 한국작물학회지 50(S): 46-50.
  9. 손종록.김재현.이정일.윤영환.김제규.황흥규.문헌팔. 2002. 쌀의 품질평가 현황과 금후 연구방향. 한국작물학회지 47(S): 33-54.
  10. 윤봉기. 2007. 녹비작물을 이용한 벼 재배 비료절감효과구명. 전남농업기술원 연구보고서 25-33.
  11. 이성태.이영한.이상대. 2006. 지역에 적합한 친환경농법개발. 경남농업시험보고서 172-178.
  12. 이용환.이상민.성좌경.최두희.김한명.류갑희. 2006a. 유기 논농업 토양관리기술 개발.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4(2): 205-217.
  13. 이용환.이상계.김승환.신제훈.최두희.이윤정.김한명. 2006b. 국내유기농 재배지 유기물 시용실태 및 토양의 화학적 특성. 한국유기농업학회지 14(1): 55-67.
  14. 이장훈.김길용.김인선.양광열.차광홍.최용수.김영철. 2007. 유용미생물과 친환경자재의 엽면살포를 이용한 수도 병해충 방제. 전남대학교 농업과학기술연구소 42: 11-18.
  15. 채제천.전대경. 2002. 수확시기가 쌀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한국작물학회지 47(3): 254-258.
  16. 전남농업기술원. 2007. 남부지역 두과 녹비작물 이용적기와 벼 재배시 비료절감. 전남농업기술원 연구보고서 25-50.
  17. 전남농업기술원. 2007. 남부지역 화본과 녹비작물 이용적기와 벼 재배시 비료절감. 전남농업기술원 연구보고서 25-50.
  18. 전남농업기술원. 2007. 남부지역 논토양에 적합한 두과녹비작물선발. 전남농업기술원 연구보고서 25-50.
  19. 작물과학원. 2004. 헤어리비치 이용시기별 질소함량. 작물과학원 연구논총. 249-257.
  20. 영남농업연구원. 2006. 남부지역 논에 알맞은 녹비작물 추천. 영남농업연구보고서 183-210.
  21. 한국쌀연구회. 2004. 우리쌀의 품질고급화 방안. 6-10.
  22. 농촌진흥청. 2001. 고품질 쌀 생산기술.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