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Research Trends of Studies Related to the Nature of Science in Korea Using Semantic Network Analysis

언어 네트워크 분석을 이용한 과학의 본성에 관한 국내연구 동향

  • Received : 2016.03.31
  • Accepted : 2016.04.25
  • Published : 2016.04.30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Korean journals related to science education in order to analyze research trends into Nature of science in Korea. The subject of the study is the level of Korean Citation Index (KCI-listed, KCI listing candidates), that can be searched by the key phrase, "Nature of science" in Korean language through the RISS service. In this study, the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Method is utilized to discover the number of research articles, classifying them by year and by journal. Also, the Sementic Network Analysis was conducted to Word Cloud Analysis the frequency of key words, Centrality Analysis, co-occurrence and Cluster Dendrogram Analysis throughout a variety of research articles. The results show that 91 research papers were published in 25 journals from 1991 to 2015. Specifically, the 2 major journals published more than 50% of the total papers. In relation to research fields., In addition, key phrases, such as 'Analysis', 'recognition', 'lessons', 'science textbook', 'History of Science' and 'influence' are the most frequently used among the research studies. Finally, there are small language networks that appear concurrently as below: [Nature of science - high school student - recognize], [Explicit - lesson - effect], [elementary school - science textbook - analysis]. Research topic have been gradually diversified. However, many studies still put their focus on analysis and research aspects, and there have been little research on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Keywords

References

  1. 강경리(2010). 예비 생물교사의 과학의 본성과 인간의 기원에 대한 인식 조사: 종교배경을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34(2), 246-259.
  2. 강석진, 김영희, 노태희(2004). 과학사를 이용한 소집단 토론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5), 996-1007.
  3. 고유경, 정정인, 백성혜(2013). 라망알라빠뜨 프로그램 교사교육을 통한 과학의 본성 및 과학교육에 대한 초임교사들의 관점 변화에 대한 사례 연구. 교사교육연구, 52(2), 215-226.
  4. 곽대오, 김영수, 성민웅(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등학생의 견해. 생물교육, 30(1), 1-12.
  5. 교육과학기술부(2007).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6. 교육부(2009).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부.
  7. 교육인적자원부(2001). 과학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8. 김경대, 강순민, 임재항(2006).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6), 743-752.
  9. 김경순, 노정아, 서인호, 노태희(2008). 중학교 과학 '물질의 구성'단원에서 과학사 소재를 활용한 명시적.반성적 과학의 본성 수업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1), 89-99.
  10. 김도욱(2015). 과학사 주제에 따른 과학사-역할놀이가 대학생의 과학의 본성의 변화에 미치는 효과: 원자모형의 변천과 멘델레프의 주기율표의 변천 주제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39(1), 15-27.
  11. 김미경, 김희백(2008). 개방적 참탐구 활동에서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탐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65-578.
  12. 김민정(201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유치원 교사의 인식 조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9(1), 191-222.
  13. 김선영(2008). 과학의 본성 교수를 위한 과학사의 활용. 생물교육, 36(3), 266-274.
  14. 김선영, 조은희(2013). 다큐멘터리를 활용한 고등학생의 과학의 본성 학습, 현장과학교육, 7(2), 98-105.
  15. 김정인, 윤혜경(2013). 초등 교사의 과학 교수, 과학학습, 과학의 본성에 대한 신념. 과학교육연구지, 37(2), 389-404.
  16. 김준예, 전은경, 백성혜(2007). 과학 교과서 및 과학교사, 고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9), 809-817.
  17. 김지나, 김선경, 김동욱, 김현경, 백성혜(2008). 초등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교수 효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7(3), 261-272.
  18. 김지영, 강순희(2007). 가설 연역적 탐구 실험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169-179.
  19. 김지헤, 민병기, 이유미, 손연아, 김동렬, 김태훈(2013). 한국, 일본, 미국의 초등 과학교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내용 비교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2), 619-644.
  20. 김효남(2003).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유형 분석. 과학교육논문집, 13(1), 1-8.
  21. 김희정, 김성원(2013). 예술 고등학생들의 명시적 과학의 본성 수업을 통한 개념 변화의 특성.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2), 266-283.
  22. 남정희, 최준환, 임재항(2007).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3), 253-262.
  23. 노태희, 김영희, 한수진, 강석진(2002).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학생들의 견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4), 882-891.
  24. 문선영, 한신(2014). 초등학교 과하 꾜과서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초등학교 3,4,5,6학년 지구과학 분야를 중심으로. 과학교육연구지, 38(3), 625-640.
  25. 문성숙(2006). 교육 과정 변화에 따른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등학생의 관점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1), 58-67.
  26. 박기수, 유미현(2013). 과학사 기반 화학자 탐구 프로그램이 고등학교 과학영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과 과학적 태도, 과학 진로지향도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7(6), 821-829. https://doi.org/10.5012/jkcs.2013.57.6.821
  27. 박상우, 정원우, 박경미(2015). 2009 개정 초등 과학교과서의 과학사 도입 내용과 과학의 본성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9(2), 221-238.
  28. 박은미(2009). 과학의 본성 교육을 위한 교수-학습 과정안. Chemical Education, winter, 60-65.
  29. 박종원, 김두현(2008). 과학의 본성 지도자료 개발과 과학영재를 대상으로 한 시험적용.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2), 169-179.
  30. 박한우, Loet Leydesdorff,(2004). 한국어의 내용분석을 위한 KrKwic 프로그램의 이해와 적용: Daum.net에서 제공된 지역혁신에 관한 뉴스를 대상으로.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6(5), 1377-1388.
  31. 방미정, 김효남(2010). 초등학생의 인지 수준에 따른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 교수 효과 분석. 초등과학교육, 29(3), 277-291.
  32. 백성혜, 남초이(2010). 과학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인 수업이 예비 과학교사들의 인식 변화에 미치는 효과. 과학철학, 13(1), 83-107.
  33. 송진웅, 권성기(1992). 과학 철학을 수강하는 대학원생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의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5(1), 104-115.
  34. 송현순, 최지연, 양일호(2004). 예비 초등 교사의 기술과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 실과교육연구, 10(2), 113-121.
  35. 안유라, 김현주(2011). 원자모형에 기초한 예비과학 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4), 539-556.
  36. 오준영(2012). 과학의 본성(NOS)을 기르기 위한 과학교육의 시각에서 태양계 우주론 발달과정에서 쿤(Khun)의 해석. 과학철학, 15(2), 25-65.
  37. 오준영(2014). 과학의 본성 교육을 위한 NOS Flow Map 제안. 초등과학교육, 33(1), 44-56.
  38. 유미현, 여상인, 홍훈기(2007). 기원론적 접근법에 따라 개발한 과학사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입자론적 물질관 및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1(2), 213-222. https://doi.org/10.5012/jkcs.2007.51.2.213
  39. 유은정, 오현석, 김찬종(2008). 글로벌 과학적 소양 함양을 위한 수업이 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관점에 미치는 영향. 한국지구과학교육학회지, 29(7), 602-616.
  40. 이경민(2006). 과학의 본성에 대한 유치원교사-예비교사의 인식 비교. 유아교육연구, 26(1), 25-43.
  41. 이소정, 김용기, 오준영(2012). Galileo의 태양흑점 발견과정을 토대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믿음 탐색. 천문학회보, 37(2), 102-102.
  42. 이영희(2012). 최근 30년간 미국에서 행하여진 초등과학 교과서 분석에 대한 연구 및 초등 과학 교과서 도입 단원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분석. 초등과학교육, 31(3), 398-412.
  43. 이영희(2013). 질적 연구에 듸한 고등학교 생명과학 교과서 생명과학의 이해 단원에 내포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7(1), 173-197.
  44. 이영희, 손연아, 김가람(2014). 초등 과학교과서에 나타난 과학의 본성에 대한 분석-4가지 영역의 과학 소양을 기준으로. 초등과학교육, 33(2), 207-216.
  45. 이유민, 전은선, 소금현(2010).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 예비교사와 현직교사의 신념 조사 연구. 초등교육연구, 25, 51-68.
  46. 이항로(2011). 과학 영재의 과학 본성과 탐구 관점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391-405.
  47. 이현욱, 이현주(2015). 과학, 기술 관련 사회쟁점(SSI)에 대한 학생들의 주요 의사결정 논점의 기술의 본성적 해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1), 169-177.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1.0169
  48. 이혜준(2010). 의미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프랜차이즈 교육 프로그램 개발, 경영교육연구, 14(2), 105-128.
  49. 임성만, 정운영, 양일호(2010). 초등 과학영재 지도교사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및 교수태도 분석. 과학교육연구지, 34(2), 396-404.
  50. 임은미(2014). 예비유아교사의 인지발달수준과 인식론적 관점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에 미치는 효과. 육아지원연구, 9(4), 109-130.
  51. 임청환, 김현정, 이성호(2004). 과학의 본성에 대한 예비교사와 현직 교사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23(4), 297-304.
  52. 장병기(1995). 과학 수업 및 과학의 본성에 대한 초등 교사의 인식. 초등과학교육, 14(1), 1-15.
  53. 전혜진, 김용기, 오준영(2012). 새로운 과학의 본성 흐름도를 바탕으로 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고등학생들의 믿음 탐색: 별의 분광형 실험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29(2), 443-473.
  54. 정고은, 황신영, 정영란(2015). 2009 개정 과학교과서의 과학상에 반영된 과학의 본성 분석. 교과교육학연구, 19(2), 389-405.
  55. 정영란, 한지숙(1997). 중, 고등학교 과학교사와 학생들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7(2), 119-125.
  56. 정윤숙, 김성원(2015). 과학관련 사회쟁점 학습을 통한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전이.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5(5), 895-905. https://doi.org/10.14697/JKASE.2015.35.5.0895
  57. 정충덕, 강경희(2014). 고등학생의 계열 및 성별이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에 미치는 영향. 교육연구, 61, 29-48.
  58. 조정일(2008). 과학의 본성의 측면에서 10학년 과학의 탐구 단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85-695.
  59. 조정일, 주동기(1996). 과학교사들의 과학의 본성에 관한 관점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2), 200-209.
  60. 최경희, 조희형(2002). 과학의 윤리적 특성 교수-학습이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에 미친 영향. 생물교육, 30(2), 105-113.
  61. 최승언, 김수현(1991). 현행 지구과학 교육과정에서 제시된 과학의 본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구과학회지, 12(3), 280-280.
  62. 최준환, 남정희, 고문숙, 고미례(2009). 과학사를 활용한 과학수업 적용을 통한 중학생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이해의 발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2), 221-239.
  63. 최진, 서혜예(2012). 탐구중심 생물수업이 예비 과학교사의 과학의 본성 및 과학의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2(5), 879-889. https://doi.org/10.14697/jkase.2012.32.5.879
  64. 한수진, 양찬호, 노태희(2013). 과학 탐구의 본성에 대한 명시적-반성적 탐구 학습 프로그램의 영향. Journal of the Korean Chemical Society, 57(1), 115-126. https://doi.org/10.5012/jkcs.2013.57.1.115
  65. 홍훈기, 박은이(2010). 과학 영재를 대상으로 한 명시적 과학의 본성 프로그램의 효과.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2), 249-260.
  66. 홍훈기, 박은이(2011). 중학교 과학영재들의 과학의 본성에 대한 인식 분석. 영재교육연구, 21(2), 391-405.
  67. Bell, R. L., Blair, L., Crawford, B., & Lederman, N. G.(2003). Just do it? Impact of a science apprenticeship program on high school students' understandings of the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40(5), 487-509. https://doi.org/10.1002/tea.10086
  68. Bell, R. L., Lederman, N. G., & Abd-El-Khalick, F.(2000). Developing and acting upon one's conception of the nature of science: A follow-up study.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37(6), 563-58 https://doi.org/10.1002/1098-2736(200008)37:6<563::AID-TEA4>3.0.CO;2-N
  69. Doerfel, M. L., & Connaughton, S. L. (2009). Sementic networks and competition: Election year winners and losers in U.S. televised presidential debates, 1960-2004. Journal of the Association for Information Science and Technology, 60(1), 201-237. https://doi.org/10.1002/asi.20950
  70. Driver, R., Leach, J., Millar, R. & Scott, P. (1996). Young people's images of science. Philadelphia: Open University Press.
  71. Lederman, N. G. (1992). Student's and teacher's conceptions about the nature of science: A review of research.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 331-359.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4
  72. Lederman, N. G. (2007).Nature of science : Past, present, and future. In A bell, S. K., & Lederman, N. G.(Eds.), Handbook of research on science education. New Jersey: 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73. McComas, W. F., & Olson, J. K. (1998). The nature of science in international Science Education Standards documents. The nature of science Educations. Rationales and Strategi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Netherlands.
  74. Meichtry, Y. J. (1992). Influencing student understanding of the nature of science: Data from a case of curriculum development. Journal of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9(4), 389-407. https://doi.org/10.1002/tea.3660290407
  75. Schwartz, R., Lederman, N. G., & Crawford, B. A. (2004). Developing views of Nature of Science in an authentic context: An explicit approach to bridging the gap between Nature of Science and Scientific Inquiry. Science Education, 88(4), 610-645. https://doi.org/10.1002/sce.10128
  76. Schwartz, R., Lederman, N. G., & Lederman, J. S. (2008). An Instrument To Assess Views Of Scientific Inquiry: The VOSI Questionnair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2, Baltimore, M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