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Trends and Issue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Korea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국내 초·중등 공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 Received : 2015.04.21
  • Accepted : 2015.07.09
  • Published : 2015.07.31

Abstract

The goal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research trends of engineering education in elementary and secondary education. To accomplish this goal, this study analyzed the journal papers by 'published year', 'research topic', 'research subject', 'research method' and 'related school subject'. Followings are 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regarding the published year, the studies related to the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engineering education had been conducted 1 to 3 pieces intermittently from 1995 to 2009. And the number of studies are more than 5 pieces after 2010. Second, regarding the research topic,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investigation for current status', 'tendency analysis', 'development of teaching method or model', 'verification of teaching method/models' effect'. Third, regarding the research subject,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student', 'literature', 'professor', 'teacher'. Fourth, regarding the research method,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survey research' and 'literature research', 'qualitative research', 'experimental research' and 'integrated research'. Fifth, regarding the related subject, the number of study followed by 'science', 'technology', 'mathematics', 'practical ar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re are the needs for further studies to establish theoretical foundation on the engineering content elements in element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 analyze on related variables and effects, develop engineering assessment instrument, use a variety of research methods, and conduct study on the applications of engineering in math subject.

Keywords

References

  1. 강경미.김희백(2005). 중등 예비 생물 교사들의 생명공학에 대한 인식 조사. 생물교육, 33(1), 112-121.
  2. 교육과학기술부(2011).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저자.
  3. 교육인적자원부(2007). 실과(기술.가정) 교육과정. 저자.
  4. 권혁수.박경숙(2009). 공학적 디자인: 과학, 기술, 공학, 수학교육의 촉진자. 과학교육연구지, 33(2), 207-219.
  5. 김기수.이창훈(2010). 의미분별법에 의한 공업계 고등학생의 "공학"에 대한 이미지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5(2), 25-42.
  6. 김대영 외(2006). 공학전문가가 인식하는 공학기초능력의 구성요소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9(2), 34-51.
  7. 김미경.홍정림.장남기(2001). 고등학생의 생명 공학에 대한 양면가치 태도 평가를 위한 도구 개발. 생물교육, 29(1), 27-33.
  8. 김상림.안효진.이시자(2011). 유아 다문화 교육 관련 연구 동향 분석. 한국보육학회지, 11(2), 147-171.
  9. 김성일(2014). 고등학교 기술,가정 교과 "창의공학설계" 단원 신설에 따른 기술교육과 교수의 인식 분석.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9(1), 128-142.
  10. 김영민.강정하.허남영(2015). 과학 영재 학생들의 공학에 대한 이미지와 인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5(1), 95-117. https://doi.org/10.9722/JGTE.2015.25.1.95
  11. 김영민.이창훈.김기수(2012). 공학전문가가 인지하는 고등학교 공학 기술 교과 교육 목표와 내용 요소.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2), 221-249.
  12. 김영민 외(2013a).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 교육 프로그램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2), 21-41.
  13. 김영민 외(2013b). 초,중등교육에서의 공학 교육에 대한 공학 전문가들의 인식 연구. 대한공업교육학회지, 38(2), 136-155.
  14. 김영민 외(2013c). 초, 중등학교 교사의 초, 중등 공학 교육에 대한 인식 분석. 공학교육연구, 16(5), 9-17.
  15. 김영민 외(2013d). 공학 기술 교육 프로그램 참가자의 인식 변화에 관한 질적 연구. 실과교육연구, 19(4), 271-295.
  16. 김영희.허철수(2012). 중.고등학교 학업중단 청소년에 관한 연구동향 분석. 상담학연구, 13(2), 1013-1028.
  17. 김유리.이창훈.김기수(2013). 중등기술교육에서 공학기술윤리 교육의 탐색.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3(3), 227-244.
  18. 김이형.이선하.정상남(2004). 대학내 고등학교 학생들을 위한 공학교실 프로그램 운영상의 특성과 개선방안. 공학교육연구, 7(4), 5-15.
  19. 김종승 외(2012). 의미분별법에 의한 초등학교 교사의 '공학, 기술, 실과'에 대한 이미지 연구. 실과교육연구, 18(4), 23-43.
  20. 김진연.김기수(2014). 중학교 기술교과에서 공학설계 중심 STEAM 수업자료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4(2), 154-173.
  21. 김태훈.이소이.노태천(2005). 공학설계능력의 평가 요소 구명. 공학교육연구, 8(3), 49-56.
  22. 김현영.박수경.김영민(2012). 과학자, 기술자, 공학자에 대한 중학생들의 이미지와 인식 비교.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1), 64-81.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1.064
  23. 남현욱(2011). 공학적 관점에서 초등 실과 교과서 속 전자회로의 이해.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4(2), 49-64.
  24. 노태천 외(2013). "공학교육연구" 논문지의 공학 교육 연구 동향 분석. 공학교육연구, 16(3), 45-53.
  25. 문대영(2008). STEM 통합 접근의 사전 공학 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공학교육연구, 11(2), 90-101.
  26. 박경숙.이효녕(2010). 초등학생이 생각하는 과학자와 공학자에 대한 이미지. 실과교육연구, 16(4), 61-82.
  27. 박상완(2014). 현직교사교육 연구 동향 분석: 특징과 과제. 한국교원교육연구, 31(2). 227-254.
  28. 박상익.윤의수.김종규(1995). 고등학교 생물의 유전공학 개념 도입을 위한 실험 모델. 과학교육연구, 26(1), 55-76.
  29. 박소라.남현욱(2008). F1 in Schools 프로그램을 이용한 초등학생 대상 공학 기술 교육에 관한 연구. 공학교육연구, 11(1), 83-98.
  30. 박현주.백윤수(2014). 초등 및 중학교 수준의 공학 교육 내용표준 제안. 공학교육연구, 17(4), 87-94.
  31. 방선희(2011). 비판적 사고 교육의 국내 연구동향과 시사점. 평생학습사회, 7(1), 61-83.
  32. 백현덕 외(2005). 공과대학의 소양교육 개선 방안 연구. 공학교육연구, 8(1), 84-98.
  33. 변명수 외(2004). 고등학교 생물 II 교과서에 나타난 인슐린의 유전공학적 생산 설명에 관한 분석. 과학과문화, 1(3), 7-14.
  34. 성의석.나승일(2012). 통합적 STEM 교육이 일반고등학교 학생의 과학 및 기술교과 자기효능감과 공학 태도에 미치는 효과.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2(1), 255-274.
  35. 송신철.심규철(2010). 생명공학 기술에 대한 고등학교 학생들의 인식 조사 연구. 환경교육, 23(1), 99-111.
  36. 신영준.정완호(1995). 고등학교 문과 학생들의 생명공학과 유전공학에 대한 지식과 태도조사. 생물교육, 23(2), 201-212.
  37. 우정임.이준규(2014). 일반계 고등학생을 위한 생명공학 예비 과학자 체험 진로 프로그램의 개발 및 적용. 생물교육, 42(3), 304-325.
  38. 유미정.황성진.조은희(2005). 고등학교 생물 교과서에 기술된 생명공학 내용 분석. 생물교육, 33(4), 475-490.
  39. 이기용.이건남(2013). 국내 학술지에 게재된 초등 다문화교육 관련 연구의 동향 분석. 실과교육연구, 19(4). 297-317.
  40. 이상봉.장지훈.정진우(2011). 고등학교 공학기술 과목 '공학적 소양' 단원을 위한 표준화 체험활동 과제 개발. 한국기술교육학회지, 11(2), 1-17.
  41. 이영은.이효녕(2014).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기반의 STEAM 교육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과학, 수학, 기술에 대한 흥미, 자기효능감 및 진로 선택에 미치는 효과. 교과교육학연구, 18(3), 513-540.
  42. 이지연(2014). 중학생 대상 체험학습 국내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1). 199-219.
  43. 이춘근(1998). 중국의 공학 교육 개혁 동향. 공학교육연구, 1(1), 43-56.
  44. 이충현.김영수(2011). 생명공학에 대한 고등학생의 인식 조사. 생물교육, 39(1), 152-165.
  45. 이하영, 진영은(2014). 상상력에 관한 연구 동향 및 유형 재탐색.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7). 281-308.
  46. 이효녕 외(2013). 공학적 설계와 과학 탐구 과정 기반의 STEM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 교원교육, 29(3), 301-326.
  47. 임미연.정슬아(2013). 생명공학 SSI 수업에서 나타난 영재 중학생들의 의사결정 변화의 유형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4), 1501-1522.
  48. 임윤묵(2004). 미국 공학 교육의 최근 동향. 공학교육, 11(3), 50-52.
  49. 임재근.이소리.양일호(2010). 과학적 실험과 공학적 실험에서 초등교사의 수업 과정 분석. 초등과학교육, 29(4), 515-525.
  50. 임철일 외(2014). 국내 공학 교육에서의 창의성 연구 동향과 발전 과제. 공학교육연구, 17(5), 33-40.
  51. 장경원.이은정.배상원(2013). 팀 빌딩 노하우와 문제해결 도구의 풍부한 사례와 팁 창의기초설계. 파주: 생능출판사.
  52. 정영란.계보아(1998). 생명공학의 기본 개념에 대한 고등학생의 이해도 조사 및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8(4), 463-472.
  53. 정정숙.남현욱(2009). 레고를 이용한 공학적 발명 교육이 아동의 두뇌에 미치는 영향.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2(3), 275-293.
  54. 정준오.최선미(2013). 한국과 미국의 공학 교육 연구주제의 동향 분석(1). 공학교육연구, 16(3), 37-49.
  55. 정진규.김영민(2014). 초등학생의 과학, 공학, 기술에 대한 인식 및 과학자, 공학자, 기술자에 대한 이미지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4(8), 719-730.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8.0719
  56. 정진현(2012). 캡스톤 디자인(Capstone Design)에 기초한 초등의 창의적 공학기술 교육 프로그램 개발과 적용 효과에 관 한 연구.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5(4), 195-215.
  57. 정진현(2013). 유.초등학교 교사의 공학기술문화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한국실과교육학회지, 26(4), 163-186.
  58. 정진현(2014). 교육대학 학생의 공학기술에 대한 교육요구도 분석. 실과교육연구, 20(2), 227-246.
  59. 조승호(2006). 공업교육, 기술교육, 공학 교육의 연계 방향. 직업교육연구, 25(1), 137-157.
  60. 조승호.진의남(2007). 공학 기술 선택과목 교육과정 개정의 주요 특징 및 의의. 교원교육, 23(1), 269-278.
  61. 조욱상.김종욱.김정규(2014). 창의성 개발을 위한 체육 교육 연구동향 분석.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4(12), 349-378.
  62. 조은희.정은(2004). 제7차 교육과정 과학 교과서에 제시된 생명공학 관련 STS 자료 분석. 교과교육연구, 25(1), 307-318.
  63. 주인애.이현주(2013). 생명공학과 관련된 사회적 쟁점에 대한 중학생들의 가치판단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드러난 가치 적용 방식 유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79-93. https://doi.org/10.14697/jkase.2013.33.1.079
  64. 최경희.조희형(2002). 생명공학의 윤리적 특성에 대한 교육적 고찰. 생명윤리, 3(1), 2-14.
  65. 최유현 외(2011). 주니어 공학 팀 미션 프로젝트 교육프로그램 및 교재 개발과 적용 효과. 공학교육연구, 14(3), 15-24.
  66. 최재혁.윤혜경(2005). 비정규 과학교육 활동에 대한 초등 현직 교사와 기업 교사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4(4), 391-398.
  67. 한경희.허준행.이충용(2009). 공학 윤리 교육 : 현황과 쟁점, 그리고 전략. 공학 교육, 12(1), 31-42.
  68. Anderson, S. & Gilbride, K. A. (2003). Pre-university outreach: Encouraging students to consider engineering careers. Global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7, 87-92.
  69. Apedoe, X., Reynolds, B., Ellefson, M., & Schunn, C. (2008). Bringing engineering design into high school science classrooms: The heating/cooling unit.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7, 454-465. https://doi.org/10.1007/s10956-008-9114-6
  70. Asunda, P. A., & Hill, R. B. (2007). Critical features of engineering design in technology education.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44(1), 25-48.
  71. Childress, V., & Sanders, M. (2007). Core engineering concepts foundational for the study of technology in grades 6-12. In R. Custer (Ed.), Professional development for engineering and technology: A national symposium, February 2007. Retrieved January 27, 2015, http://conferences.illinoisstate.edu/NSA/papers/ChildressSa nders.pdf
  72. Denson, C. D., & Hill, R. B. (2010). Impact of an Engineering Mentorship Program on African-American Male High School Students' Perceptions and Self-Efficacy.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47(1), 99-127.
  73. Dixon, R. A., & Brown, R. A. (2012). Transfer of Learning: Connecting Concepts during Problem Solving.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24(1), 2-17.
  74. Fralick, B. et al. (2009). How middle schoolers draw engineers and scientists.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and Technology, 18(1), 60-73. https://doi.org/10.1007/s10956-008-9133-3
  75. Gattie, D. K., & Wicklein, R. C. (2007). Curricular value and instructional needs for infusing engineering design into K-12 technology educatio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9(1), 6-18.
  76. Gorham, D., Newberry, P. B., & Bickart, T. A. (2003). Engineering accreditation and standards for technological literacy. Journal of Engineering Education, 92(1), 95-99. https://doi.org/10.1002/j.2168-9830.2003.tb00744.x
  77. Harris, K. S., & Rogers, G. E. (2008). Secondary engineering competencies: A delphi study of engineering faculty.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45(1), 5-25.
  78. Kelley, T. R. (2008). Cognitive processes of students participating in engineering-focused design instruction.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9(2), 50-64.
  79. Kelley, T. R., Brenner, D. C., & Pieper, J. T. (2010). Two approaches to engineering design:Observations in sTEm education. Journal of sTEm Teacher Education, 47(2), 5-40.
  80. Mentzer, N. (2014). Team based engineering design thinking.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25(2), 52-72.
  81. Mentzer, N., & Becker, K. (2009). Motivation while designing in engineering and technology education impacted by academic preparation.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46(3), 90-112.
  82. Mentzer, N., Huffman, T., & Thayer, H. (2014). High school student modeling in the engineering design proces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24(3), 293-316. https://doi.org/10.1007/s10798-013-9260-x
  83. Merrill, C., Custer, R. L., Daugherty, J., Westrick, M., & Zeng, Y. (2008). Delivering core engineering concepts to secondary level students.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20(1), 48-64.
  84. RISS. (2015). Research Information Sharing Service. Search the keyword, Retrieved January 30, 2015, http://www.riss.kr
  85. Rogers, G. E. (2005). Pre-engineering's place in technology education and its effect on technological literacy as perceived by technology education.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42(3), 6-22.
  86. Rogers, G. E. (2006). The effectiveness of project lead the way curricula in developing pre-engineering competencies as perceived by indiana teachers. Journal of Technology Education, 18(1), 66-78.
  87. Rogers, G. E. (2007). The perceptions of indiana high school principals related to project lead the way.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44(1), 49-65.
  88. Salas-Morera, L. et al. (2013). Improving engineering skills in high school students: a partnership between university and K-12 teachers. International Journal of Technology and Design Education, 23(4), 903-920. https://doi.org/10.1007/s10798-012-9223-7
  89. Shields, C. J. (2007). Barriers to the implementation of project lead the way as perceived by indiana high school principals. Journal of Industrial Teacher Education, 44(3), 43-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