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OI QR코드

DOI QR Code

Characteristics of Pre-service Teachers' PCK in the Activities of Content Representation of Boiling Point Elevation

끓는점 오름에 대한 내용표상화(Content Representation) 활동에서 나타난 예비교사의 PCK 특징

  • Received : 2013.10.01
  • Accepted : 2013.12.05
  • Published : 2013.12.31

Abstract

This study analyzes pre-service teachers' PCK dealing with visualization of the contents related to boiling point elevation and teaching methods in mock-lessons. As a result of analyzing pre-service teachers' knowledge based on PCK factors, most of the pre-service teachers accentuated on understanding boiling point elevation conceptually, whereas some of the others inclined to make students understand boiling point elevation in a scientific way, let the kids use numerical formulas to describe the concept, and motivate them to learn through the examples in real life. The pre-service teachers represented majority of the important facts of boiling point elevation as the knowledge required to understand things conceptually. However, they did not focus on improving the scientific thinking and inquiring levels of the students. Also, the pre-service teachers tended to teach at the level and order of the textbook. In some other cases, they considered the vocabularies and materials in the textbook (which could have been highlighted in the editing sequence) as the main topic to learn, or regarded the goal as giving students the ability to solve exercises in the textbook. It turned out that the pre-service teachers had a low level of knowledge of their students. It is recommended that they should make use of the materials given (such as data related to the misconception of students) during the training session. The knowledge of teaching and evaluating students was described superficially by the pre-service teachers; they merely mentioned the applications of models, such as the cyclic model and discovery learning, rather than thinking of a method related to the goals, or listed general assessment methods.

이 연구는 끓는점 오름에 대한 내용표상화 활동과 모의수업 실행을 통해서 예비교사의 PCK를 분석하였다. 예비교사의 지식을 PCK 요소에 따라 분석한 결과, 대부분의 예비교사는 끓는점 오름에 대한 개념적인 이해를 중시하였는데, 일부는 끓는점 오름 현상을 과학적인 시각으로 이해하고, 수식을 도구로 사용하며, 실생활에 적용되는 경험을 통해 학습 동기를 얻게하는 과학 교수 지향도 보였다. 예비교사는 끓는점 오름에 관하여 가르쳐야 할 중요한 내용의 대부분을 개념 이해를 위해 습득해야 할 지식으로 제시했으며, 과학적 사고나 탐구능력 신장을 위한 내용은 나타나지 않았다. 또한 교과서 내용의 수준과 전개 순서에 의존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일부는 교과서 편집상 강조되어있는 용어나 자료를 학습할 내용으로 여기거나, 예제 문제의 풀이를 학습 목표로 보는 경우도 있었다. 학생 이해에 대한 지식은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는데, 실제 교수 경험이 없는 예비교사들은 자신의 학습 경험을 바탕으로 학생 수준을 간접적으로 이해하려고 시도하므로, 예비교사교육과정에서 오개념 자료 등을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다. 교수 전략과 평가에 대한 지식은 다른 요소에 비해 피상적으로 표현되었는데, 목표와 연계된 방법을 고민하기 보다는 순환학습과 발견학습 같은 모형의 적용만을 언급하거나 일반적인 평가 방법을 나열하는데 그쳤다.

Keywords

References

  1. 교육과학기술부(2011). 과학과 교육과정, 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11-261호.
  2. 강대훈, 백성혜, 박국태(2004). 용해 현상에 대한 학생들의 개념유형 및 교사들의 지도 실태. 대한화학회지, 48(4), 399-413. https://doi.org/10.5012/jkcs.2004.48.4.399
  3. 고미례, 남정희, 임재항(2009). 신입 과학교사의 교과교육학 지식(PCK)의 발달에 관한 사례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9(1), 54-67.
  4. 곽상원, 최병순(2012). 중등학교 과학 교사의 밀도에 관한 내용교수지식 수준과 그에 따른 내용 표상의 구성 요소별 특징. 대한화학회지, 56(1), 128-136. https://doi.org/10.5012/jkcs.2012.56.1.128
  5. 곽영순(2008). 과학과 교과교육학 지식 유형별 교사 전문성의 특징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592-602.
  6. 김경순, 윤지현, 박지애, 노태희(2011). 중등 과학 예비교사들이 수업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나타난 교과교육학지식의 요소.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1), 99-114.
  7. 김도욱(1992). 끓는점 오름의 학습에서 세 가지 수업모형의 효과 비교-연역식, 귀납식, 비유를 사용한 수업 모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2(1), 35-46.
  8. 김성혜, 이은실, 백성혜(2008).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교과서 내용 분석 및 화학전공교사의 사고유형 조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4), 291-301.
  9. 김영민, 박종원, 박종석, 이효녕, 김영신(2010). 과학 교사 양성과정에서 과학교육학 과목 운영에 대한 과학 교사들의 인식과 요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785-798.
  10. 김희준, 김호성, 이보경, 이수미, 이영식, 이정희, 이진승, 이희나, 조향숙(2011). 고등학교 화학II. (주)상상아카데미:파주.
  11. 노태희, 최성신, 강석진, 이순영, 배병일, 고숙영, 주영, 최숙영(2011). 고등학교 화학II. 천재교육:서울.
  12. 노태희, 윤지현, 김지영, 임희준(2010). 초등 예비 교사들이 과학 수업 시연 계획 및 실행에서 고려하는 교과교육학지식 요소. 초등과학교육, 29(3), 350-363.
  13. 류해일, 김창석, 이광필, 이종백, 박상배, 강승구, 김용연, 이희권(2011). 고등학교 화학II. 비상교육:서울.
  14. 민희정, 박철용, 백성혜(2010). 교수 실제를 통한 초임 과학교사의 PCK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4), 437-451.
  15. 박재원, 원정애, 백성혜(2007). 물속에서의 무게와 압력에 대한 초등 교사의 교수 내용 지식 분석. 초등과학교육, 26(2), 226-241.
  16. 박종석, 윤용, 정지오, 조은미, 류시경(2011). 고등학교 화학II. (주)교학사:서울.
  17. 박철용, 민희정, 백성혜(2008). 교육실습을 통한 예비교사의 교수내용지식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41-648.
  18. 방은정, 백성혜(2010). 중학교 과학교사의 교수지향과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719-738.
  19. 방은정, 백성혜(2012). 중학교 과학교사의 교수 전략을 통한 교수지향 분석. 대한화학회지, 56(2), 274-289.
  20. 백성혜, 조미정(2005). 대기 중의 수증기량이 증발과 끓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고등학생과 화학 전공 교사들의 인식 조사 및 관련 교과서 내용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7), 773-786.
  21. 양일호, 서형두, 정진우(2004). 초등 과학 교사들의 수업에서 나타나는 교수 행동 요소와 수업 유형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4(3). 565-582.
  22. 윤지현, 임희준, 박지애, 노태희(2012). 멘토링을 통한 초등예비교사의 과학PCK 특징 및 멘토링에 대한 인식 고찰. 초등과학교육, 31(1), 99-108.
  23. 윤희숙, 정대홍(2006). 끓는점 오름 현상에 대한 학생, 예비교사, 화학교사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6(7), 805-812.
  24. 이기영(2009). 지구과학 교사의 주제-특정적 PCK 분석. 예비교사와 현직교사 사례. 한국지구과학회지, 30(3), 330-343.
  25. 이송연, 김성혜, 백성혜(2010). 묽은 용액의 성질에 대한 화학전공 예비교사들의 이해 및 화학교사 양성교육에 대한 인식 사례연구. 대한화학회지, 54(6), 787-798.
  26. 이송연, 민희정, 원정애, 백성혜(2011). 멘토링을 통한 예비화학교사들의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변화.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1(4), 621-640.
  27. 이지희, 정진우, 우종옥(2002). 중등학교 과학 교사들의 대기압에 관련된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3), 560-570.
  28. 임청환(2003). 과학 교과교육학 지식의 본질과 발달. 한국지구과학회지, 24(4), 235-249.
  29. 장효순(2009). CoRe 개발 과정을 통한 과학교사의 PCK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중학교 1학년 분자의 운동을 중심으로-. 교육학 석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30. 장효순, 최병순(2010). CoRe 개발 과정을 통한 과학교사의 PCK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중학교 1학년 분자의 운동을 중심으로-.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0(6), 870-885.
  31. 정득실, 김찬종, 이선경, 오필석, 맹승호, 정애란(2007). 구성주의적 수업을 위한 워크숍에 참여한 중등 과학 교사의 교수 지향과 수업 실행.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7(5), 432-446.
  32. 정행남, 최병순(2013). 동료 장학 모임에 참여한 과학교사의 경험 사례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33(1), 63-78.
  33. 조희형, 고영자(2008). 과학과 교수내용지식(PCK)의 재구성과 적용 방법.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8(6), 618-632.
  34. 최경숙, 원정애, 백성혜(2011). '전기 회로 꾸미기' 단원의 수업에서 나타난 초등교사의 PCK 특성. 초등과학교육, 30(3), 315-329.
  35. 최경희, 김숙진(1996). 과학 교과서 선정과 평가에 관련된 교사들의 인식 조사와 과학 교과서 평가틀 개발에 관한 연구. 한국과학교육학회지, 16(3), 303-313.
  36. 최미화, 이덕환, 박준우(2004). 중등 화학 교육 과정에 대한 물리화학적 고찰:(1) 상변화와 상평형. 대한화학회지, 48(3), 300-310.
  37. 하성자, 김범기, 백성혜(2005). 어는점 내림 현상에 대한 교과서 내용 및 중등 과학 교사들의 개념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5(2), 88-97.
  38. 허미연, 백성혜(2009). 용해와 확산에 관련된 혼합 현상에 대한 중등 과학교사들의 사고 특성. 대한화학회지, 53(5), 585-608.
  39. 홍미영, 전경문, 이범홍, 이양락(2002). 대학수학능력시험 화학II 문항에 대한 학생들의 응답 분석. 한국과학교육학회지 22(1), 204-213.
  40. Atkins, P., & de Paula, J. (2006). Physical Chemistry(7th edition). Oxford:U.K.
  41. Bullough Jr, R. V. (2001).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circa 1907 and 1987: A study in the history of an idea. Teaching and Teacher Education, 17, 655-666. https://doi.org/10.1016/S0742-051X(01)00022-1
  42. Cochran, K. F., DeRuiter, J. A., & King, R. A. (1993). Pedagogical content knowing: Am integrative model for teacher preparation, Journal of Teacher Education, 44(4), 263-272. https://doi.org/10.1177/0022487193044004004
  43. Gess-Newsome, J. (1999). Secondary teachers Knowledge and Beliefs about Subject Matter and their Impact on Instruction.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51-94).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44. Grossman, P. L. (1990). The making of a teacher: Teacher knowledge and teacher education.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Citied from Hashweh(2005).
  45. Hashweh, M. Z. (2005). Teacher pedagogical constructions: A reconfiguration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eachers and Teaching: Theory and Practice, 11(3), 273-292. https://doi.org/10.1080/13450600500105502
  46. Loughran, J.J., Gunstone, R.F., Berry, A., Milroy, P., & Mulhall, P. (2000, April). Science cases in action: Developing an understanding of science teachers'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Paper presented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Research in Science Teaching, New Orleans, LA, USA.
  47. Loughran, J., Berry, A., & Mulhall, P. (2006). Understanding and developing science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Rotterdam: Senses Publishers.
  48. Loughran, J., & Nilsson, P. (2012). Exploring the Development of Pre-Service Science Elementary Teachers'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Journal of Science Teacher Education. 23, 699-721. https://doi.org/10.1007/s10972-011-9239-y
  49. Magnusson, S., Krajcik, J., & Borko, H. (1999). Nature, sources, and development of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for science.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95-132).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50. Pignatelli, F., & Pflaum, S. (1992). Celebrating diverse voice. CA: Corwin Press, Inc.
  51. Shulman, L. S. (1986). Those who understand: Knowledge growth in teaching. Educational Researcher, 15, 4-14.
  52. Shulman, L. S. (1987). Knowledge and teaching: Foundations of the new reform. Harvard Education Review, 57, 1-22.
  53. Tobin, K & McRobbie, C. K.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and Co-Participation in Science Classrooms. In J., Gess-Newsome and N. G. Lederman(Eds.). Examining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he Construct and its Implications for Science Education (pp.215-234). Netherlands: Kluwer Academic Publishers.
  54. Veal, W. R., & MaKinster, J. G. (1999).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taxonomies. Electronic Journal of Science Education, 3(2), 22-35.
  55. Zumdahl, S. S., & Zumdahl,S.A. (2008). Chemistry(7edition). Houghton Mifflin Company: Boston, USA.

Cited by

  1. A Case Study of Middle School Science Teachers' Topic-Specific Pedagogical Content Knowledge on the Unit of Stars and Universe vol.34, pp.4, 2014, https://doi.org/10.14697/jkase.2014.34.4.0393
  2. 수업 설계 및 실연의 자기평가 기준에 대한 고찰 vol.55, pp.2, 2016, https://doi.org/10.7468/mathedu.2016.55.2.171